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최근 국민들의 일상생활 속 탄소중립 실천문화 확산을 위해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제공하는 ‘탄소중립 포인트’의 항목과 지급예산을 확대했다고 밝혔다.
○ 이번에 확대되는 ‘탄소중립 포인트’의 항목은 △다회용컵(텀블러 등) 이용, △폐휴대폰 반납, △고품질 재활용품(투명 페트병 등) 배출 등 4가지다. 환경부는 항목 확대를 위해 지난해 24.5억 원이던 탄소중립 포인트 지급예산을 올해 89억 원으로 대폭 늘렸다.
○ ‘탄소중립 포인트’는 2009년 에너지 분야(전기·수도·가스 절감)를 시작으로 2020년 자동차 분야(주행거리 감축), 2022년부터는 녹색생활 실천 분야로 확대되었고, 일상생활* 속에서 탄소중립을 실천할 때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지급하여 비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하는 제도다.
* 녹색생활 실천 분야 중 전자영수증 발급, 되채우기매장(리필스테이션) 이용, 다회용기 이용, 무공해차 대여, 그린카드로 친환경제품 구매 시 탄소중립 포인트 지급
이번에 확대되는 포인트 지급항목은 다음과 같다.
○ 첫 번째 ‘다회용컵(텀블러 등) 이용’의 경우, 탄소중립 포인트제에 참여한 커피전문점 등 매장에서 일회용이 아닌 다회용컵(텀블러 등)을 가져가 음료를 주문하면 포인트를 지급(1개당 300원)한다.
- 또한, 개인이 가져온 경우가 아닌 매장에서 일회용컵 대신 보증금을 부과하고 제공한 다회용컵을 반납*할 때도 개당 300원의 포인트를 지급한다.
* 스타벅스 등 일부 브랜드의 경우 다회용컵 사용문화 확산을 위하여 세종·제주 및 서울 일부 에코매장에서 일회용컵 대신 다회용컵(리유저블컵) 제공 중(일회용컵은 해당안됨)
- 다만, 다회용컵(텀블러 등) 이용 시 참여 매장별로 포인트 지급 적용시기*가 다르니, 자세한 내용은 ‘탄소중립 포인트’ 누리집(cpoint.or.kr/netzero)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스타벅스(‘23.1월중), 폴바셋(‘23.1.1~), 더벤티(‘23.1.16~), 메가MGC커피(‘23.2월~)
○ 두 번째, ’일회용컵 반환‘의 경우, 일회용컵 줄이기 실천행동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2일부터 세종시 및 제주도에서 시행되는 일회용컵 보증금제 참여 고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보증금제 일회용컵을 자원순환보증금앱(일회용컵반환앱)을 사용해 공공장소 컵 반납처 또는 매장에서 반납하면 ’탄소중립 포인트‘ 제도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포인트(개당 200원)를 지급한다.
※ 소비자는 자원순환보증금앱에서 포인트 지급을 위한 정보제공에 동의하면 되며, 보증금컵 반납 실적은 ’23.1.1일 반납분부터 소급 인정
※ 포인트는 익월말에 보증금 반환계좌로 정산‧입금(상세사항은 자원순환 보증금앱을 통해 공지 예정)
○ 세 번째, ‘폐휴대폰 반납’의 경우, 보상판매가 되지 않는 폐휴대폰을 탄소중립 포인트제에 참여하는 중고폰 거래 플랫폼(민팃 등)이나 e-순환거버넌스에서 운영하는 나눔폰 누리집(폐휴대폰 상시수거 누리집, 나눔폰.kr)를 통해 온라인 접수 후 택배(착불)로 반납하면 포인트를 지급(개당 1,000원)한다.
○ 네 번째, ‘고품질 재활용품 배출’의 경우, 깨끗한 투명 페트병, 빈 병, 책 등을 지자체*가 운영하는 수거 거점에 배출하면 포인트를 지급(1kg 당 100원)한다.
* 인천광역시(8개, 중구·연수구·미추홀구·동구·서구·남동구·부평구·계양구), 성남시, 고양시, 광주시, 의왕시, 여수시, 해남군, 대전 대덕구
이와 함께, ‘탄소중립 포인트’ 지급이 실제 실천활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탄소중립 포인트’ 제도도 개선하여, 실천지원금을 올해부터는 참여횟수에 따라 최대 5천원까지 차등 지급한다.
○ 가입만 하고 실천활동을 전혀 하지 않은 경우에는 실천지원금을 지급하지 않고, △1회 이상 참여 시 1천원, △3회 이상 참여 시 총 2천원*, △5회 이상 참여 시 총 3천 원, △10회 이상 참여 시 총 5천 원을 지급한다.
* 1회 이상 참여 후 1천원 지급 후 2회 더 참여하면 1천원 추가 지급(총 2천원)
녹색생활 실천 분야 ‘탄소중립 포인트’를 적립하려면 우선 탄소중립포인트제 누리집(cpoint.or.kr/netzero)과 탄소중립 포인트 제도에 참여한 업체(브랜드)의 앱이나 웹에서 가입하면 된다.
○ 회원가입 후에는 개인의 활동 실적이 자동으로 한국환경공단의 정산·지급 시스템으로 전송되며, 개인별 실적에 따라 다음달 말에 포인트가 현금(계좌이체), 그린카드 포인트 등 참여자가 제도 가입 시 선택한 지급방법으로 1인당 연간 최대 7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
○ 에너지 절약, 자동차 주행거리 절감량에 따라 각각 최대 10만 원, 녹색생활 실천 시 최대 7만 원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일상 속 저탄소 생활 활동으로 1인당 연간 최대 27만 원의 경제적 혜택을 얻을 수 있다.
○ 참여항목별 구체적인 가입 및 포인트 적립 방법에 대하여는 한국환경공단(keco.or.kr) 온라인 방송(유튜브)에 안내되어 있다.
< 탄소중립포인트제 개요 >
□ 개 요
○ 탄소중립 실천문화 확산을 위하여 에너지 사용량(‘09.7~)·자동차 주행거리(‘20.1~) 감축, 일상 속 실천활동(‘22. 1~) 실적에 대한 포인트 지급
□ 분야별 인센티브
○ 녹색생활 실천분야(연간 최대 7만원) ( * ‘23년 신설항목 )
실천항목 구분 | 포인트 산정금액 | 실천항목 구분 | 포인트 산정금액 |
1. 전자영수증 발급 | 100원/건 | 6. 무공해차 대여 | 100원/km |
* 2. 텀블러·다회용컵 이용 | 300원/개 | 7. 친환경제품 구매 | 1,000원/건 |
* 3. 일회용컵 반환 | 200원/개 | * 8. 고품질 재활용품 배출 | 100원/kg |
4. 리필스테이션 이용 | 2,000원/회 | * 9. 폐휴대폰 반납 | 1,000원/개 |
5. 다회용기 이용 | 1,000원/회 | 10. 미래세대실천행동 | 기후행동1.5℃ 운영계획에 따름 |
○ 에너지(전기·수도·가스 절감) 분야(가구당 1명 참여, 연간 최대 10만원)
감 축 률 | 전기 | 수도 | 도시가스 |
5% 이상 ~ 10% 미만 | 5,000 포인트 | 750 포인트 | 3,000 포인트 |
10%이상 ~ 15% 미만 | 10,000 포인트 | 1,500 포인트 | 6,000 포인트 |
15% 이상 | 15,000 포인트 | 2,000 포인트 | 8,000 포인트 |
※ 상업시설 참여자는 개인참여자 인센티브의 4배 지급
○ 자동차(주행거리 감축) 분야(연간 최대 10만원)
구 분 | 인센티브 산정기준 | ||||
감축률(%) | 0초과~10미만 | 10~20미만 | 20~30미만 | 30~40미만 | 40이상 |
감축량(km) | 0초과~1천미만 | 1~2천미만 | 2~3천미만 | 3~4천미만 | 4천이상 |
금액(만원) | 2 | 4 | 6 | 8 | 10 |
※ 비사업용 승용·승합차량 대상
[ 녹색생활 실천분야 탄소중립포인트 지급절차 ]
회원가입 (참여자) |
⇒ |
텀블러 이용 등 실천활동(참여자) |
참여정보 전송 |
포인트 산정 (한국환경 공단) |
⇒ |
포인트 지급 (한국환경공단) |
탄소중립포인트제* + 참여업체 앱** |
참여업체 앱에 참여정보 등록 |
⇒ | 탄소중립 포인트 시스템 |
포인트 금액 계좌입금 (지급방법 현금 선택시) |
||
지급방법 선택 (현금 또는 카드사 포인트 등) |
참여업체 | 이용실적 확인 |
카드사·업체 포인트로 지급 (지급방법 카드사 포인트 등 선택시) |
* 실명인증정보(휴대폰 등), 계좌정보, 생년, 이메일, ** 실명인증정보(휴대폰 등), 기타정보는 업체별 상이
< 탄소중립포인트제 참여기업 현황 >
(녹색생활 실천분야) 참여매장(‘23.1월 기준)
실천 항목 |
참여사 | 매장/지점 | 포인트 금액 |
참여 시점 |
|
전자 영수증 발급 (14개) |
쇼핑 | 갤러리아 백화점 |
명품관점, 타임월드점, 광교점, 센터시티점, 진주점,메종갤러리아점, 고메이494한남점 |
100원/건 | ’22.1 |
롯데 (마트, MAXX, 백화점) |
롯데마트, 롯데마트 MAXX | ’22.1 | |||
롯데백화점, 롯데아울렛, 롯데몰(롯데월드몰점 제외) 전체매장 |
’22.8 | ||||
신세계 백화점 |
본점, 타임스퀘어점, 강남점, 경기점, 의정부점, 하남점,센텀시티점, 마산점, 김해점, 대구신세계점, 천안아산점, 대전Art&Science점, 광주신세계점 |
’22.1 | |||
이마트 | 이마트, 트레이더스, 노브랜드, 일렉트로마트, PK마켓, 몰리스, 토이킹덤, 베이비서클 |
’22.1 | |||
현대 (백화점, 아울렛) |
(백화점) 압구정점, 무역센터점, 천호점, 신촌점, 미아점, 목동점, 디큐브시티점, 판교점, 중동점, 킨텍스점, 울산점, 울산동구점, 부산점, 대구점, 충청점, 더현대서울점 |
’22.1 | |||
(프리미엄아울렛) 김포점, 송도점, 대전점, SPACE1 (시티아울렛) 동대문점, 가산점, 가든파이브점, 대구점 |
’22.1 | ||||
홈플러스 | 홈플러스 전체 지점, 홈플러스express 전체 지점 | ’22.1 | |||
GS | GS25 전체 지점 | ’22.9 | |||
GS THE FRESH 전체 지점 | ’22.9 | ||||
CU | 전체 지점 | ’22.10 | |||
세븐일레븐 | 전국 지점 | ’22.9 | |||
세이브존 | 전국 지점 | (신규) ‘22.12. |
|||
HDC 아이파크몰 |
전국 지점 | (신규) ‘23.1. |
|||
병원 | 한림대 의료원 |
전국 지점 | (신규) ‘23.1. |
||
은행 | KB 국민은행 |
전국 지점 | (신규) ’22.12.13. |
||
통신 | KT | 전국 지점 | (신규) ‘22.12. |
||
텀블러· 다회용컵 이용 (4개) |
더벤티 | 전국 지점 | 300원/개 | (신규) ‘23.1.16 |
|
메가MGC커피 | 전국 지점 | (신규) ‘23.2. |
|||
스타벅스 | 전국 지점 | (신규) ‘23.1월중 |
|||
폴바셋 | 전국 지점 | (신규) ‘23.1.1 |
|||
일회용 컵 반환 |
COSMO (자원순환보증금 관리센터) |
공공장소 보증금제 일회용컵 반납처 또는 ‘일회용컵 보증금제’ 참여매장 (’22.12.2 세종‧제주 시행) ※ ‘자원순환보증금앱’ 하단 세 번째 아이콘 ‘매장 및 반환장소 찾기’ 참고 |
200원/개 (앱을 활용해 보증금컵 반납시 지급) |
(신규) ‘23.1.1 |
실천 항목 |
참여사 | 매장/지점 | 참여 시점 | |||
리필 스테 이션 이용 (5개) |
아로마티카 | 신사점, 하남점 | 2,000원/회 | ’22.1 | ||
아모레퍼시픽 | 이마트 자양점 | ’22.1 | ||||
슈가버블 | 성수점, 왕십리점, 은평점, 죽전점, 영등포점, 청계점, 자양점, 수원점, 성남점, 김포한강점 |
’22.1 | ||||
알맹상점 | 중구점, 마포구점(망원점) | ’22.1 | ||||
와플소프트 (에코도모) |
<리필스테이션 멤버쉽(11개사 참여 중)> | ’22.1 | ||||
지구자판기 (서울시 흑석동 중앙대) |
로하스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
|||||
제로에이블 (안양시 동안구) |
지구샵(서울시 마포구 연남점, 서울시 동작구 상도점, 여수시) |
|||||
플래닛어스 (인천시 연수구) |
광명시 더 채움샵 (광명시 업사이클센터) |
|||||
허그어웨일 (서울시 강서구 화곡동) |
1.5도씨(서울시 관악구) | |||||
프랜들리랩 (서울 구로구) |
싱글룸(청주시 상당구) | |||||
제주 꽃마리 리필스토어(제주시 연신로160) | ||||||
다회 용기 이용 (5개) |
배달특급 | 화성 동탄, 용인 수지 지역 | 1,000원/회 | ’22.1 | ||
요기요 | 강남구 ※1월부터 실적 반영 서초구 ※8/29부터 실적 반영 관악구 ※9/26부터 실적 반영 광진구 ※10/31부터 실적 반영 서대문구 ※11/16 부터 실적 반영 |
’22.1 | ||||
배달의 민족 | 강남구, 서초구 ※8/29부터 실적 반영 관악구 ※9/26부터 실적 반영 광진구 ※10/31부터 실적 반영 서대문구 ※11/16 부터 실적 반영 |
’22.8 | ||||
쿠팡이츠 | ||||||
땡겨요 | ||||||
무공해차 대여 (6개) |
쏘카 | 모바일 앱 이용자 | 100원/km | ’22.1 | ||
그린카 | 모바일 앱 이용자 | ’22.1 | ||||
피플카 | 모바일 앱 이용자 | ’22.1 | ||||
위블 비즈 | 모바일 앱 이용자 | ’22.10 | ||||
제이카 | 모바일 앱 이용자 | ’22.9 | ||||
카플랫 | 모바일 앱 이용자 | ’22.9 | ||||
친환경 제품 구매 (2개) |
결제 수단 |
그린카드 | 그린카드 녹색 매장 이용 및 그린카드 이용자 ※ 에코머니포인트 100포인트 이상 및 2,000원 이상의 친환경제품 구매시 |
1,000원/건 | ’22.1 | |
구매처 | 이마트 | 전국 지점 ※ 결제 수단 상관 없이 2,000원 이상의 친환경제품 구매시 |
’22.10 | |||
고품질 재활용품 배출(1개) |
㈜에코씨오 | 인천광역시 (8개, 중구·연수구·미추홀구·동구·서구·남동구· 부평구·계양구), 성남시, 고양시, 광주시, 의왕시, 여수시, 해남군, 대전 대덕구 등 15개 기초지자체의 119개 수거 거점 |
100원/kg | (신규) ‘23.1. |
||
폐휴대폰 반납 (2개) |
E-순환거버넌스 (자원순환 공제조합) |
나눔폰 홈페이지(폐휴대폰 상시수거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택배 발송 |
1,000원/개 | (신규) ‘23.1. |
||
민팃㈜ | 모바일 앱 이용자 | |||||
미래세대 실천행동 |
한국기후환경 네트워크 |
앱 「기후 행동 1.5℃」을 통해 회원가입 후, 매 학기 및 방학 챌린지 참여(어린이·청소년 대상) |
기후행동1.5℃운영계획에 따름 |
’22.1 |
※ 참여기업 및 매장은 지속 확대 예정이며, 참여사의 운영정책에 따라 일부 매장/지점은 변경 가능
* 출처 : 환경부
2022.04.21 - [정책] - [실천] 탄소중립포인트 통합 앱, ‘기후행동 1.5℃’
[실천] 탄소중립포인트 통합 앱, ‘기후행동 1.5℃’
3종류 탄소중립포인트를 통합플랫폼 앱, '기후행동 1.5℃' 출시 환경부는 탄소중립포인트 제도의 참여 방법, 개인별 실적 등을 일괄로 확인할 수 있는 탄소중립포인트 통합플랫폼 ‘기후행동 1.5
thecce.kr
2022.10.29 - [순환경제] - [재활용] 롯데마트, ‘고품질 재활용품 회수·보상 사업’ 참여
[재활용] 롯데마트, ‘고품질 재활용품 회수·보상 사업’ 참여
롯데마트가 재활용 자원 품질개선을 위한 민관 합동 사업에 한 축을 담당한다. 롯데마트는 10월 26일(수) 환경부를 포함 18개 기관이 함께하는 ‘고품질 재활용품 회수·보상 사업’ 업무협약을
thecce.kr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스틱] 캐나다,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 본격 시행 (0) | 2023.01.21 |
---|---|
[전환] 환경부, ‘2023 ESG 경영 지원 사업’ (0) | 2023.01.19 |
[공모] 정부, 2023년 산업단지 환경개선 사업 (0) | 2023.01.18 |
[에너지] 제주도,「청정에너지 대전환 로드맵」 (0) | 2023.01.17 |
[NDC] ‘환경부문 국제감축추진협의회’ 발족 (0) | 2023.01.17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