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대응] 정부, ‘도시침수 및 하천홍수 방지대책’

by TheCCE 2022. 9. 2.
728x90
반응형
SMALL

 

 

 

 

 

 

환경부는 지난 8월 초 수도권 등에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발생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재발하지 않도록 ‘도시침수 및 하천홍수 방지대책’을 마련해 8월 23일 발표했다.

 

 

도시침수 및 하천홍수 방지대책

 

 

환경부는 이번 방지대책에 따라 내년 홍수기(6월 21일~9월 20일) 전까지 도림천 유역(신림동)에 디지털트윈과 연계한 인공지능(AI) 홍수예보 체계를 시범구축하고, 이를 전국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또한, AI홍수예보 구축전이라도 전국 단위로 기존 위험지도 등을 활용하여 취약계층을 위해 대피로 설정 등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대응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728x90

 

 

도시침수 및 하천범람을 방지하는 기반시설(인프라) 대책으로 도림천 지하방수로, 강남역·광화문 대심도 빗물터널(지하저류시설) 등 3곳의 선도사업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통해 우선 추진하고, 단계적으로 전국으로 확산할 계획이다.

 

 

현재 연 1,000억 원 수준의 하수도 개량 예산을 2023년에는 49% 증액하고, 연 3,500억 원 수준의 국가하천 정비 예산은 2023년에 43% 증액 편성하여 지방의 취약지구에 우선 투자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이러한 대책들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기 위해 전담조직으로 ‘도시침수대응기획단(가칭)’을 출범시키고 연말까지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사업부터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도시침수 및 하천홍수 방지대책

 

도시침수 및 하천홍수 방지대책.pdf
3.00MB

 

 

* 출처 : 환경부

 

 

반응형

 


 

 

 

 

2022.09.01 - [정책] - ['23년 환경부 사업] 광화문ㆍ강남역 대심도 빗물터널

 

['23년 환경부 사업] 광화문ㆍ강남역 대심도 빗물터널

광화문ㆍ강남역 일대 대심도 빗물터널(하수저류시설) 사업 □ 사례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강우의 강도와 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높은 도시화율과 과거 설치된 하수도의 용량부족 등

thecce.kr

 

 

 

 

728x90
반응형
BIG

댓글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