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한화진)와 국가환경교육센터(센터장 김인호)는 탄소중립 실천을 이끌 환경교육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2월 27일부터 환경부 지정 전국 11개의 환경교육사 양성기관에서 ’환경교육사 양성과정 및 인턴십 과정‘ 참여자를 환경교육포털 누리집(www.keep.go.kr)을 통해 모집한다.
[환경교육사 양성과정] 환경교육사 양성과정은 2015년 국가자격증으로 도입된 환경교육사를 취득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운영하는 과정으로, 현재 2·3급으로 나뉘며 교육사 자격취득을 희망하는 성인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환경교육사 양성과정은 자격증에 따라 2급 및 3급 과정으로 운영되며, 연 2회 치러지는 시험 일정에 맞춰 양성과정도 상·하반기로 운영된다. 상반기 과정은 3월 말부터 시작되며, 하반기 과정은 8월 개설될 예정으로 양성규모는 총 500여 명이다.
환경부는 취업 취약계층을 지원하고 환경교육 신규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해 저소득층, 미취업 청년 및 사회환경교육기관* 지정 신청기관 재직자 등 200여 명을 대상으로 1인당 100만 원 상당의 자격취득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환경교육의 지원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 제15조에 따라, 시도지사가 환경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법인 또는 단체를 사회환경교육기관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지정요건으로 환경교육사 1명 이상을 고용하여야 함
[인턴십 과정] 환경교육사 인턴십은 환경교육 수행기관 실무경험을 통한 전문역량을 향상하고, 이후 취업으로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과정으로 환경교육사 자격취득자 110여 명을 대상으로 운영한다.
3월에는 기존 취득자를 대상으로 참여자를 모집하고, 올해 신규 자격 취득자는 7월부터 모집한다. 역시 취업 취약계층을 우선으로 선발하여 1인당 약 230만 원/월의 인턴십 비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환경교육사 보수교육 과정도 운영한다. 보수교육 과정은 사회환경교육기관, 환경교육사 양성기관, 국가 및 지역 환경교육센터에서 종사하는 환경교육사가 3년마다 7시간을 의무 이수해야 하는 과정으로, 3월부터 수강생을 모집하며 역시 환경교육사 양성기관에서 수강이 가능하다.
특히, 2025년부터는 보수교육 미이수자에 대한 과태료(100만 원 이하)가 부과될 예정으로 환경교육사 자격 취득자는 보수교육 대상 여부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 2023년 환경교육사 자격취득 및 인턴십 지원 개요 >
□ 목적
○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인식 제고 등 환경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역량있는 환경교육 전문가(환경교육사) 양성 지원
□ 지원 내용
○ (자격취득) 환경교육사 자격취득을 위한 양성과정 교육비 및 제반 수수료 지원(1인당 100만원 상당)
※ 지원대상 : 미취업 청년·저소득층 등 취업 취약계층, 사회환경교육기관 희망기관 재직자
○ (인턴십) 인턴십 운영이 가능한 환경교육 기관을 선정하고, 선발된 환경교육사 인턴을 배치하여 실무 기회 및 역량 강화 지원
※ 기관에는 인턴십 운영비, 인턴 참여자(4∼7개월 근무)에게는 월 급여 지급
○ (취업 연계) 인턴을 정규직(무기계약근로자 포함)으로 전환 시 해당 기관에 인건비(1개월) 추가 지원, 취업역량 강화 연수, 전문 인력풀 등재를 통한 취업 정보 제공, 상시 컨설팅 지원 등
□ 추진 일정 ※교육포털 누리집(www.keep.go.kr) 확인
○ 환경교육사 자격취득 교육비 지원 절차
○ 환경교육사 인턴십 운영

< 2023년 환경교육사 교육 운영 일정 >
□ 양성과정
양성기관명 | 모집일정 | 모집 인원 |
기본과정 | 실무과정 | |||
운영일정 | 방법 | 운영일정 | 비고 | ||||
2급 | 광덕산 환경교육센터 |
3.3(금)~17(금) | 40명 | 4.7(금)~16(일) | 대면 (금~일) |
7.22(토)~9.24(일) | 토, 일 |
녹색교육센터 | 3.3(금)~16(목) | 40명 | 4.7(금)~29(토) | 대면 (금, 토) |
7.21(금)~9.9(토) | 금, 토 | |
3급 | 수원시기후변화 체험교육관 |
3.3(금)~14(화) | 40명 | 3.21(화)~4.21(금) | 온라인 학습 | 5.27(토)~6.24(토) | 금, 토, 일 |
인천업사이클 에코센터 |
3.13(월)~24(금) | 40명 | 4.3(월)~21(금) | 온라인 학습 | 6.1(목)~7.20(목) | 목, 금 | |
경상남도 환경교육원 |
3.13(월)~24(금) | 30명 | 4.3(월)~22(토) | 온라인 학습 | 6.19(수)~7.12(수) | 월~목 | |
경상북도 환경연수원 |
3.13(월)~24(금) | 30명 | 4.5(수)~22(토) | 온라인 학습 | 6.13(화)~6.28(수) | 월~금 | |
7.3(월)~15(금) | 30명 | 7.24(월)~8.12(토) | 온라인 학습 | 10.17(화~11.1(수) | 월~금 | ||
자연의벗연구소 | 3.13(월)~24(금) | 40명 | 4.10(월)~21(금) | 온라인 학습 | 6.16(금)~8.4(금) | 금, 토 | |
7.3(월)~14(금) | 40명 | 7.31(월)~8.11(금) | 온라인 학습 | 10.13(금)~12.1(금) | 금, 토 |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2.27(월)~3.10(금) | 40명 | 3.31(목)~4.21(금) | 온라인 학습 | 5.20(토)~7.1(토) | 금, 토 | |
6.12(월)~7.7(금) | 40명 | 7.24(월)~8.11(금) | 온라인 학습 | 9.15(금)~10.28(토) | 금, 토 | ||
맹산환경 생태학습원 |
3.10(금)~20(월) | 40명 | 4.1(토)~4.22(토) | 온라인 학습 | 5.27(토)~7.8(토) | 토, 일 | |
7.1(토)~10(월) | 40명 | 7.21(금)~8.11(금) | 온라인 학습 | 9.16(토)~10.28(토) | 토, 일 | ||
청주국제 에코콤플렉스 |
3.7(화)~17(금) | 40명 | 3.28(화)~4.21(금) | 온라인 학습 | 5.30(화)~6.20(화) | 화~토 | |
6.27(화)~7.7(금) | 40명 | 7.25(화)~8.11(금) | 온라인 학습 | 10.11(수)~10.31(화) | 화~토 | ||
대구 환경교육센터 |
3.7(화)~17(금) | 40명 | 4.4(화)~21(금) | 온라인 학습 | 6.17(토)~8.5(토) | 토, 일 | |
6.27(화)~7.7(금) | 40명 | 7.25(화)~8.11(금) | 온라인 학습 | 9.16(토)~11.11(토) | 토, 일 |
□ 환경교육사 보수교육 과정
양성기관명 | 보수교육 운영 일정 | |||
모집일정 | 교육일 | 인원/방법 | ||
2급 | 광덕산환경교육센터 | 4.11(화)~4.28(금) | 5.13(토) | 33명/대면 |
녹색교육센터 | 8.17(목)~8.24(목) | 9.15(금) | 33명/대면 | |
3급 | 수원시기후변화 체험교육관 |
3.21(화)~3.31(금) | 4.8(토) | 40명/대면 |
인천업사이클에코센터 | 3.13(월)~3.24(금) | 4.3(월) | 30명/대면 | |
경상남도환경교육원 | 3.27(월)~4.7(금) | 4.21(금) | 50명/대면 | |
7.3(월)~7.14(금) <제주권역> |
7.27(목) | 50명/대면 | ||
경상북도환경연수원 | 10.23(월)~11.10(금) | 11.20(월) | 30명/대면 | |
자연의벗연구소 | 4.3(월)~4.14(금) | 5.12(금) | 30명/대면 |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7.24(월)~8.9(수) | 8.26(토) | 30명/대면 | |
맹산환경생태학습원 | 10.10(화)~10.20(금) | 11.11(토) | 40명/대면 | |
청주국제에코콤플렉스 | 6.20(화)~6.30(금) | 7.22(토) | 33명/대면 | |
대구환경교육센터 | 10.17(화)~10.26(목) | 11.18(토) | 40명/대면 |
* 출처 : 환경부
2021.12.29 - [정책] - [법률] 개정 ‘환경교육진흥법’ 시행령 시행
[법률] 개정 ‘환경교육진흥법’ 시행령 시행
환경부는 환경교육사 자격제도 개편, 환경교육계획의 추진체계 정비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환경교육진흥법’ 시행령 전부개정안이 12월 2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어 내년 1월 6일부터 시행
thecce.kr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CBAM] 환경부,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전담반 구성 (0) | 2023.02.27 |
---|---|
[대응] 서울시-자치구 '2050 탄소중립 원팀' 구성 (0) | 2023.02.27 |
[R&D] ’23년 알키미스트 사업 240억 지원 (0) | 2023.02.25 |
[MRV]「제품 탄소배출량 검증기관 인정제도」도입 (0) | 2023.02.25 |
[물] 통합물관리 특성화대학원 개설 (0) | 2023.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