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한화진)는 2021년 기준 국내 물산업 현황 및 실태를 담은 ‘물산업 통계조사*’결과를 공개했다.
* (조사기관) 한국상하수도협회 / (조사기간) ’22.7월~’23.3월(8개월간)
○ 이번 조사는 정부의 물산업 분야 정책 및 연구 등에 활용하기 위해 물산업 활동을 영위하는 종사자 1인 이상 모든 사업체를 대상으로 2011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가승인 통계조사다.
○조사항목*은 물산업 사업체 일반현황, 경영활동 등 20개 항목으로 구분되며, 특히 올해부터는 최근 중요시되고 있는 수출 활성화와 전문인력 양성 필요성에 따라 해외 입찰·수주 현황, 재직자 교육·훈련 현황도 조사항목에 추가됐다.
* 조사항목 : 사업체 주소·유형, 물산업 분야 종사자 수, 매출액, 수출액, 수입액, 물산업 관련 검·인증, 특허 등 지식재산권 보유현황, 연구개발 활동여부 등
□ 이번 조사 결과, 사업체 수를 비롯해 물산업 분야 매출액 및 수출액 등이 전년에 이어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산업 통계 5개년 추이>
○ 국내 물산업 사업체 수는 전년(1만 6,990개) 대비 1.7% 증가한 1만 7,283개이며 업종별로는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8,947개,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5,413개로 전체의 83.1%를 차지했다.
○ 물산업 분야 종사자 수는 전년(19만 7,863명) 대비 2,787명이 증가(1.4%↑)한 총 20만 650명으로 확인됐다.
○ 물산업 분야 총 매출액은 약 47조 4천억 원으로 국내 총생산(GDP) 2,071조 7천억 원의 약 2.3%를 차지하며, 전년도 매출액(약 46조 6천억 원) 대비 약 1.8% 증가했다.
○ 특히, 물산업 분야 수출액은 총 1조 9,749억 원으로 전년(1조 8,656억 원) 대비 약 5.9% 증가하여 매출액보다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파악됐다.
○ 해외진출 사업체는 445개로 전년(400개) 대비 11.3% 증가했으며, 이 중 물산업 제조업 분야가 399개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 물산업 사업체 중 연구개발 사업체 비율은 16.9%로 전년(14.8%) 대비 높아졌으나, 물기술 혁신을 위해서는 앞으로 연구개발(R&D) 확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통계조사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물기술종합정보시스템(watis.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한국상하수도협회를 통해 물산업 관련 기업에게도 배포될 예정이다.
물산업 통계조사 요약
<사업체 현황>
□ 2021년 기준 국내 물산업 영위 사업체 수는 총 17,283개 사로 조사
ㅇ 업종별로는「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8,947개 사로 국내 물산업의 51.8%로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은「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5,413개 사, 31.3%)으로 조사됨

<종사자 현황>
□ 2021년 기준 물산업 분야 종사자는 200,650명으로 추산
ㅇ 전년대비 1.4% 증가했으며, 업종별로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75,124명(37.4%)으로 가장 많고, 다음은「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64,094명(31.9%)으로 조사됨

<매출액 현황>
□ 2021년 기준 물산업으로 발생한 매출액은 47조 4,220억 원으로 추산
ㅇ 전년대비 1.8% 증가했으며, 업종별 매출액은「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25조 5,803억 원(53.9%)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는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13조 3,572억 원(28.2%)으로 조사됨

<수출액 현황>
□ 2021년 기준 물산업 수출액은 1조 9,749억 원으로 추산
ㅇ 전년대비 5.9% 증가했으며, 업종별로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1조 7,475억 원(88.5%)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은 「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1,312억 원(6.6%)로 조사됨

<해외진출>
□ 2021년 기준 ‘해외진출’한 물산업 사업체의 개소수는 445개로 추산
ㅇ 해외 진출 유형은 현지법인 형태 256개(58%)로, 가장 많고 다음은 지점 형태 54개(12.1%), 기타 유형 135개(30.3%)로 조사됨
ㅇ 해외진출 업종은「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이 399개로 가장 많고, 다음은「물산업 관련 건설업」이 33개 순으로 조사됨
구 분 | 현지법인 | 지점 | 기타유형 | 계 | |||||
2020 | 2021 | 2020 | 2021 | 2020 | 2021 | 2020 | 2021 | ||
전 체 | 260 | 256 | 55 | 54 | 85 | 135 | 400 | 445 | |
업종 대분류 |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 | 237 | 222 | 27 | 49 | 85 | 128 | 349 | 399 |
물산업 관련 건설업 | 7 | 26 | 21 | - | - | 7 | 28 | 33 | |
물산업 관련 시설 운영, 청소 및 정화업 | 7 | 3 | 4 | 1 | - | - | 11 | 4 | |
물산업 관련 과학기술, 설계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업 | 8 | 4 | 4 | 4 | - | - | 12 | 9 |
<연구개발비>
□ 2021년 기준 물산업 사업체 중 연구개발을 하는 비율은 16.9%이며, 전체 연구개발비는 8,260억 원으로 추산
ㅇ 업종별로 「물산업 관련 제품 제조업」의 연구개발비가 4,500억 원으로 가장 많고(54.5%), 「물산업 관련 시설 운영, 청소 및 정화업」의 연구개발비가 510억 원(6.2%)으로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됨

* 출처 : 환경부
[다큐] 기후위기 특별기획, ‘붉은 지구’ (총4부)
KBS 기후위기 특별기획 4부작 붉은 지구 [1부] 엔드게임 1.5℃ 붉은지구 - 엔드게임 1.5℃ [2부] 침묵의 바다 붉은지구 - 침묵의 바다 [3부] 구상나무의 경고 붉은지구 - 구상나무의 경고 [4부] 기후혁
thecce.kr
'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생e] 탄소중립형 정수장 재생에너지 확대 (0) | 2023.03.28 |
---|---|
[화학]「화학산업 포럼 2023」 출범 (0) | 2023.03.23 |
[철강] 정부, 「저탄소 철강산업 발전전략」 (0) | 2023.02.17 |
[전지] KIST, 수소연료전지 내구성 10배 이상 향상 (0) | 2023.01.16 |
[Carbon] 전북도, 탄소소재+의료기기 산업 본격화 (0) | 2023.01.13 |
댓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