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LH는 9월 19일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세종시) 6-3 생활권(UR1·UR2)에서 모듈러 통합공공임대주택 단지 착공식을 개최했다.
□ 모듈러주택은 외벽체, 창호, 전기배선, 배관, 욕실, 주방기구 등 자재와 부품의 70~80%를 공장에서 박스 형태로 사전 제작해 현장에 운반한 뒤 설치하는 탈현장 건설공법(OSC, Off-Site Construction)을 활용한 주택이다.
ㅇ 기존 철근콘크리트 공법 대비 약 30% 공기단축이 가능하며, 건설단계에서 탄소 및 폐기물 배출을 줄이고, 고질적인 건설업의 낮은 생산성, 인력난, 안전·품질 문제 등을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인 주택이다.
□ 세종시 6-3 생활권 UR1·UR2 모듈러 통합공공임대주택 단지는 지상 7층(4개동) 규모로 총 416세대가 건설된다. 이 단지는 모듈러 방식으로 시공되는 주택 중 세대수 기준으로 국내 최대 규모이며, 주된 평형은 전용 21∼44㎡ 규모이다.
< 모듈려주택단지 위치 >
< 세종시 6-3 생활권 모듈러주택단지 조감도 >
ㅇ 이번 모듈러주택은 다양한 입면과 충분한 채광을 확보하기 위해 복층 테라스 세대를 도입하여 계단식 입면을 구성하는 등 일반 공동주택과 동등 이상의 쾌적한 주거성능뿐만 아니라 미관과 도시경관 측면에서도 모듈러주택의 특징과 장점을 한껏 살렸다는 평가다.
ㅇ 세종시 6-3 생활권 모듈러 통합공공임대주택 단지는 19일 착공식을 시작으로‘24년 하반기 준공 및 입주 예정이다.
□ 국토부는 모듈러주택 활성화를 위해 국정과제 실천과제,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8.16.), 스마트건설기술 활성화 방안(7.19.) 등 국가 핵심 정책에 모듈러주택 확산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포함하여 적극 추진하고 있다.
ㅇ 모듈러주택 건설을 위한 핵심기술을 개발하기 위해‘14년부터 국가 R&D 실증사업을 통해 천안 두정 모듈러주택(40세대, 6층), 서울 가양 행복주택(30세대, 6층)을 준공한 바 있으며, 용인 영덕에 국내 최고층인 13층 규모의 모듈러주택(106세대)을 건설하고 있다.
< 중고층 모듈러주택 실증사업(R&D) 개요 >
![]() |
ㆍ지역 : 경기 용인시 기흥구 영덕동 ㆍ용도 : 공공임대주택(행복주택) ㆍ시행 : 경기도시공사(GH) ㆍ규모: 지상 13층/지하 2층, 106세대 ㆍ비용: 159억(정부출연금 70억, 출자금 89억) ㆍ계획: ‘22.1월 착공, ‘22.12월 준공(예정) |
ㅇ 또한, 아직 초기 단계인 국내 모듈러주택 산업을 조속히 성장시키기 위해 모듈러주택 공공발주를 지속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민간부문의 자발적인 모듈러주택 건설을 유도하기 위해 모듈러주택에 대한 용적률, 건폐율, 높이제한 등 건축기준 완화 혜택(인센티브) 제공도 추진 중이다.
□ 이번 사업의 발주자인 LH는 그간의 모듈러주택 사업 경험을 바탕으로 모듈러 공법에 익숙한 전문가로 구성된 사업점검협의체를 구성하여 정기적으로 사업을 모니터링하여 주택품질 제고와 사업 리스크 저감을 위해 적극 노력할 계획이다.
ㅇ 사업점검협의체는 공정·분야별 외부 전문가 8인으로 구성되며, 스마트건설기술을 주택 사업에 적용하기 위해 발주 방식을 비롯한 사업전반의 프로세스를 정비하여 모듈러주택 사업 표준을 마련코자 도입하였다.
모듈러주택은 현재 우리 주택건설산업이 직면한 기능인력 고령화와 내국인 숙련인력 감소 등 인력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공기단축 및 스마트건설기술을 통한 건설생산성 향상, 현장 안전문제 해결, 환경비용 저감 등의 효과도 기대 된다.
* 출처 : 국토교통부
2022.08.14 - [산업] - [물류] 스위스 지하물류망 프로젝트 ‘Cargo Sous Terrain’
[물류] 스위스 지하물류망 프로젝트 ‘Cargo Sous Terrain’
스위스에서 도시간 지하터널 24시간 화물 운송 시스템 프로젝트인 CTS(Cargo Sous Terrain)가 본격 추진된다. * (프랑스어) : cargo 화물, sous ~ 아래의, terrain 토지 ; (직역) 지하의 화물 Cargo Sous Terrain..
thecce.kr
2022.06.01 - [산업/건물] - [건물] 2021년 건물에너지 사용량 통계
[건물] 2021년 건물에너지 사용량 통계
국토교통부가 건축물 정보와 에너지사용량 정보(건축물 에너지·온실가스 정보체계)를 바탕으로 발표한 전국 모든 건물의`21년에너지사용량 통계*에 따르면 단위면적 당 건물에너지사용량
thecce.kr
'건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물] 서울시「건물 온실가스 총량제 제도」 개요 (0) | 2022.10.21 |
---|---|
[태양광] 정부, 「BIPV 산업생태계 활성화 방안」 (0) | 2022.10.11 |
[수열] 수열에너지,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 포함 (0) | 2022.09.01 |
[건축]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제도 (0) | 2022.09.01 |
[건축] 서울시, ‘2차 녹색건축물 조성계획’ 수립 (0) | 2022.07.11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