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흡수원

[R&D] 제3차 탄소흡수원 증진 종합계획(‘23~’27) (안)

by TheCCE 2023. 5. 19.
728x90
반응형
SMALL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월 19일(금)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탄소중립기술특별위원회’ 제7회 회의를 개최하였다.

 

탄소중립기술특별위원회는 대통령 직속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특별위원회 중 하나로, 국가 탄소중립 연구개발 컨트롤타워로서 범부처 탄소중립 연구개발 정책을 총괄·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지난 10월 수립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술혁신전략’에 이어 올해 4월 발표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의 후속조치로서 탄소중립 분야의 본격적인 기술개발 정책 방향을 발표하였다.

 

 


 

 

제3차 탄소흡수원 증진 종합계획(‘23~’27) (안)

 

 

 

산림을 통한 탄소중립 실현과 녹색성장에 기여하겠습니다.

 

본 계획은「탄소흡수원 유지 및 증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는 탄소흡수원 증진에 관한 중장기 계획이다.

 

지난 4월 확정된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따른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및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산림부문의 향후 5년간 중점 정책과제를 담고 있다.

 

 

산림을 통해 ’27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량(142.6백만톤)의 21%(30백만톤)에 기여한다는 목표 아래 산림부문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기후위기 연구개발 확대 등 6대 추진전략 20개 핵심 과제를 제시하였으며, 본 종합계획(안)은 이번 회의에서 검토를 거쳐 5월 중 확정될 예정이다.

 

 

 

1. 산림 탄소흡수능력 강화   ■ 지속가능한 산림순환경영 활성화 국내
산림












  ■ 임도, 임업기계 등 산림순환경영 기반 확충
  ■ 기후위기 미래수종 발굴 및 보급
2. 신규 산림탄소흡수원 확충   ■ 생활권 녹색 도시공간 확대 및 관리
  ■ 유휴토지 나무심기 확대
  ■ 섬 지역 산림생태계 관리 강화
3. 목재 및 산림바이오매스 이용 활성화   ■ 목재 수요·공급의 선순환 체계 구축
  ■ 생활 속 목재이용 문화 확산
  ■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의 지속가능한 이용 촉진
4. 산림 탄소흡수원 보전 및 복원   ■ 산림재난 최소화 및 대응력 강화
  ■ 산림생물다양성 증진 및 체계적 보호지역 관리
  ■ 산림생태계 복원 및 산지전용 감소
  ■ 혼농임업(Agroforestry) 활성화
5. 국제·남북협력 기반 감축량 확보   ■ REDD+ 확대 기반 구축 국외
산림


  ■ 남북산림협력 활성화
  ■ 기후위기 대응 ODA 전략사업화
6. 산림 탄소정책 지원체계 구축   ■ 기후위기 연구개발(R&D) 확대 이행
기반



  ■ 빅데이터 기반 MRV 체계 고도화
  ■ 산림탄소상쇄제도 활성화 및 ESG 연계
  ■ 소통 및 시민참여 플랫폼 구축

 

 

‘제3차 탄소흡수원 증진 종합계획(안)’의 6대 추진전략은 다음과 같다.

 

 

[국내 산림]

 

➊ 산림의 탄소흡수능력 강화를 위해 지속가능한 산림순환경영으로 젊고 건강한 산림을 조성하며,

 

➋ 신규 산림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해 도시숲 조성과 유휴토지·섬 지역 내 나무심기 및 산림조성·복원을 확대한다.

 

➌ 목재 및 산림바이오매스 이용 활성화로 탄소저장량 증진 및 전환 부문 감축에 기여하고,

 

➍ 산림 탄소흡수원 보전 및 복원으로 산불 등 산림재해로 인한 탄소배출을 최소화하고 훼손된 산림을 복원한다.

 

 

[국외 산림]

 

➎ 국제·남북협력 기반 감축량 확보로 해외산림탄소감축사업(REDD+) 등 국외산림을 통한 탄소배출 저감에 기여하고,

 

 

[이행 기반]

 

➏ 산림 탄소정책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연구개발(R&D), 통계 검증체계, 소통 플랫폼 등을 강화한다.

 

 

 

 

*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728x90
반응형
BIG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