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
2022년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를 경신함 |
ㅇ '22년 우리나라 총인구는 5,163만 명이며, ’20년 5,184만 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감소 추세로 돌아섬
ㅇ '22년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전년보다 0.03명 감소했으며,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저치를 경신함
ㅇ ‘22년 수도권 인구는 2,605만 3천 명으로 전체 인구의 절반을 넘으며,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은 앞으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수도권 인구 비중 변화: (’00) 46.3% → (’10)49.3% → (’22)50.5% → (’50)53.0%
< 총인구> / <합계출산율>
* 출처 : 통계청

◆ 가구·가족
2021년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2.3명으로 2000년 대비 0.83명 감소함 |
ㅇ ’21년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2.3명으로 '00년 대비 1인 가구 및 2인 가구의 비중은 커지고, 3인 이상 가구의 비중은 줄어듦 (13쪽)
ㅇ '22년 국민 중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50.0%로 2년 전보다 1.2%p 감소, 이유가 있으면 이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18.7%로 2년 전보다 1.9%p 증가함
< 가구원 수 > / < 결혼 및 이혼에 대한 견해 >
* 출처 : 통계청,「인구총조사」

◆ 건강
2021년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83.6년으로 전년보다 0.1년 증가함 |
ㅇ ’21년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수명은 83.6년으로 10년 전(80.6년)보다 3.0년, 전년(83.5년)보다는 0.1년 증가함
ㅇ ’21년 사망률은 악성신생물(암), 심장질환, 폐렴, 뇌혈관질환 순이며,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15.6명으로, ‘00년(0.3)과 비교하여 52배 증가함
* 알츠하이머병 사망률 변화(명/10만 명): (’00)0.3 → (’10)4.1 → (’15)9.9 → (’20)14.7 → (’21)15.6
ㅇ ’21년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흡연율은 18.2%로 전년보다 1.0%p 감소했으며, 음주율은 53.5%로 전년보다 1.7%p 감소함
< 기대수명 > / < 사인별 사망률 >
* 출처 : 통계청

◆ 교육·훈련
2022년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유치원·초·중·고등학교 모두 전년보다 감소함 |
ㅇ '22년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13.7명), 중학교(11.7명), 유치원(10.3명), 고등학교(9.6명) 순으로 많고, 모든 학교급에서 전년보다 감소함
ㅇ '22년 우리나라 초·중·고 사교육 참여율은 78.3%로 전년보다 2.8%p 증가했으며, 전체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1만 원으로 전년보다 11.8% 증가함
ㅇ ’22년 전반적인 학교생활에 만족하다고 응답한 중·고등학교 재학생의 비중은 51.1%로 2년 전보다 8.2%p 감소함
< 교원 1인당 학생 수 > / < 전반적 학교생활 만족도 >
* 출처 : 한국교육개발원, 통계청

◆ 노동·여가
2022년 고용률은 62.1%로 전년보다 1.6%p 상승, 실업률은 2.9%로 0.8%p 하락함 |
ㅇ ’22년 고용률은 62.1%로 전년보다 1.6%p 상승, 실업률은 2.9%로 0.8%p 하락함
ㅇ ’22년 장애인 고용률은 36.4%로 전년보다 1.8%p 상승, 실업률은 4.5%로 2.6%p 하락했으며, 이민자 고용률은 64.8%로 전년보다 0.6%p 상승, 실업률은 4.2%로 1.8%p 하락함
ㅇ '22년 15세 이상 국민의 평균 여가시간은 평일 3.7시간, 휴일 5.5시간으로 전년보다 각각 0.1시간, 0.3시간 감소함
- 여가시간을 주로 혼자서 보내는 사람의 비중은 51.8%로 전년보다 11.8%p 감소, 주로 가족 또는 친구와 함께 보낸 사람의 비중은 전년보다 각각 4.7%p, 5.9%p 증가함
< 고용률 및 실업률 > / < 여가시간 >
* 출처 : 통계청, 문화체육관광부

◆ 소득·소비·자산
2022년 가구당 평균 순자산액은 4억 5,602만 원으로 전년보다 10.0% 증가함 |
ㅇ '22년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은 2,150.6조 원으로 전년보다 3.8% 증가했으며,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 2,661달러로 전년보다 7.7% 감소함
ㅇ ’22년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보다 5.1%, 생활물가지수는 6.0% 상승함
ㅇ '21년 연평균 가구소득은 6,414만 원으로 전년보다 289만 원 증가했고, ’22년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액은 264만 원으로 전년보다 14.5만 원 증가함
ㅇ '22년 가구당 평균 순자산액은 4억 5,602만 원으로 전년보다 10.0% 증가함
< 국내총생산(GDP) 및 1인당 국민총소득(GNI) > / < 가구당 평균 순자산 >
* 출처 : 한국은행,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

◆ 주거
2021년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PIR)은 전년보다 증가,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IR)은 전년보다 감소함 |
ㅇ ’21년 우리나라의 인구 천 명당 주택 수는 423.6호로 전년보다 5.4호 증가, 주택보급률은 102.2%로 전년보다 1.4%p 감소함
ㅇ '21년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율(PIR*)은 6.7배로 전년보다 1.2배p 증가, 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IR*)은 15.7%로 전년보다 0.9%p 감소함
* PIR(Price to Income Ratio), RIR(Rent to Income Ratio)
ㅇ '21년 1인당 주거면적은 전년보다 0.6㎡ 늘어난 30.3㎡이며, 수도권 지역의 1인당 주거면적이 다른 지역보다 좁은 것으로 나타남
< PIR 및 RIR > / < 지역별 1인당 주거면적(2021) >
* 출처 : 국토교통부, 통계청

◆ 생활환경
ㅇ ’21년 대기 중 미세먼지(PM-10) 연평균 농도는 36㎍/㎥로 전년보다 3㎍/㎥ 증가했으나,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는 18㎍/㎥로 전년보다 1㎍/㎥ 감소함
ㅇ ’21년 서울, 부산, 대구, 인천의 소음도는 낮과 밤 모두 소음 환경 기준치(낮 65㏈, 밤 55㏈)를 초과함
ㅇ '21년 1인당 도시공원 조성면적은 전년보다 0.6㎡ 늘어난 11.6㎡임
< 미세먼지 농도 > / < 1인당 도시공원 조성면적 >
* 출처 :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토지주택공사

◆ 범죄·안전
2021년 인구 10만 명당 범죄 발생 건수는 2,960건으로 전년보다 10.5% 감소함 |
ㅇ ’21년 도로교통사고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당 5.6명으로 전년보다 0.3명 감소했으며, ’00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임
ㅇ ’21년 인구 10만 명당 범죄 발생 건수는 2,960건으로 전년보다 10.5%(348건) 감소했으며, 10년 전과 비교하여 22.3%(850건) 감소함
ㅇ '22년 우리나라 국민이 생각하는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신뢰도는 경찰, 법원, 검찰 순이며, 공정성 인식은 법원, 경찰, 검찰 순임
< 도로교통사고 사망률 > / < 범죄율 >
* 출처 : 경찰청, 검찰청

◆ 사회통합·주관적웰빙
2022년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2명은 외로움을 느낌 |
ㅇ '22년 우리나라 국민은 10명 중 2명은 외로움을 느낀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남성보다 여성이,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사회적 고립감을 더 느낌
ㅇ ’21년 우리나라 국민은 성별(7.6%)에 따른 차별을 가장 많이 경험했고, 다음은 연령(7.5%), 경제적 지위(6.2%)에 따른 차별 순으로 경험함
ㅇ ’22년 자신의 삶에 만족하는 사람의 비중은 전년보다 3.0%p 증가한 75.4%임
< 사회적 고립감 > / < 삶의 만족도 >
* 출처 :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2023.01.28 - [종합] - [재정] 국민연금 고갈, 2057년 → 2055년
[재정] 국민연금 고갈, 2057년 → 2055년
국민연금 재정추계전문위원회(위원장 : 전병목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는 1.27일 국민연금 재정추계 시산결과를 발표하였다. ○ 국민연금은 2003년부터 매 5년마다 재정계산을 실시하
thecce.kr
'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원] 「중장기('24~'27) 초중등 교원수급계획」 (0) | 2023.04.24 |
---|---|
[공모] K-스마트시티 네트워크 사업 (0) | 2023.04.14 |
[산단] 15개 국가첨단산업단지 선정 (0) | 2023.03.16 |
[R&D]「제1차 국가연구개발 중장기 투자전략」 (0) | 2023.03.08 |
[경제] 정부, 신성장 4.0 전략 로드맵 (0) | 2023.02.21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