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CO2] 정부, 동남아 탄소감축사업 본격 추진

by TheCCE 2023. 5. 18.
728x90
반응형
SMALL

 

 

 

 

 

 

 

 

산업통상자원부는 5.18(목)~5.19(금) 베트남 하노이에서 ‘글로벌 넷 제로(Net Zero) 커넥션 인 아시아’ 행사를 개최하고,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라오스 및 캄보디아 6개국과 온실가스 국외감축* 실적 이전을 위한 양자 협의를 개시하는 등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 정부가 우리 기업의 해외 신재생, 에너지 고효율, 저탄소 설비 투자 등 탄소감축이 가능한 사업을 지원하고 향후 발생하는 감축 실적을 회수하여 NDC 목표에 사용

 

동 행사는 산업부가 주최하고 KOTRA가 주관하는 최초의 온실가스 국외감축 국제행사로 국가별 온실가스 감축 정책 공유, 기업의 1:1 상담회, 정부 간 양자회의 등으로 꾸려졌으며, 동남아 6개국 정부기관과 40여개 기업, 그리고 40여개 한국 기업이 참가하였다.

 

 

산업부는 2030년 NDC 목표 중 국외감축분인 3,750만톤 달성에 기여하기 위하여 지난 2월부터 온실가스 국외감축을 위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기업이 해외에서 수행하는 프로젝트 결과로 발생하는 탄소배출권을 국내로 이전하기 위하여 6개국과 양자협의를 하는 것이다.

 

 

2030 NDC상 국외 감축 목표와 의의

 

1. 2030 NDC 목표

 

 2030 NDC에서 국외 감축은 3,750만 톤

 

 전체 감축량(2.91억 톤)의 12.8%이며, 전환(42.5%) 다음으로 높은 비중

 

 

< 우리나라 온실가스 감축목표 (‘23.4월) >

 

구분 배출(백만 톤CO2eq) 흡수ㆍ제거(백만 톤CO2eq) 배출량
전환 산업 건물 수송 농축수산 폐기물 수소 기타 흡수원 CCUS 국외감축
기준연도
(2018)
269.6 260.5 52.1 98.1 24.7 17.1 - 5.5 -41.3 - - 727.6
목표연도
(2030)
145.9 230.7 35.0 61.0 18.0 9.1 8.4 3.9 -26.7 -11.2 -37.5 436.6
감축량 123.7 29.8 17.1 37.1 6.7 8 -8.4 1.6 -14.6 11.2 37.5 291

* 기준연도 배출량은 총배출량, 목표연도 배출량은 순 배출량(총배출량-흡수ㆍ제거량)

 

 

2. 해외 동향 및 의의

 

 국외 감축은 파리협정 6조에 따른 국제협력 활동

 

ㅇ 파리협정 당사국 간 자발적 협력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시행하고 감축 실적을 상호 이전하여 NDC 달성에 활용

 

 ’21.11월 영국 글래스고 당사국총회(COP26)에서 국외 감축에 관한 세부 이행지침이 타결되어 국외 감축을 추진할 기반이 마련

 

 

 민간 참여를 통해 국외 감축 속도를 높이는 것이 관건

 

ㅇ 글로벌카본프로젝트(GCP)에 따르면, ’21년 기준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 세계 배출량의 1.67%로 세계 10위권 수준

 

- 기후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리 내부의 감축 노력뿐만 아니라 세계와 협력해 함께 줄일 필요

 

 국외 감축은 정부 재원의 한계를 넘어, 민간 자본 유치를 통해 글로벌 넷 제로 달성의 속도를 더욱 높인다는 점에서 중요

 

 

 이미 세계 각지에서 국외 감축 프로젝트가 활발히 진행 중

 

 126개국이 파리협정 6조 활용 계획 또는 가능성을 NDC에 명시

 

* 출처 : UNFCCC Synthesis Report(‘22.10)

 

ㅇ 주요국과 국제기구에서 13.7억 달러(’20) 이상의 시범사업 추진 중

 

 


 

 

아울러 KOTRA 하노이 무역관에 제1호 ‘탄소중립지원센터(개소식 2023.5.19.(금))’를 개설하여 기업의 온실가스 국제감축을 지원하고, 향후 전 세계 주요 거점별로 11개까지 점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탄소중립지원센터 개요

 

ㅇ (추진현황)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을 전주기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코트라 무역관 내 탄소중립 지원센터 및 지원거점을 지정, 운영중

 

< 탄소중립 지원센터 및 거점 현황 (총 11개소) >

 

구분 무역관
탄소중립 지원센터(1) [동남아 1개소] 하노이(베트남) *기협정체결국 대상
탄소중립 지원거점(10) [동남아 2개소] 마닐라(필리핀), 비엔티안(라오스)
[서남아 2개소] 뉴델리(인도), 콜롬보(스리랑카)
[CIS 2개소] 울란바토르(몽골), 타슈켄트(우즈베키스탄)
[중동 1개소] 카사블랑카(모로코)
[중남미 3개소] 리마(페루), 보고타(콜롬비아), 산티아고(칠레)

 

 

◦ (주요기능) 민간‧공공 분야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을 전주기적 지원 → 국제감축 플랫폼化 및 Project Best Practice 창출

 

- 프로젝트 현지 지원, 글로벌 넷제로 파트너링, 양자협정 관련 지원

 

 

 

온실가스 국제감축 시범사업(투자, 구매) 개요

 

□ 투자 사업 개요 (23년 사업 공모)

 

ㅇ (목적) 탄소 감축이 가능한 신재생, 고효율, 저탄소 설비 투자를 지원하고 향후 설비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감축 실적을 회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및 기자재ㆍ설비 수출 증진

 

ㅇ (규모) 2023년 정부지원금 규모는 총 60억 원

 

ㅇ (지원 대상) 국내기업이 해외에서 수행하는 온실가스 감축 사업으로 NDC(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활용할 실적이 나오는 사업

 

발전 열 공급 연료 교체/효율 기타
풍력, 태양광, 소수력, 조력,
바이오매스 발전, 매립가스 발전 등
태양열, 지열, 폐열회수,
바이오매스 열병합, 소각열 열병합 등
LNG 연료 교체,
고효율 모터,

교통체계 개선 등
시멘트,
HFCs 등

 

ㅇ (지원 범위) 온실가스 감축설비(부대설비 및 계측설비 포함)의 구매, 설치공사(설계ㆍ감리 포함), 시험 운전 등 감축설비 투자비

 

ㅇ (지원 규모) 단일 사업 당 30억 원 이내, 설비 투자의 50% 이내

 

 

□ 구매 사업 개요 (도입 준비중)

 

ㅇ (구매 방식) 산업부 사업지침에 규정된 선도 구매와 현물 구매 등의 구매 방식을 시범 운영하고 점차 보완, 확대

 

 

□ 시범사업 기대효과

 

ㅇ 국내 감축 여력이 크지 않은 상황에 국외 감축을 통해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효율적으로 이행하고 우리 기업의 개도국 시장 진출 지원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2021.12.24 - [정책] - [NDC] 상향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유엔 제출

 

[NDC] 상향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유엔 제출

환경부와 외교부는 우리나라의 상향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12월 23일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제출했다. * NDC :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국가결정기여) 정부는 지난해 탄

thecce.kr

 

 

 

 

2022.10.15 - [정책] - [기후]「파리협정(Paris Agreement)」개요

 

[기후]「파리협정(Paris Agreement)」개요

유엔기후변화협약 (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 ○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 온난화를 줄이기 위한 국제 협약 ○1992년 6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유엔 환경개발회의(UNCED, Unit

thecce.kr

 

 

 

 

 

728x90
반응형
BIG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