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5차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GCF) 이사회가 ’23.3.12(일) ~ 3.16(목)간 대한민국 인천 송도에서 개최되었다.
<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개요 > | ||
⃟ 설립목적: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 지원 ⃟ 설립년도: ’10년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GCF 설립에 합의 → ’13년 한국 인천시 송도에서 사무국 출범 ⃟ 재원: (초기재원) 103억불 (1차 재원보충) 100억불 * 우리나라는 총 3억불 공여 ⃟ 이사회 구성: 선진국ㆍ개도국 각각 이사 12명, 대리이사 12명 (총 48명) - (이사회 개최) 1년에 3~4회 개최, 현재 공동의장은 미국, 파키스탄 |
□ 올해 처음으로 개최된 금번 이사회에서는 총 7건의 기후변화 대응 사업에 대해 GCF 자금 총 5.9억불 지원을 승인하는 한편,
ㅇ 그간 GCF 사무국의 사업 활동에 대한 평가를 포함한 GCF 2차 성과검토 최종보고서에 대해 논의하고 신임 사무총장을 선출하였다.
[ 기후변화 대응사업 승인 ]
□ 이사회는 총 7건*의 신규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사업을 승인하여, 총 33개 개도국에 GCF 자금 총 5.9억불이 지원될 예정이다.
< 제35차 GCF 이사회 승인 사업 >
구분 | 사업명 | 인증 기구 |
국가 | 분류 | GCF 요청액 (USD 백만) |
FP199 | 북 톤레 삽 분지 생태 친화적 농업과 기후 탄력적 생계를 위한 공공-사회-민간 파트너십 사업 |
유엔식량 농업기구 (FAO) |
캄보디아 | 적응 공공 |
36.2 (무상공여) |
FP200 | 라오스의 거버넌스 향상과 지속가능한 산림 경관 관리를 통한 배출 감소 프로그램 이행 확대 사업 |
독일국제 협력공사 (GIZ) |
라오스 | 교차 공공 |
35.2 (무상공여, 대출) |
FP201 | 필리핀 농업의 기후변화 적응 사업 | FAO | 필리핀 | 교차 공공 |
26.3 (무상공여) |
FP202 | 볼리비아 발스 지역의 취약 농촌 지역의 생태 기반 기후 회복력 향상 사업 |
FAO | 볼리비아 | 적응 공공 |
33.3 (무상공여) |
FP203 | 헤리티지 콜롬비아 사업: 콜롬비아 지속가능한 경관관리의 기후 목표 달성에의 기여 최대화 사업 |
세계자연기금 (WWF) |
콜롬비아 | 교차 공공 |
43 (무상공여) |
FP204 | 지속가능한 재생에너지 리스크 완화 이니셔티브 사업(2차 사업) |
세계은행 (WB) |
에티오피아 등 9개국 |
교차 공공 |
160 (무상공여, 차관) |
FP205 | 기후탄력적 인프라 기금 | 아프리카 금융연합 (AFC) |
베냉 등 19개국 |
적응 민간 |
253.8 (무상공여, 지분) |
지원요청 총액(USD 백만) | 587.7 |
ㅇ 해당 사업에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세계은행(WB)의 공동 금융(Co-financing)도 지원되어 총 16.7억불의 투자 레버리지 효과가 기대된다.
□ 그 결과, GCF 추진사업은 총 216건, 총 사업규모는 450억불(GCF 지원액 총 120억불)로 확대되어,
ㅇ 총 약 25억 톤 규모의 온실가스가 감축되고 기후변화에 취약한 개도국 내 약 9.13억명이 혜택을 받게 된다.
[ GCF 2차 성과검토 최종보고서 ]
□ 아울러, 이사회는 GCF 1차 재원보충 기간(2020~2023년) 동안 사무국이 수행한 사업활동의 효과성 및 효율성을 평가한 「GCF 2차 성과검토 최종보고서」* 에 대해 논의하였다.
* Final report of the Independent Evaluation Unit’s Second Performance Review of the GCF
ㅇ 동 보고서는 GCF가 코로나19로 인한 운영상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개도국의 기후변화 대응에 효과적인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하였으며,
ㅇ 이사회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2차 재원보충 기간(2024~2027년)의 전략 계획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사무국 역량강화도 추진하기로 하였다.
[ 사무총장 선출 ]
□ 또한, 금번 이사회에서는 포르투갈 국적의 現기후투자기금(Climate Investment Funds, CIF) 대표이사(CEO)인 Mafalda Duarte(마팔다 두아르테)가 제4대 신임 GCF 사무총장(Executive Director)으로 선출(임기 4년)되었다.
[ 향후 계획 ]
□ 한국정부는 앞으로도 세계 최대의 기후변화 대응기금으로 자리잡은 GCF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ㅇ 우리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 연계를 강화하여 국내 기관 및 기업의 GCF 사업 참여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ㅇ 차기 GCF 이사회는 ’23.7.10(월)~13(목), 대한민국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 출처 : 기획재정부
2023.03.17 - [정책] - [EU] EU「핵심원자재법」및「탄소중립산업법」초안
[EU] EU「핵심원자재법」및「탄소중립산업법」초안
EU 역내 공급망 강화 및 친환경 산업 생산능력 확대 목표 1. 주요 내용 산업통상자원부는 3월 16일(목) EU 집행위가 EU 핵심원자재법(Critical Raw Materials Act) 및 탄소중립산업법(Net-Zero Industry Act)의 초
thecce.kr
'산업 >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지원 사업 (0) | 2023.02.24 |
---|---|
[ESG] 금융위,「ESG 금융 추진단」구성 (0) | 2023.02.19 |
[채권]「ESG 채권 인증평가 가이드라인」제정 (0) | 2023.01.16 |
[채권] ‘한국형 녹색채권 가이드라인’ 개정 (0) | 2022.12.16 |
[RM]「기후리스크 관리모형(프론티어-1.5D)」개발 착수 (0) | 2022.12.10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