본문 바로가기
에너지

[수소] 맥킨지, '수소경제 인사이트 2021' 보고서

by TheCCE 2021. 2. 21.
728x90
반응형
SMALL

 

 

 

 

수소위원회(Hydrogen Council)가 맥킨지와 공동으로 진행하여 발표한 보고서인 "수소경제 인사이트 2021 ; 수소 산업 투자, 유통 및 원가 경쟁력에 대한 고찰'에 따르면, 탈탄소에 대한 각국 정부의 의지와 함께 수소 프로젝트들이 빠르게 추진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소위원회 (Hydrogen Council)

 

 

수소위원회(Hydrogen Council)는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비전을 공유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세게 약 110여개의 글로벌 기업들의 자발적 조직이다. 

 

 

 

30개 이상 국가, 수소에너지 시대 대비

 

2021년 초 현재,  수소에너지 로드맵을 발표한 국가는 30개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따라 각 국 정부는 수소 기술 개발을 통한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해 공공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수소산업의 가치사슬에 해당하는 총 228개 이상의 대규모 수소 프로젝트가 발표되었으며,  이 가운데 85%가 유럽, 아시아 및 호주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전체 유럽 아시아 오세아니아 북미 중동
아프리카
남미
228 126 46 24 19 8 5

 

밸류체인별 진행중인 프로젝트들은 대규모 수소생산, 산업용 연료(정제, 발전, 철강 등), 운송 및 수송(기차, 선박, 자동차 등 모빌리티), 복합 적용, 인프라(유통, 충전 등) 분야 등이다.

 

 

 분야

 

전체 대규모
생산
산업용 원료 운송
수송
복합 적용 인프라
228 17 90 53 45 23

 

 

보고서는 각 나라에서 발표되고 진행 중인 프로젝트들이 결실을 맺게 되면 2030년까지 총 3천억 달러(약 330조원) 이상이 투자될 것으로 내다 보았다.

 

총 투자금액의 약 27%에 해당하는 800억(약 88조원)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는 계획 단계, 최종 투자 결정 (FID)을 통과, 건설 중이거나 이미 시운전 또는 운영 되고 있는 등 구체화 된 사업들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보고서는 수소 산업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 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총 직·간접 비용을 고려할 때, 수소가 장거리 운송, 해상 운송 및 철강 산업 등을 포함하여 2030년까지 20개 이상의 분야에 응용되는 가장 경쟁력있는 저탄소 솔루션이 될 것이으로 전망했다.

 

 

728x90

 

 

명확한 제도적 기반과 비용 절감 강조

 

아울러 보고서는 이 결과를 달성하려면 두 가지 요소가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첫째, 정부가 재정적 지원과 법적 제도, 명확한 수소 전략 및 목표를 바탕으로 탈탄소화에 대한 확고한 약속을 유지하고 장기적으로 제도화해 나가는 것이  필수적이다.

둘째,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산업내 타 부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수소 생산 및 유통 비용을 낮추는 핵심 요인에 집중해야 한다.

 

그리고, 강력한 수소에너지 구매자가있는 산업 클러스터를 통한 유통 구조를 통해 공급업체의 투자와 위험을 공유하는 것이 산업의 긍정적인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적한다.

이에 따라 주목을 받고 있는 세 가지 유형의 산업 클러스터는 (1) 정제, 발전, 비료 및 철강 생산을 지원하는 산업 클러스터, (2) 자원이 풍부한 국가의 수출 허브, (3) 연료 저장, 항만 물류 및 운송을 위한 항구 지역 클러스터 등이다.

 

수소 생태계의 규모 확대에서 나타나는 흥미로운 점은 단기적으로 투자의 약 40 %가 수소 생산으로 유입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프로젝트가 수송이나, 암모니아, 정유소 및 철강과 같은 산업 클러스터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소산업 클러스터를 통한 비용 절감은 수소의 글로벌 무역을 실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일본, 한국, 유럽연합과 같은 미래의 주요 수요처 지역과 중동, 북아프리카, 남미, 또는 미국이나 호주와 같은 풍부한 저비용 수소 생산지역을 연결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보고서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데 있어 에너지 분야에서 수소가 해야할 잠재력에 대해 정부와 투자자들이 이해를 높여가는 가운데, 이러한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부, 투자자, 기업이 전세계적으로 수소 경제 생태계를 키우기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수소산업 투자 2030년까지 16배 성장 전망

 

수소위원회는 이러한 공동의 노력과 지속적인 기술 혁신이  전 세계의 많은 프로젝트가 현실화되고 수소를 새롭고 깨끗하며 경쟁력있는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위원회는 이러한 협력을 통한 수소 경제의 가속화가 수소경제 분야에 대한 투자가 2025년까지 6배, 2030년까지 16배 증가 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반응형

 


 

 

 

 

▶ 수소위원회-맥킨지 : Hydrogen Insights (July 2021)

2021.08.18 - [산업/에너지] - [수소] 맥킨지, '30년 수소시장 $5000억 전망

 

[수소] 맥킨지, '30년 수소시장 $5000억 전망

수소위원회(Hydrogen Council)과 맥킨지가 최신 수소인사트(Hydrogen Insight) 보고서를 발표했다. 2021년 2월 Hydrogen Insights 보고서 발간 이후, 전 세계적으로 131개의 대규모 프로젝트가  추가 발표되어 글.

thecce.kr

 

 

 

728x90
반응형
BIG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