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물

[다소비] 서울시, 2021 에너지 다소비 건물 순위

by TheCCE 2022. 11. 23.
728x90
반응형
SMALL

 

 

 

 

 

 

□ 전 세계적인 에너지 위기로 에너지 절약이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서울시내 주요 대형건물인 대학교, 병원, 백화점, 업무시설 등의 에너지다소비건물은 에너지 소비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시는 건물 부문의 에너지 수요관리 및 절약을 위해 서울 소재 에너지다소비건물(아파트 제외)의 2021년도 에너지 사용량 순위를 공개했다.

 

○ ‘에너지다소비건물’은 연간 에너지 사용량이 2,000TOE(Ton of Oil Equivalent–석유환산톤) 이상인 건물로, 2021년 말 기준 서울에 316개소(아파트 152개소 제외)가 있으며 서울시 전체 건물 에너지 사용량의 25.8%를 소비하고 있다.

 

※ 서울시 건물부문 에너지사용량(7,650천TOE), 에너지다소비건물사용량(1,975천TOE)

 

※ 에너지단위 : TOE(Ton of Oil Equivalent, 석유환산톤)

원유 1톤이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열량(10^7Kcal, 10의 7승 Kcal)을 1toe로 정의하며, 석유제품(ℓ), 천연가스(kg), 전기(kWh) 등 다양한 에너지원의 에너지양을 비교하기 위해 국제에너지기구가 표준화한 단위

 

 

 

□ 서울대학교는 10년 연속 서울지역 에너지 사용량 1위를 기록했으며, 에너지다소비건물 총 316개소 중 약 3분의 2에 해당하는 197개소가 전년 대비 에너지사용량이 증가했다.

 

특히, ’17~’20년 사이 서울시의 에너지 총사용량은 11.8% 줄어든 반면, 에너지다소비건물의 평균에너지 사용량은 ’17년 5.81(천TOE/년)에서 ’21년 6.25(천TOE/년)로 7.6% 늘어났다.

 

 

< ’17~’21 에너지다소비건물 수 및 에너지 총사용량, 평균 사용량 >

(단위 : 천TOE/년)

구 분 2017 2018 2019 2020 2021
건물수 333 328 324 316 316
총사용량 1,933 1,991 1,993 1,900 1,975
평균사용량 5.81 6.07 6.15 6.01 6.25

 

 

< ’17~’20 서울시 에너지 총사용량 >

(단위 : 천TOE/년)

2017 2018 2019 2020 2021
15,095 14,746 14,152 13,316 집계 중

※ 서울시 에너지 총사용량 자료 출처: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

 

 

 

서울대학교

 

 

 

< 에너지 사용량 1위는 서울대학교, 단위면적당 1위는 KT 목동IDC >

 

 

□ 지난해 서울시 에너지다소비건물 316개소 중 에너지를 가장 많이 사용한 시설은 서울대학교로 나타났다. 이어 LG사이언스파크(EAST), KT목동IDC 1‧2, LG 가산IDC 순으로 에너지 소비량이 많았다.

 

 

< 최근 5년간 에너지다소비 건물 순위 >

 

구 분 2017 2018 2019 2020 2021
1위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2위 KT목동IDC KT 목동IDC1 KT 목동IDC1 KT 목동IDC1 LG사이언스 파크
(EAST)
3위 LG 가산 IDC LG사이언스 파크
(EAST)
LG 가산IDC LG사이언스 파크
(EAST)
KT 목동IDC1
4위 삼성서울병원 LG 가산IDC LG사이언스 파크
(EAST)
LG 가산IDC KT 목동IDC2
5위 서울아산병원 서울아산병원 롯데월드타워 서울아산병원 LG 가산IDC

 

 

□ 서울대학교는 2012년 이후 10년 연속 서울지역에서 에너지 사용이 가장 많은 시설로 조사됐다. 통합관리시스템으로 전력 소비량을 관리하고 고효율설비로 교체하는 등 절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사용량은 전년 대비 2,543TOE가 증가했다.

 

 

□ 단위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이 많은 건물은 1위부터 10위까지 전부 데이터센터가 차지했다. 데이터센터의 단위면적당 사용량은 에너지다소비건물 평균(0.069TOE)보다 5.6배 높은 0.386TOE로, 사물인터넷(IoT) 등으로 데이터센터 수요가 급증한데다 일정 온도로 24간 내내 가동하는 특성상 에너지 소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에너지다소비건물 수는 백화점 최다, 단위면적당 사용량 데이터센터가 압도적>

 

 

□ 분야별로 살펴보면, 에너지다소비건물은 백화점 45개, 병원 30개 순이였으며, 총 에너지 사용량과 단위면적당 에너지 사용량은 24시간 운영되는 데이터센터, 최첨단 의료 장비가 많은 병원 순으로 나타났다.

 

 

< ’21년 분야별 에너지다소비 건물 현황 >

 

구 분 데이터센터 병원 연구소 학교 호텔 공공
건물
백화점 업무·
기타
건물수 316 19 30 11 24 21 21 45 145
총에너지 사용량(천toe) 1,975 289 287 98 211 134 117 196 645
단위면적당 사용량(toe) 0.069 0.386 0.071 0.058 0.031 0.058 0.040 0.043 0.049

 

 

□ 분야별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은 광운대학교(대학), 강남성심병원(병원), 호텔신라(호텔), 코스트코리아 양평점(백화점), SK텔레콤 성수사옥(업무), KT IDC2(IDC/연구소), 기상청(공공)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운대학교의 경우 학교 평균 0.031TOE에 3배를 상회하는 0.111TOE를 사용해 에너지효율화 등 각별한 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에너지다소비건물 197개 사용량 증가, 중구영등포구에 최다 위치 >

 

 

□ 지난해 에너지다소비건물 316개소 중 전년 대비 에너지 사용량을 줄인 건물은 106개였으며, 총 절감량은 19,924TOE였다.

 

□ 설비를 이전한 국민은행 여의도전산센터와 공실률이 증가한 더케이트윈타워는 외부 요인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이 감소했으며, 롯데정보통신과 LG사이언스파크 등은 고효율 냉난방 설비 전환 및 재생에너지 사용 등 건물 에너지 효율 개선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 LG전자 사이언스파크 서측부지의 경우, 사내 에너지 관리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최신 에너지 절감 설비와 효율 향상 기술을 도입해 전년 대비 6.2%에너지 절감을 이뤄냈다. 또한, 태양광과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도입과 패시브·액티브 디자인* 채택으로 국내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1+++ 최고등급’과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인 리드(LEED**) 최고등급 ‘플래티넘’을 획득하기도 했다.

 

* 액티브 디자인(태양열 등 외부에너지를 능동적 활용), 패시브 디자인(단열시스템 등을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

※ LEED : 미국 그린빌딩위원회(USGBC) 친환경 건축 인증제도

 

○ 롯데정보통신은 전기로 압축기를 가동해 냉매온도를 낮추는 일반냉방에서 낮은 온도의 외기로 냉매를 냉각시키는 복합/프리쿨링 냉방 방식 적용을 통해 10.7%의 에너지를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전년 대비 에너지사용량이 증가한 건물은 197개였으며, 증가한 에너지는 총 90,393TOE였다. 증가량이 많은 상위 10개소는 파크원 타워, KT목동IDC2, LG사이언스파크 동측부지, 서울대학교 등이었으며, 대부분 건물 입주율 상승, 이용객 증가, 설비 증설 등의 사유로 사용량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 가장 큰 증가량을 보인 여의도 파크원 타워는 전년대비 18,641 TOE가 증가해 700% 이상의 사용량 증가율을 보였다. 이는 대형 유통매장인 ‘더 현대 서울’이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입점하면서 사용량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시내 25개 자치구 중 에너지다소비건물이 가장 많이 위치한 자치구는 41개소가 위치한 중구로 평균 12.6개의 3배 이상이 많았다. 반면, 중랑구는 서울의료원 1곳만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에너지다소비건물이 가장 많이 위치한 중구의 경우 서울시 전체 에너지다소비 호텔 21개 중 5곳이 위치했으며, 백화점도 5개 포함되는 등 주로 상업용 건물이 많이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2위인 영등포구는 여의도를 중심으로 금융 관련 업무시설들이 집중되어 있었으며, 3위인 서초구의 경우 삼성(4개소), LG(4개소) 등 대기업 계열 사옥 및 연구시설이 다수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한편, 서울시는 에너지다소비건물 등 대형건물의 에너지효율화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먼저, 민간건물 에너지효율화 사업을 위해 최대 20억원까지 무이자 융자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3,000m2 이상 중․대형 건물의 에너지절감을 통한 온실가스감축을 위해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도 도입 중이다.

 

또한, 매년 에너지다소비건물 순위 공개와 겨울철 적정 난방온도 준수 점검 등을 통해 에너지다소비건물의 에너지 절약을 촉진하고 있다.

 

○ 서울시는 대형건물의 에너지절감 유도를 위해 삼성서울병원의 수열에너지 설치와 지역난방 교체 사업을 위해 각 20억원씩 총 40억원을 무이자 융자지원 한 바 있으며, 이를 통해 약 60% 이상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서울시민들의 에너지 절약과 효율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작 일부 에너지다소비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은 줄어 들고 있지 않아 안타깝다”며 “내년에 중앙정부로부터 건물 에너지효율 관리 권한이 이양되는 만큼,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 등을 통해 대형건물의 에너지 소비 절감을 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반응형

 

 

에너지다소비건물 에너지사용 자료(’21년 기준)

 

 

□ 연도별 서울지역 에너지다소비건물 순위

 

구 분 2017 2018 2019 2020 2021
1위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2위 KT목동IDC KT 목동IDC1 KT 목동IDC1 KT 목동IDC1 LG사이언스 파크
(EAST)
3위 LG 가산 IDC LG사이언스 파크
(EAST)
LG 가산IDC LG사이언스 파크
(EAST)
KT 목동IDC1
4위 삼성서울병원 LG 가산IDC LG사이언스 파크
(EAST)
LG 가산IDC KT 목동IDC2
5위 서울아산병원 서울아산병원 티엠단지관리단
(롯데월드타워)
서울아산병원 LG 가산IDC

 

 

□ 2017~2021 에너지다소비건물 수 및 에너지 총사용량, 평균사용량

(단위 : 천TOE/년)

구 분 2017 2018 2019 2020 2021
건물수 333 328 324 316 316
총사용량 1,933 1,991 1,993 1,900 1,975
평균사용량 5.81 6.07 6.15 6.01 6.25

 

 

□ 2021년 용도별 단위면적당 에너지 사용량

(단위 : TOE/㎡)

구 분 IDC 병원 상용 공공 호텔 연구소 백화점 대학교
사용량 0.386 0.071 0.049 0.040 0.058 0.058 0.043 0.031

 

 

□ 2021년 에너지 다소비건물 업종별 현황

 

구 분 IDC 병원 연구소 학교 호텔 공공
건물
백화점 업무·
기타
건물수 316 19 30 11 24 21 21 45 145
총에너지 사용량(천toe) 1,975 289 287 98 211 134 117 196 645
평균사용량(천toe) 6.3 15.2 9.6 8.9 8.8 6.4 5.6 4.3 4.4
단위면적당 사용량(toe) 0.069 0.386 0.071 0.058 0.031 0.058 0.040 0.043 0.049

 

 

□ 2021년 에너지 소비 절감량 및 절감률 큰 건물 순위

 

 

ㅇ ’21년 에너지 절감량이 큰 건물 순위

(단위 : TOE/년)

순 위 건 물 명 에너지절감량
2020사용량 2021사용량 전년대비 절감량
1위 ㈜국민은행
(여의도 전산센터)
8,868 7,044 1,825
2위 더케이트윈타워 4,423 2,725 1,698
3위 롯데정보통신 7,945 7,091 853
4위 한국경제신문 3,283 2,534 748
5위 SK텔레콤 성수사옥 15,444 14,715 729
6위 파크하비오 7,787 7,128 659
7위 종로타운관리(주) 3,526 2,949 577
8위 SK텔레콤 수유사옥 3,498 2,957 541
9위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7,731 7,260 470
10위 LG사이언스파크(서측부지) 7,351 6,892 459

 

 

ㅇ ’21년 에너지 절감률이 큰 건물 순위

(단위 : TOE/년)

순 위 건 물 명 에너지절감률
2020사용량 2021사용량 전년대비 절감률
1위 데케이트윈타워 4,423 2,725 -38.38%
2위 한국경제신문 3,283 2,534 -22.80%
3위 ㈜국민은행(여의도 전산센터) 8,868 7,044 -20.57%
4위 종로타운관리(주) 3,526 2,949 -16.37%
5위 SK텔레콤 수유사옥 3,498 2,957 -15.48%
6위 동대문밀리오레관리단 3,053 2,694 -11.77%
7위 롯데정보통신 7,945 7,091 -10.74%
8위 롯데쇼핑주식회사 노원점 4,102 3,716 -9.40%
9위 경찰청 경찰병원 2,526 2,298 -9.04%
10위 파크하비오 7,787 7,128 -8.46%

 

 

□ 업종별 에너지 소비순위

(단위 : TOE/년)

구 분 1위 2위 3위 4위 5위
학교 건물명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한양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에너지
사용량
53,318 19,444 19,353 14,849 12,939
병원 건물명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연세의료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성모병원
에너지
사용량
36,346 34,192 33,597 24,724 19,468
호텔 건물명 호텔롯데월드 호텔롯데서울 (주) 워커힐 주)호텔신라 (주)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에너지
사용량
25,776 16,007 9,517 9,369 9,048
백화점 건물명 HDC아이파크몰 디큐브시티 (주)경방
타임스퀘어
롯데몰
김포공항점
신도림
테크노마트(주)
에너지
사용량
11,394 10,683 10,027 8,454 8,196
업무
시설
건물명 롯데월드타워 ㈜더블유티씨서울 파크원타워 SK텔레콤
성수사옥
(주)신세계
센트럴시티
에너지
사용량
31,715 26,954 21,278 14,715 12,458
IDC/
연구소
건물명 LG사이언스파크
(EAST)
KT 목동IDC1 KT 목동IDC2 LG 가산IDC (주) LG U+
(상암사옥)
에너지
사용량
47,938 45,744 42,333 40,572 19,560
공공 건물명 서울특별시
농수산식품공사
한국공항공사
서울지역본부
국회사무처 한국방송공사 정부서울청사
에너지
사용량
27,321 17,778 10,530 8,351 5,510

 

 

□ 업종별 단위면적당 에너지 소비 순위

(단위 : TOE/㎡)

구 분 1위 2위 3위 4위 5위
학교 건물명 광운대학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서울캠퍼스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0.111 0.053 0.049 0.039 0.033
병원 건물명 강남성심병원 이대목동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0.120 0.091 0.089 0.087 0.086
호텔 건물명 ㈜호텔신라 신세계센트럴시티
호텔부문
㈜조선호텔 (유)그랜드
하얏트 서울
더 플라자 호텔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0.113 0.092 0.087 0.082 0.072
백화점 건물명 코스트코
코리아 양평점
수협중앙회
강서공판장
SIFC 리테일몰 현대백화점
신촌점
주식회사 디오트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0.082 0.074 0.073 0.070 0.065
업무
시설
건물명 SK텔레콤
성수사옥
SK브로드밴드
㈜ 동작
SK텔레콤
수유사옥
SK텔레콤
보라매사옥
롯데정보통신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0.496 0.293 0.274 0.219 0.200
IDC/
연구소
건물명 KT목동IDC2 KT목동IDC1 (주)LG U+
서초IDC1센터
(주)LG U+
논현IDC
LG 가산IDC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0.841 0.713 0.572 0.556 0.541
공공 건물명 기상청 한국은행
강남본부
한국방송공사 경찰청 서울특별시
농수산식품공사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
0.105 0.067 0.063 0.059 0.056

 

 

□ 자지구별 에너지다소비 건물 현황

(단위 : TOE/년)

순위 자치구 건물수 에너지 사용 총량 최다 에너지 사용 건물
1 중구 41 161,226 호텔롯데
2 영등포구 33 169,799 파크윈타워
3 서초구 28 141,342 서울성모병원
4 강남구 26 174,795 서울삼성병원
5 송파구 25 196,636 서울아산병원
6 마포구 20 120,224 LGU+ 상암사옥
6 종로구 20 101,713 서울대학교병원
8 금천구 16 88,908 LG 가산 ICD
9 강서구 14 119,601 LG사이언스파크(EAST)
10 노원구 10 39,755 한국원자력의학원
10 용산구 10 49,338 HDC 아이파크몰
12 동작구 9 52,522 중앙대학교
13 광진구 8 50,639 건국대학교
13 구로구 8 49,717 디큐브시티
15 강동구 7 31,578 중앙보훈병원
15 양천구 7 119,678 KT 목동IDC 1
17 서대문구 6 76,608 연세의료원
17 성북구 6 47,437 고려대학교
19 성동구 5 43,503 한양대학교
19 동대문구 5 24,414 경희대학교
21 은평구 4 21,535 은평성모병원
22 관악구 3 78,129 서울대학교
23 강북구 2 5,564 SK텔레콤 수유사옥
23 도봉구 2 6,136 ㈜ 농협유통 창동농산물 종합유통센터
25 중랑구 1 4,604 서울의료원

 

 


 

 

서울시 2021년 에너지다소비건물 순위

 

서울시 2021년 에너지다소비건물 순위(아파트 제외).pdf
0.15MB

 

 

 

* 출처 : 서울시

 

 


 

 

 

 

2022.10.21 - [건물] - [건물] 서울시「건물 온실가스 총량제 제도」 개요

 

[건물] 서울시「건물 온실가스 총량제 제도」 개요

서울시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 제도」 ■ 배 경 서울의 온실가스 배출량의 68.7%인 32백만톤 건물에서 발생 * 전체 건물의 21.%인 3천m2 이상(1.3만동)이 건물부문 온실가스의 26.5% 차지, 집중관리 필

thecce.kr

 

 

 

 

2022.06.01 - [건물] - [건물] 2021년 건물에너지 사용량 통계

 

[건물] 2021년 건물에너지 사용량 통계

국토교통부가 건축물 정보와 에너지사용량 정보(건축물 에너지·온실가스 정보체계)를 바탕으로 발표한 전국 모든 건물의`21년에너지사용량 통계*에 따르면 단위면적 당 건물에너지사용량이 꾸

thecce.kr

 

 

 

 

 

728x90
반응형
BIG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