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월 19일(금)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탄소중립기술특별위원회’ 제7회 회의를 개최하였다.
탄소중립기술특별위원회는 대통령 직속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특별위원회 중 하나로, 국가 탄소중립 연구개발 컨트롤타워로서 범부처 탄소중립 연구개발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10월 수립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술혁신전략’에 이어 올해 4월 발표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의 후속조치로서 탄소중립 분야의 본격적인 기술개발 정책 방향을 발표하였다.
시멘트 분야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로드맵 (안)
우리나라 시멘트 산업은 철강, 석유화학 다음으로 많은 탄소를 배출(‘18년 기준 3,410만톤)하고 있으나, 순환연료를 적극 사용하고 있는 유럽연합 등 주요국에 비해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기술 수준은 뒤쳐져 있어 적극적인 기술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시멘트 생산에 사용되는 연료‧원료를 저탄소 연료‧원료로 전환하기 위하여 필요한 핵심기술을 ‘30년 전후로 상용화가 가능한 수준까지 신속하게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기술 개발 전략을 수립하였다.
먼저, ❶원료 대체의 경우, 시멘트 반제품인 클링커 제조 시 탄소를 다량 배출하는 석회석을 저탄소 원료(비탄산염 원료)로 대체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공정에 적용해 나가고(‘30년 기준 석회석 대체율 2% 이상), 클링커 사용을 줄이기 위해 시멘트에 혼합재 함량을 증대시키는 기술과 기존 3종의 혼합재 외에 새로운 혼합재(석회석 미분말, 소성점토 등)를 제조하는 기술도 확보하여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 국내 시멘트 규격 : 포틀랜드 시멘트(클링커 + 석고 및 분쇄조제) / 혼합시멘트(클링커 + 혼합재(고로슬래그, 플라이애시, 포졸란 총 3종) + 석고)
▲ [대표예] 비탄산염 원료 대체 : (1단계 : ~ ’25년) 원천기술 개발 및 소규모 실증 → (2단계 : ~’29년) 상용급 킬른 실증 → (3단계 : ’30년 이후) 단계적 확대 적용 ▲ [대표예] 혼합재 함량 증대 : (1단계 : ~ ’25년) 고성능 클링커 시험생산, 품질평가 → (2단계 : ~’30년) 상용급 킬른 실증 → (3단계 : ’30년 이후) 단계적 확대 적용 |
또한, ❷유연탄 등의 연료를 순환연료(폐합성수지 등) 및 무탄소 연료(바이오매스, 수소 등)로 대체할 수 있도록 전처리, 오염물질 제어 등 순환연료 사용을 위한 주요기술을 확보하여 실증하고,(‘30년 기준 순환연료 대체율 80% 이상 실증) 바이오매스‧수소 연소에 필요한 균일열원 공급 등의 기술도 개발해나갈 계획이다.
▲ [대표예] 순환연료 : (1단계 : ~ ’27년) 폐합성수지 사용량 증대 핵심기술 개발 → (2단계 : ~’30년) 상용급 킬른 실증 → (3단계 : ’30년 이후) 단계적 확대 적용 |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차] 자동차 부품업계 미래차 전환 및 수출 지원 (0) | 2023.05.24 |
---|---|
[R&D] 디지털 기반 탄소발자국 기술육성 전략 (안) (0) | 2023.05.19 |
[R&D] 철강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로드맵(안) (0) | 2023.05.19 |
[R&D] 석유화학 탄소중립 기술혁신 전략로드맵(안) (0) | 2023.05.19 |
[R&D]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선정(안) 확정 (0) | 2023.05.19 |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