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20년, 2021년에 이어 2022년에도 인구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2022년 12월 31일 기준, 우리나라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주민등록 인구는 51,439,038명으로 2021년(51,638,809명/’21.12.31 기준)에 비해 199,771명*이(-0.39%) 줄어들었다.
* 순수 자연적 요인(출생-사망) 감소는 118,003명, 장기 거주불명자 직권말소는 101,938명
□ 또한 주민등록 인구 감소세는 지속되고 있는 반면, 1인 세대의 비중이 커지면서 세대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3년 연속 주민등록 인구감소(5,183만명(’20년)→5,164만명(’21년)→5,144만명(’22년))
○ 성별로 보면, 남자 인구 감소는 4년 연속 계속되었으며, 여자 인구 또한 2021년에 이어 2년 연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2. 남·녀간 인구격차 역대 최대(165,136명)
○ 2015년 처음으로 여자 인구가 남자 인구를 추월한 이래,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던 여자(25,802,087명)와 남자(25,636,951명)간의 인구 격차(여자-남자)는 역대 최대(165,136명)로 벌어졌다.
3. 1인 세대(41.0%) 증가 지속
○ 세대수 증가는 해마다 지속되고 있으며, 2021년말 대비 232,919세대(0.99%↑) 증가하여 23,705,814세대를 기록하였고, 평균 세대원수는 사상 최저치인 2.17명으로 감소하였다.
○ 1인 세대는 증가세가 이어져 9,724,256세대(41.0%)를 기록하여 1,000만 세대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는 반면, 3인·4인 세대 이상 비중은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 1, 2인세대가 전체의 65.2%(1.0%p↑, ’21년말 대비) 차지
4. 전체 여자 인구 중 고령(65세이상)인구 비중 20% 돌파(20.1%)
○ 연령대별 인구를 살펴보면, 50대가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2021년말에 비해 60대 이상 전 연령층에서 인구가 증가하였다.
※ 50대(16.7%) > 40대(15.7%) > 60대(14.4%) > 30대(12.9%) > 20대(12.5%) > 70대이상(11.8%) > 10대(9.1%) > 10대미만(6.9%)
○ 2017년 고령사회에 진입한 이후, 고령(65세 이상)인구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2년말 전체 인구의 18.0%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고령인구 성별 비중은 여자(20.1%)가 처음으로 20%를 돌파하였으며, 남자(15.9%) 보다 4.2%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경기(23,982명↑)·인천(18,939명↑)·세종(11,696명↑)·충남(3,780명↑)·제주(1,400명↑)를 제외한 나머지 광역자치단체의 인구감소
○ 2021년말 대비 인구가 증가한 자치단체는 경기(23,982명↑), 인천(18,939명↑), 세종(11,696명↑), 충남(3,780명↑) 및 제주(1,400명↑) 등 광역 5곳이고, 인천 서구(33,633명↑), 경기 화성시(23,799명↑), 경기 평택시(14,241명↑), 경기 파주시(12,070명↑), 충남 아산시(9,959명↑) 등 기초 52곳이다.
2022년 주민등록 인구통계 분석 |
1. 주민등록 인구 및 성별 현황 |
◇ ’22년말 주민등록 인구는 51,439,038명(전년대비 △199,771명, △0.39%) - 남자는 25,636,951명(49.8%), 4년 연속 감소 - 여자는 25,802,087명(50.2%), 2년 연속 감소 |
○ 주민등록 인구가 ’20년, ’21년에 이어 작년에도 감소하였다. 인구감소 폭이 전년에 비해 증가하였는데, 이는 자연적 요인(△118,003명)에 의한 감소뿐만 아니라 장기 거주불명자 직권말소(△101,938명)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 5년이상 거주지를 등록하지 않은 장기 거주불명자에 대한 사실조사가 전국 읍·면·동에서 동시에 추진, 장기 거주불명자 101,938명 직권말소 |
○ 성별로 살펴보면, 남자 인구는 4년 연속 감소하였고, 여자 인구는 ’21년 사상 첫 감소 이래 2년 연속 줄어들었다.
- 또한, ’15년 처음으로 여자 인구가 남자를 추월한 이래,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던 여자와 남자간의 인구 격차(여자 - 남자)는 역대 최대(165,136명)로 벌어졌다.
《 ’13.∼’22년 성별 인구수 및 전년대비 증감 현황 》
(단위 : 명)
구분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인구 | 5,114만 | 5,133만 | 5,153만 | 5,170만 | 5,178만 | 5,183만 | 5,185만 | 5,183만 | 5,164만 | 5,144만 | |
남 | 2,559만 | 2,567만 | 2,576만 | 2,583만 | 2,586만 | 2,587만 | 2,586만 | 2,584만 | 2,575만 | 2,564만 | |
증감 | 84,276 | 80,960 | 88,890 | 69,408 | 28,325 | 10,210 | △1,313 | △23,787 | △94,345 | △109,733 | |
여 | 2,555만 | 2,566만 | 2,577만 | 2,587만 | 2,592만 | 2,596만 | 2,599만 | 2,599만 | 2,589만 | 2,580만 | |
증감 | 108,915 | 105,493 | 112,532 | 97,470 | 54,003 | 37,305 | 25,115 | 2,949 | △95,869 | △90,038 |
《 ’13.∼’22년 성별 주민등록 인구 추이 》
《 ’13.∼’22년 연도별 인구수 및 남녀간 격차 》
(단위 : 만명)
구분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인구 | 5,114 | 5,133 | 5,153 | 5,170 | 5,178 | 5,183 | 5,185 | 5,183 | 5,164 | 5,144 |
전년대비 증감 | 19.3 | 18.6 | 20.1 | 16.7 | 8.2 | 4.8 | 2.4 | △2..1 | △19.0 | △20.0 |
격차 (여-남) |
△3.5 | △1.1 | 1.3 | 4.1 | 6.7 | 9.4 | 12.0 | 14.7 | 14.5 | 16.5 |
《 ’13.∼’22년 주민등록 인구수 및 증감 현황 》
2. 세대수 및 평균 세대원수 |
◇ ’22년말 세대수는 23,705,814세대(전년대비 0.99%↑), 평균 세대원수는 2.17명 - 1인세대 사상 첫 40%(’21년) 넘어선 이후 증가추세 이어져..1,000만세대 돌파 목전 |
○ 전체 세대수는 ’21년말 보다 232,919세대(0.99%↑) 증가하여 2,371만세대로 나타났고, 평균 세대원수는 2.17명으로 감소하였다.
○ 세대원수별로 살펴보면, 전체세대 중 1인세대는 9,724,256세대(41.0%)로 전년보다 260만세대 늘어나 1,000만세대 돌파를 앞두고 있는 반면에, 3인, 4인세대이상 비중은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 1, 2인세대 합계 비중은 ’21년말 64.2%에서 ’22년말 65.2%로 1.0%p 증가하였으며, 3, 4인세대이상 합계 비중은 ’21년말 35.7%에서 ’22년말 34.7%로 감소하였다.
《 ’13.∼’22년 세대수 및 평균 세대원수 현황 》
(기준 : 만세대, 명)
구 분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세대 | 2,046 | 2,072 | 2,101 | 2,129 | 2,163 | 2,204 | 2,248 | 2,309 | 2,347 | 2,371 |
평균 세대원 |
2.50 | 2.48 | 2.45 | 2.43 | 2.39 | 2.35 | 2.31 | 2.24 | 2.20 | 2.17 |
《 ’16.∼’22년 세대원수별 비중 변화 》
(단위 : 세대)
구 분 | 전체 세대 | 1인세대 | 2인세대 | 3인세대 | 4인세대 이상 |
|
세대수 | 전년대비 증감(%) | |||||
‘22 | 23,705,814 | 232,919 | 9,724,256 | 5,744,486 | 4,010,553 | 4,226,519 |
(0.99) | (41.0%) | (24.2%) | (16.9%) | (17.8%) | ||
‘21 | 23,472,895 | 379,787 | 9,461,695 | 5,613,943 | 3,998,644 | 4,398,613 |
(1.64) | (40.3%) | (23.9%) | (17.0%) | (18.7%) | ||
’20 | 23,093,108 | 611,642 | 9,063,362 | 5,404,332 | 4,011,660 | 4,613,754 |
(2.72) | (39.2%) | (23.4%) | (17.4%) | (20.0%) | ||
’19 | 22,481,466 | 438,519 | 8,488,621 | 5,129,120 | 4,005,553 | 4,858,172 |
(1.99) | (37.8%) | (22.8%) | (17.8%) | (21.6%) | ||
’18 | 22,042,947 | 410,096 | 8,085,526 | 4,929,337 | 3,984,045 | 5,044,039 |
(1.90) | (36.7%) | (22.4%) | (18.1%) | (22.9%) | ||
’17 | 21,632,851 | 338,842 | 7,725,203 | 4,734,928 | 3,959,421 | 5,213,299 |
(1.59) | (35.7%) | (21.9%) | (18.3%) | (24.1%) | ||
’16 | 21,294,009 | 282,857 | 7,446,665 | 4,568,962 | 3,927,088 | 5,351,294 |
(1.35) | (35.0%) | (21.5%) | (18.4%) | (25.1%) |
3. 연령대별 인구 |
◇전체 인구 중 50대가 여전히 가장 큰 비중 차지.. - 60대, 70대이상 인구 증가 지속(60대 238,827명↑, 3.33%↑, 70대이상 258,718명↑, 4.44%↑) |
○ 연령대별 비중을 살펴보면, 50대(16.74%)가 전체 인구 중 여전히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40대(15.69%), 60대(14.39%), 30대(12.86%), 20대(12.48%), 70대이상(11.82%), 10대(9.14%), 10대미만(6.87%) 순이다.
- 또한, 성별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50대이하에서는 남자 인구가 더 많고, 60대이상에서는 여자 인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대별 비중을 ’21년말과 비교하면, 10대미만은 0.41%p, 20대는 0.41%p, 30대는 0.16%p, 40대는 0.13%p 감소한 반면, 10대는 0.02%p, 50대는 0.02%p, 60대는 0.52%p, 70대이상은 0.54%p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 ’22년 성·연령대별 인구수 및 비중 》
(단위 : 명, %)
구 분 | 0~9세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이상 |
전 체 | 353만 | 470만 | 642만 | 662만 | 807만 | 861만 | 740만 | 608만 |
(6.87) | (9.14) | (12.48) | (12.86) | (15.69) | (16.74) | (14.39) | (11.82) | |
남 자 | 181만 | 242만 | 336만 | 343만 | 410만 | 435만 | 364만 | 252만 |
(7.06) | (9.45) | (13.11) | (13.37) | (15.99) | (16.98) | (14.18) | (9.85) | |
여 자 | 172만 | 228만 | 306만 | 319만 | 397만 | 426만 | 377만 | 356만 |
(6.67) | (8.83) | (11.84) | (12.35) | (15.40) | (16.51) | (14.60) | (13.79) |
《 ’21년 및 ’22년 연령대별 인구 비중 》
(단위 : %)
구 분 | 0∼9세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이상 |
’22 | 6.87 | 9.14 | 12.48 | 12.86 | 15.69 | 16.74 | 14.39 | 11.82 |
’21 | 7.28 | 9.12 | 12.89 | 13.02 | 15.82 | 16.72 | 13.87 | 11.28 |
《 ’22년 성·연령대별 인구 현황 》
《 ’13.∼’22년 연령대별 인구 비중 추이 》
◇ 고령(65세이상)인구 927만명,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 18% 돌파 - 여자 고령인구 비중은 20% 넘어서.. |
○ 증가 추세를 이어가던 고령(65세이상)인구는 9,267,290명으로 900만명을 넘어서 전체 인구의 18.0% 차지하고 있다.
- 고령인구 성별 비중은 여자가 처음으로 20%를 돌파(20.1%)하였으며, 남자(15.9%)에 비해 4.2%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연도별 성별 고령(65세이상) 인구 비중 추이 》
(단위 : 명, %)
구 분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전 체 | 625만 | 652만 | 678만 | 700만 | 736만 | 765만 | 803만 | 850만 | 885만 | 927만 |
(12.2) | (12.7) | (13.1) | (13.5) | (14.2) | (14.8) | (15.5) | (16.4) | (17.1) | (18.0) | |
남 자 | 260만 | 273만 | 285만 | 296만 | 313만 | 327만 | 346만 | 368만 | 386만 | 407만 |
(10.1) | (10.6) | (11.1) | (11.4) | (12.1) | (12.7) | (13.4) | (14.2) | (15.0) | (15.9) | |
여 자 | 365만 | 379만 | 392만 | 404만 | 423만 | 438만 | 457만 | 482만 | 499만 | 520만 |
(14.3) | (14.8) | (15.2) | (15.6) | (16.3) | (16.9) | (17.6) | (18.5) | (19.3) | (20.1) |
※ 국제연합(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인 경우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구분
○ 17개 시·도별로 살펴보면, 전남(25.17%), 경북(23.78%), 전북(23.20%), 강원(22.77%), 부산(21.47%), 충남(20.58%) 등 6곳은 초고령사회에 해당됨을 확인할 수 있다.
- 특히, ’21년말과 비교할 때 충남(고령→초고령), 울산(고령화→고령), 경기(고령화→고령) 등 3곳은 각각 초고령사회,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모습을 보였다.
○ 226개 시·군·구별로 살펴보면, 시 지역(75개)에서는 초고령사회가 32곳(42.7%)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고령사회가 30곳(40.0%), 고령화사회가 13곳(17.3%)이었으며,
- 군 지역(82개)에서는 초고령사회가 76곳(92.7%)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고령사회가 6곳(7.3%), 구 지역(69개)에서는 고령사회가 40곳(58.0%), 초고령사회가 23곳(33.3%), 고령화사회가 6곳(8.7%)인 것으로 나타났다.
《 ’21년 및 ’22년 시·도별 고령(65세이상) 인구 현황 》
(단위 : 명, %)
구 분 |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 세 종 |
‘22 | 166만 | 71만 | 44만 | 46만 | 22만 | 23만 | 16만 | 4만 |
(17.59) | (21.47) | (18.43) | (15.63) | (15.58) | (16.09) | (14.75) | (10.48) | |
‘21 | 160만 | 68만 | 42만 | 44만 | 21만 | 22만 | 15만 | 4만 |
(16.80) | (20.35) | (17.48) | (14.77) | (14.80) | (15.23) | (13.64) | (10.07) |
구 분 | 경 기 | 강 원 |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 경 남 | 제 주 |
‘22 | 199만 | 35만 | 32만 | 44만 | 41만 | 46만 | 62만 | 64만 | 12만 |
(14.66) | (22.77) | (19.87) | (20.58) | (23.20) | (25.17) | (23.78) | (19.47) | (17.07) | |
‘21 | 188만 | 33만 | 30만 | 42만 | 40만 | 45만 | 60만 | 61만 | 11만 |
(13.87) | (21.66) | (18.88) | (19.82) | (22.25) | (24.29) | (22.70) | (18.36) | (16.35) |
4. 출생(등록)자와 사망(말소)자 수 |
◇ ’22년 출생(등록)자 26만명 아래로.. 254,628명(전년대비 △3.23%) - 자연적 요인(출생-사망)에 의한 인구 감소폭 역대 최대.. |
○ 출생(등록)자 수는 ’16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온 반면에, 사망(말소)자 수는 3년 연속 증가하여 자연적 요인(출생-사망)에 의한 인구 감소는 10만명 이상(△118,003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하였다.
※ ’22년 사망(말소)자의 주된 사망원인은 통계청「2022년 사망원인통계 결과(’23.9월 공표예정)」에서 확인할 수 있으나, ’21년 사망자(317,680명)의 주된 사망원인은 악성신생물(암)(82,688명), 심장 질환(31,569명), 폐렴(22,812명), 뇌혈관 질환(22,607명), 자해(자살)(13,352명) 등 순으로 나타남
《 ’13.~’22년 연도별 출생(등록)자 및 사망(말소)자 현황 》
(단위 : 명)
구 분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
출 생(A) | 445,962 | 439,198 | 444,098 | 411,859 | 362,867 | |
증감 | △42,704 | △6,764 | 4,900 | △32,239 | △48,992 | |
사 망(B) | 266,971 | 267,690 | 277,490 | 279,027 | 285,542 | |
증감 | 370 | 719 | 9,800 | 1,537 | 6,515 | |
A-B | 178,991 | 171,508 | 166,608 | 132,832 | 77,325 |
구 분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출 생(A) | 334,115 | 308,697 | 275,815 | 263,127 | 254,628 | |
증감 | △28,752 | △25,418 | △32,882 | △12,688 | △8,499 | |
사 망(B) | 302,604 | 298,495 | 307,764 | 318,423 | 372,631 | |
증감 | 17,062 | △4,109 | 9,269 | 10,659 | 54,208 | |
A-B | 31,511 | 10,202 | △31,949 | △55,296 | △118,003 |
○ 출생(등록)자의 성비를 살펴보면, 105.0 밑으로 하락하였으며, ’22년 기준 여아(124,461명)에 비해 남아(130,167명)의 출생이 5,706명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 연도별 출생(등록)자 수 및 성비 》
(성비 : 여아 1백 명당 남아 수, 단위: 명)
구 분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계 | 439,198 | 444,098 | 411,859 | 362,867 | 334,115 | 308,697 | 275,815 | 263,127 | 254,628 |
남 자 | 225,167 | 227,712 | 210,796 | 186,937 | 171,261 | 158,368 | 141,263 | 134,816 | 130,167 |
여 자 | 214,031 | 216,386 | 201,063 | 175,930 | 162,854 | 150,329 | 134,552 | 128,311 | 124,461 |
성 비 | 105.2 | 105.2 | 104.8 | 106.3 | 105.2 | 105.3 | 105.0 | 105.1 | 104.6 |
5. 지역별 인구변동 |
◇ ’21년말 대비 인구가 증가한 자치단체는 광역 5곳, 기초 52곳뿐 - 증가(5) : 인천, 세종, 경기, 충남, 제주 |
○ 지역별 주민등록 인구변동을 살펴보면, 전체 17개 시·도 가운데 ’21년말 대비 인구가 증가한 곳은 경기(23,982명↑), 인천(18,939명↑), 세종(11,696명↑), 충남(3,780명↑), 제주(1,400명↑) 등 총 5곳이고,
- 시·군·구의 경우, 인구가 증가한 곳은 인천 서구(33,633명↑), 경기 화성시(23,799명↑), 경기 평택시(14,241명↑), 경기 파주시(12,070명↑), 충남 아산시(9,959명↑) 등을 포함한 총 52곳인 반면에, 경기 부천시(△15,939명), 인천 남동구(△12,091명), 경남 창원시(△11,254명), 경기 안산시(△11,066명), 부산 해운대구(△9,653명) 등 174곳의 인구는 감소하였다.
《 ’22년 시·도별 인구수 및 ’21년 대비 증감 현황 》
(단위 : 명)
구 분 |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 세 종 |
인구수 | 943만 | 332만 | 236만 | 297만 | 143만 | 145만 | 111만 | 38만 |
증 감 | △81,086 | △32,568 | △21,721 | 18,939 | △10,561 | △6,179 | △10,929 | 11,696 |
자연적 요 인 |
△11,973 | △13,350 | △7,183 | △4,161 | △1,764 | △1,441 | △848 | 1,626 |
사회적 요 인 |
△35,688 | △13,602 | △11,512 | 28,170 | △7,651 | △2,992 | △9,532 | 10,132 |
구 분 | 경 기 | 강 원 |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 경 남 | 제 주 |
인구수 | 1,359만 | 154만 | 160만 | 212만 | 177만 | 182만 | 260만 | 328만 | 68만 |
증 감 | 23,982 | △1,994 | △2,369 | 3,780 | △17,248 | △15,106 | △26,117 | △33,690 | 1,400 |
자연적 요 인 |
△1,919 | △7,622 | △6,431 | △9,175 | △10,533 | △12,783 | △16,287 | △12,999 | △1,160 |
사회적 요 인 |
43,971 | 7,550 | 5,216 | 14,359 | △5,088 | △333 | △7,627 | △18,529 | 3,156 |
※ ‘장기 거주불명자 직권말소’, ‘국적상실’, ‘재외국민의 주민등록’ 등 기타 요인에 의한 증감의 경우는 미포함
《 ’22년 시·도별 주민등록 인구 현황 》
《 ’21년 대비 ’22년 시·도별 주민등록 인구 증감 현황 》
* 자료 : 행정안전부
2022.12.23 - [종합] - [사회] 한국의 사회동향(Korean Social Trends) 2022
[사회] 한국의 사회동향(Korean Social Trends) 2022
□ 「한국의 사회동향(Korean Social Trends)」은 국민의 생활과 우리사회의 변화양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이야기방식(story-telling) 으로 서술한 종합사회보고서입니다. ㅇ통계청 통계개발원과 서
thecce.kr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 정부, 지방소멸 극복 ‘지역활력타운’ 조성 (0) | 2023.01.16 |
---|---|
[침수] 정부 ‘지하공간 침수 예방 대책’ 강화 (0) | 2023.01.16 |
[사회] 한국의 사회동향(Korean Social Trends) 2022 (0) | 2022.12.23 |
[성장] 정부 「신성장 4.0 전략 추진계획」 (0) | 2022.12.22 |
[부울경] 정부, 부·울·경 동반성장지원 3대 추진전략 (0) | 2022.12.19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