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5월 10일(수) 서울 무역전시컨벤션센터(SETEC)에서 2023년 에너지기술개발사업 75개 신규과제 수행자로 선정된 연구책임자, 실무담당자 등 300여 명 내외가 참석한 가운데 2023년 에너지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를 개최하였다.
금번 선정된 75개 신규과제는 ❶에너지 신산업 창출을 위한 성장동력화 및 수출산업화, ❷에너지 안보를 확립을 위한 공급망 안정화 및 수요효율화, ❸에너지산업 혁신기반 조성에 중점을 두어 원전, 수요효율화, 수소 등 분야에 집중되었다.
구체적으로 원자력 23개, 수요효율화 6개, 수소·연료전지·수소혼소 및 저탄소발전 10개, 에너지안전 2개, 전력계통 6개, 재생에너지 6개, 자원개발 2개, 인력양성 13개, 에너지혁신벤처육성 4개, 바이오연료 3개 과제가 선정되었다.
2023년 에너지기술개발에 대해 총 1조 2,065억원을 투입할 계획으로, 금번 선정된 75개 신규과제에는 약 843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며 이는 2023년 신규예산 1,159억원 중 73%를 차지한다.
선정된 과제들은 향후 원전해체기술 고도화 및 전문기업 육성, 고효율·대용량 수소 생산 기반기술 확보, 재생에너지 확산에 따른 전력계통의 불안전성 완화 등 에너지 신산업 창출의 기반이 됨과 동시에 에너지 다소비 설비·공정 효율향상 및 실시간 데이터 시스템을 구축하여 효율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는 등 에너지 안보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에너지 R&D는 「새정부 에너지정책 방향(‘22.7)」「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23.1)」,「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23.4)」 등 새정부 에너지정책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한 핵심수단이다.
『 2023년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선정과제 』
구분 | 과제명 | 연구개발기관 | 연구개발기간 |
에너지 효율 |
(총괄, 세부3)대용량 대온도차 히트펌프 운영기술 및 현장 실증 | 아진피앤피 | 2023-04-01 ~ 2027-12-31 |
(세부1)대용량 대온도차 히트펌프 핵심기술 개발 | 엘지전자(주) | 2023-04-01 ~ 2027-12-31 |
|
(세부2)대용량 대온도차 히트펌프 요소기술 개발 | 주식회사 힉스프로 |
2023-04-01 ~ 2027-12-31 |
|
(총괄)산업공정 열에너지 전기화 전환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 | 한국에너지 기술硏 |
2023-04-01 ~ 2027-12-31 |
|
(세부1)중소형 연속식 강판 소둔로 전기화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 | 주식회사 삼우에코 |
2023-04-01 ~ 2027-12-31 |
|
(세부2)중소규모 화학 산업 대상 탄소중립을 위한 전기식 재비기 기술개발 및 실증 |
전진엔텍 | 2023-04-01 ~ 2027-12-31 |
|
(세부3)산업 열설비 전기화 전환용 극한 환경 세라믹 발열 소재·부품 개발 | 주식회사코카브 | 2023-04-01 ~ 2027-12-31 |
|
(총괄, 세부3)중형급 산업용 전동기 공통 기반기술 개발 | 한국전기硏 | 2023-04-01 ~ 2026-12-31 |
|
(세부1)중형급 정속 고효율 전동기 개발 및 실증 | 하이젠모터(주) | 2023-04-01 ~ 2026-12-31 |
|
(세부2)중형급 가변속 고출력 전동기 개발 및 실증 | (주)코모텍 | 2023-04-01 ~ 2026-12-31 |
|
상업시설내 공통기기 자율운전을 통한 에너지 수요효율화 기술개발 및 실증 |
티앤엠테크 | 2023-04-01 ~ 2025-12-31 |
|
수요기반 에너지효율화를 위한 커뮤니티 에너지관리시스템(CEMS) 개발 및 실증 |
지에스건설(주) | 2023-04-01 ~ 2026-12-31 |
|
한국형 그린버튼 플랫폼 개발 및 구축 | 한국에너지공단 | 2023-04-01 ~ 2026-12-31 |
|
원자력 | RI개봉선원 난분석핵종 분석방법론 및 검증기술 개발 | (주)위드텍 | 2023-04-01 ~ 2026-12-31 |
방사성폐기물 인수기준 개선을 위한 핵종거동 현상규명 및 방폐물 특성 검증방안 개발 |
미래와도전 | 2023-04-01 ~ 2026-12-31 |
|
방사성폐기물 종류별 물리적 특성 규명을 통한 처분시설 폐쇄 후 안전성 평가 체계 고도화 |
한국원자력 환경공단 |
2023-04-01 ~ 2026-12-31 |
|
장기보관 RI 폐기물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처리방법 및 처분기술 개발 | 한국원자력 환경공단 |
2023-04-01 ~ 2026-12-31 |
|
원전해체 전력산업기술기준(KEPIC) 개발 | 대한전기협회 | 2023-04-01 ~ 2030-12-31 |
|
저방사능 폐수지 열화학적 처리장치 개발 및 실증 | 주식회사 선광티앤에스 | 2023-04-01 ~ 2025-12-31 |
|
중수로 폐수지 탱크내 혼합물 처리장치 개발 및 실증 | 주식회사 선광티앤에스 | 2023-04-01 ~ 2025-12-31 |
|
확장현실 기반 해체공정 검증 및 교육 시스템 개발 | 주식회사 노바테크 | 2023-04-01 ~ 2026-12-31 |
|
무기산 기반 화학제염 기기제염 실증 기술 고도화 | ㈜수산 인더스트리 |
2023-04-01 ~ 2026-12-31 |
|
원전 해체 현장 방사능 측정시스템 개발 및 실증 | 엔이티 주식회사 | 2023-04-01 ~ 2026-12-31 |
|
원전해체시 발생하는 고농도/저농도 액체폐기물 통합 처리 기술 개발 | (주)엘씨젠 | 2023-04-01 ~ 2026-12-31 |
|
경수로 1차측 핵심설비 절단/제염 실증 인프라 구축을 통한 기술 상용화 |
재단법인 원전해체연구소 | 2023-04-01 ~ 2026-12-31 |
|
중수로 칼란드리아 절단 및 열수송계통 제염 실증 인프라 구축 및 기술 고도화 |
재단법인 원전해체연구소 | 2023-04-01 ~ 2026-12-31 |
|
중준위 해체폐기물 물리적/방사선학적 특성분석 시스템 구축 및 R&D 기반 기술개발 |
재단법인 원전해체연구소 | 2023-04-01 ~ 2026-12-31 |
|
대량 발생 저준위 이하 해체폐기물 핵종분석 R&D 기반 구축 및 유효성 검증 품질관리체계 개발 |
재단법인 원전해체연구소 | 2023-04-01 ~ 2026-12-31 |
|
원전해체 대비 방사능 분석 정도관리 기술 개발 및 품질보증체계 구축 | 주식회사 라드솔 | 2023-04-01 ~ 2030-12-31 |
|
방사성 콘크리트 폐기물 가열분쇄 기반 고도감용 공정 실증 | (주)오르비텍 | 2023-04-01 ~ 2026-12-31 |
|
진공 유도가열 및 플라즈마 토치 용융 시스템을 이용한 폐기물 부피 감용 기술 실증 |
(주)오르비텍 | 2023-04-01 ~ 2027-12-31 |
|
해체폐기물 핵종재고량 평가를 위한 핵종분석 및 간접 평가법 개발 | (주)코라솔 | 2023-04-01 ~ 2030-12-31 |
|
해체폐기물 내 난분석 핵종 준위별 분석 고도화 기술 개발 | 주식회사 알엠택 |
2023-04-01 ~ 2028-12-31 |
|
수소 · 연료 전지 · 태양광 · 해상 풍력 |
대면적 알칼라인 수전해 시스템 개발 | (주)엘지화학 | 2023-04-01 ~ 2026-12-31 |
수전해 스택 성능인증 안전기술 개발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2023-04-01 ~ 2027-03-31 |
|
전력계통 안정화를 위한 연료전지 및 수전해 계통 연계 운영기술 개발 | 한국에너지 기술硏 |
2023-04-01 ~ 2026-12-31 |
|
청정수소 활용을 통한 화학산업의 탄소중립 실현 공정 기술 개발 |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04-01 ~ 2024-11-30 |
|
M10 이상 대면적, 150μm 이하의 박형 결정질/박막 실리콘 이종접합 (HJT) 태양전지 및 모듈 양산기술 고도화 |
현대에너지 솔루션(주) |
2023-04-01 ~ 2026-03-31 |
|
결정질 실리콘 기반 탠덤 태양전지 적용을 위한 전층 무기 저온상변화 페로브스카이트 상부셀 및 핵심소재 개발 |
충남대학교 | 2023-04-01 ~ 2026-03-31 |
|
전력피크 분산과 이용률이 향상된(15.5%이상) 동서형 고효율 양면 태양광시스템 개발 및 50kW급 실증 |
(주)제이에이치 에너지 |
2023-04-01 ~ 2026-03-31 |
|
혁신적 LCOE 절감형 20MW+급 초대형 부유식 해상풍력 하부구조설계기술 개발 |
㈜반디 컨설턴트 |
2023-04-01 ~ 2026-03-31 |
|
에너지 안전 |
수소혼입 도시가스 배관 수소취성 평가 및 수명예측 안전기술 개발/실증 |
예측진단기술 | 2023-04-01 ~ 2026-03-31 |
(총괄)도시가스 배관망 수소 혼입 전주기(제조-공급-사용) 안전성 검증 기술개발/실증 |
한국가스 안전공사 |
2023-04-01 ~ 2026-03-31 |
|
(세부1)주택용/산업용 연소기·가스기기 연소성능 안전성 검증 안전기술 개발 |
한국가스 안전공사 가스안전硏 |
2023-04-01 ~ 2026-03-31 |
|
(세부2)비금속 재료 수소침투 적합성 평가 및 가스유량 오차 검증 안전기술 개발 |
한국가스 안전공사 가스안전硏 |
2023-04-01 ~ 2026-03-31 |
|
(세부3)도시가스 배관망 수소혼입 안전성 평가/실증 및 안전기준 개발 | 한국가스 안전공사 에너지안전 실증연구센터 |
2023-04-01 ~ 2026-03-31 |
|
재생e | 분산형 재생에너지 시스템 개방형 통합 플랫폼 개발 | 한국전자기술硏 | 2023-04-01 ~ 2026-03-31 |
재생에너지 디지털 트윈 기반 e-실증단지 고도화 | 한국전자기술硏 | 2023-04-01 ~ 2026-03-31 |
|
전력계통 | 계통유연자원 서비스화를 위한 VPP 통합플랫폼, ISO-DSO 협력체계운영시스템 개발 |
제주에너지공사 | 2023-04-01 ~ 2026-12-31 |
섹터커플링 활용 계통 유연자원화 서비스 기술 개발 | 한국전력공사 | 2023-04-01 ~ 2026-12-31 |
|
계통유연자원을 활용한 분산에너지 계통접속 한계용량 증대 기술 | 현대로오텍(주) | 2023-04-01 ~ 2026-12-31 |
|
(총괄)분산에너지 계통접속 기반 그리드포밍 핵심기술 운영실증 | 한국전자기술硏 | 2023-04-01 ~ 2026-12-31 |
|
(세부1)분산에너지 기반 그리드포밍 적용 전력망 모델링 및 분석, 상호운용성 평가 기술 개발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04-01 ~ 2026-12-31 |
|
(세부2)분산에너지 계통접속 그리드포밍 토폴로지 및 인버터 핵심기술 개발 |
한국에너지 기술硏 |
2023-04-01 ~ 2026-12-31 |
|
고신뢰 DC 보호기기 기술개발 | 비츠로이엠 | 2023-04-01 ~ 2027-03-31 |
|
AC/DC Hybrid 배전망 테스트베드 구축 기반조사 및 산업 생태계 분석 | (재)한국 스마트그리드 사업단 |
2023-04-01 ~ 2029-03-31 |
|
저탄소 발전 |
300MW급(H급) 가스터빈 50% 수소혼소 변환 기술개발 및 실증 | 두산에너빌리티(주) | 2023-04-01 ~ 2027-12-31 |
150MW(F급) 가스터빈 수소혼소 리트로핏 기술개발 및 실증 | 한국전력공사 | 2023-04-01 ~ 2027-12-31 |
|
기력발전용 보일러 암모니아 혼소전환 실증 기반기술 개발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04-01 ~ 2027-12-31 |
|
USC급 미분탄 보일러 암모니아 20% 혼소 기술개발 및 실증 | 한국중부발전(주) | 2023-04-01 ~ 2027-12-31 |
|
발전용 순환유동층 보일러 암모니아 20% 혼소기술 최적화 및 실증 | 한국전력공사 | 2023-04-01 ~ 2027-12-31 |
|
암모니아 혼소 발전소 안전성 평가 절차 및 설비 표준규격 개발 | 한국전력공사 | 2023-04-01 ~ 2027-12-31 |
|
자원 개발 |
고효율 타이타늄 광석 선광 공정 및 부산물 활용 기술개발 | 한국지질자원硏 | 2023-04-01 ~ 2027-12-31 |
면산층 Ti 정광으로부터 1톤/일급 순도 99% TiO2 및 grade 1급 Ti 금속 제조를 위한 맞춤형 친환경·고효율 제련기술 개발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04-01 ~ 2027-12-31 |
|
바이오연료 | 미세조류를 이용한 탄소저감형 바이오항공유 업그레이드용 바이오오일 생산 통합시스템 개발 |
엔텍스 주식회사 |
2023-04-01 ~ 2026-11-30 |
차세대 수첨 바이오연료 생산과 업그레이딩 통합공정 기술개발 | 엘티메탈(주) | 2023-04-01 ~ 2026-11-30 |
|
차세대 바이오연료의 모빌리티 품질기준 개발 및 적용 기술개발 | 한국석유관리원 미래기술연구소 | 2023-04-01 ~ 2026-11-30 |
|
인력 양성 |
차세대 원전 기반 탄소중립 융합대학원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04-01 ~ 2027-12-31 |
디지털기반 지속가능 에너지 공정혁신 융합대학원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04-01 ~ 2027-12-31 |
|
차세대 융·복합 비결정질 태양전지 융합대학원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04-01 ~ 2027-12-31 |
|
EV 스마트 충전 플랫폼 혁신연구센터 |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04-01 ~ 2023-12-31 |
|
EV 스마트 충전 플랫폼 혁신연구센터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04-01 ~ 2023-12-31 |
|
청정 수소 및 암모니아 혁신연구센터 | 한국에너지 공과대학교 |
2023-04-01 ~ 2023-12-31 |
|
청정 수소 및 암모니아 혁신연구센터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2023-04-01 ~ 2023-12-31 |
|
고성능 연산 기반 원전 다물리 해석 혁신 연구센터 | 울산과학기술원 | 2023-04-01 ~ 2023-12-31 |
|
3D프린팅 기반 원전 및 에너지 부품 특화인력 양성사업 | 울산과학기술원 | 2023-04-01 ~ 2027-12-31 |
|
E-모빌리티 수송효율 향상을 위한 글로벌 인력양성 | 한국교통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04-01 ~ 2024-03-31 |
|
선진 SMR 핵심 전산해석 기술 개발을 위한 글로벌 인재양성사업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04-01 ~ 2024-03-31 |
|
GCU-AU 에너지 저장 재료: 글로벌 연계 인력양성 프로그램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04-01 ~ 2024-03-31 |
|
지구물리탐사 및 모니터링 글로벌 혁신인재양성 |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2023-04-01 ~ 2024-03-31 |
|
벤처 육성 |
ICT AI 잔존 수명 및 불량 사전 예측과 NFSC607 화재 대응 성능 개선 고안전 50kWh급 ESS 개발 |
㈜인지이솔루션 | 2023-04-01 ~ 2024-03-31 |
해외 VPP 시장 진출을 위한 자체 기상예보 시스템 및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플랫폼 개발 |
㈜인코어드 테크놀로지스 |
2023-04-01 ~ 2024-03-31 |
|
V2x 지원 11KW급 양방향 OBC용 Transfer Molded SiC Module 개발 |
㈜세미파워렉스 | 2023-04-01 ~ 2024-03-31 |
|
최소화된 아키텍처를 지닌 배터리팩 구현을 위한 비발화성 및 온도내성을 지닌 수계 이차전지 개발 |
㈜코스모스랩 | 2023-04-01 ~ 2024-03-31 |
이번 협약설명회에서는 선정된 연구책임자들이 국가적 사명감을 갖고 기술개발 성과를 창출하도록 서약식을 진행하고, 전산시스템이 범부처통합연구지원시스템(IRIS)으로 통합되면서 변경된 협약체결 방법, 규제샌드박스·표준 전략 활용 방법 등 새로운 규정을 포함한 사업화 성과 제고 등 과제관리 전반에 대해 안내하였다.
이번 설명회는 그간 기업들이 단순 설명회보다는 사업화 제고 지원제도, 국내·외 에너지산업 정보 제공 등에 대한 요청이 많아 이에 부흥하여 현장에서 바로 질의응답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다. 또한, 에너지 R&D가 사업화뿐 아니라 에너지 신산업 창출의 원동력으로서 내수와 수출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국내·외 에너지산업, 기술, 정책 등을 총 망라한 「에너지산업 종합안내 책자*」도 배부하였다.
* ⅰ) 국내 : 에너지기술·산업 생태계 분석 ⅱ) 해외 : 에너지 분야 현황 및 시장 진출·협력 유망기술 분석
산업부는 에너지 R&D 성과 제고를 위해 올해 하반기에도 에너지기술개발사업 협약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2023.04.30 - [산업] - [산업] 기후테크(Climate Technology) 개요
[산업] 기후테크(Climate Technology) 개요
기후테크(Climate Technology)의 유형 및 세부분류 ㅇ 기후테크는 기후(Climate)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적응에 기여함과 동시에 수익을 창출는 모든 혁신기술을 의미 ㅇ 클린
thecce.kr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탄소]「Carbon Free Energy 포럼」출범 (0) | 2023.05.18 |
---|---|
[전력] 한전, 5월 16일 전기요금 인상 (0) | 2023.05.15 |
[전력] 한전『제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 (0) | 2023.05.09 |
[EV] 일본 V2H(Vehicle to Home) 시장 활성화 (0) | 2023.05.09 |
[실천] 서울시, 에코마일리지 도시가스요금 납부 (0) | 2023.05.05 |
댓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