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송

[eBike] 전기이륜차 배터리 공유스테이션 실증

by TheCCE 2023. 5. 22.
728x90
반응형
SMALL

 

 

 

 

 

 

산업통상자원부는 글로벌 자동차산업의 친환경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국내 전기이륜차 제조·서비스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전기이륜차 공유스테이션(배터리 교환사용 시스템)의 실증을 추진한다.

 

국내에서 생산된 교환형 배터리팩, 충전스테이션, 운영·관리 소프트웨어와 전기이륜차로 구성된 실증재료*를 활용하여, 이륜차의 가장 큰 수요처인 배달사업자 및 관광지 렌트사업자**와 협력하여 서울과 경주에서 예비실증에 착수한다.

 

* 전기이륜차 30대, 배터리 공유스테이션 4기, 교환형 배터리 66개

** 서울 맥도날드 2개소 (강남 청담 DT점, 은평 구산점), 경주 황리단길 관광 렌트사업자 카빙

 

 

전기이륜차 배터리 공유스테이션 기술개발 및 실증 개요

 

 

□ 사업 개요

 

ㅇ (사업명) 전기이륜차 배터리 공유스테이션 기술개발 및 실증

 

ㅇ (사업목표) 전기이륜차 배터리 공유 활성화를 위한 공유스테이션 플랫폼 구축 및 공유스테이션·배터리팩·운영관리 솔루션 개발 및 실증

 

ㅇ (수행기관) (1세부) 경북TP (플랫폼 조성), (2세부) 생기원 (R&D, 실증)

 

ㅇ (사업기간) (1단계) 2022.4∼2024.12, (2단계) 2025.1∼2026.12

 

ㅇ (사업예산) 총사업비 423.38억원 (國 268.38억원, 地 130억원, 民 25억원)

 

ㅇ (사업 내용) 배터리 공유형 충전스테이션 운영·관리에 필요한 기술개발, 장비구축 및 표준화/인증, 배터리 전주기 관리모델 마련 등 실시

 

- 기술개발 및 실증 : 공유스테이션 서비스 플랫폼(소프트웨어 등)과 배터리 관리모델 기술개발(Identity 부여 기술, 정보전달 기술 등) 및 실증

 

- 배터리 관리모델 개발 : 공유형 배터리 생애 전주기(생산→등록→사용→재활용·폐기) 기반의 관리시스템 마련

 

- 기반구축 : 모듈 시험·평가 장비(배터리 안전 평가, 데이터 수집·분석 장비 등) 및 공유스테이션 충전기 및 배터리팩 장비 구축

 

- 표준화/인증 : 탑승자/보행자 안전확보를 위한 안전기준과 제품표준화(국가 및 단체표준 등) 마련

 

 

□ 사업 추진 효과

 

ㅇ 국내 전기이륜차 산업 활성화

 

- 전기이륜차 사용 단점(長 충전시간, 短 주행거리, 高 구매가격 등)을 보완하여 배달, 관광지 렌트 등 대규모 사업자 수요 창출

 

 

□ 예비실증 계획(’23년 4월~‘23년 12월)

 

ㅇ (실증방법) 기존 상용 스테이션 운영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스테이션과 배터리, 전기이륜차 상용품 구매하여 임대 등을 통해 예비실증

 

구분 서울 경주
실증일정 ‘23.4∼’23.12 ‘23.5∼’23.12
실증 지역(안) 강남구 청담 DT점, 은평구 구산점 경주 황리단길
서비스플랫폼 배달사업자 (맥도날드) 렌트사업자 (카빙)
실증규모(안) - 공유스테이션: 2기

- 배터리: 42개

- 실증차량: 15대

- 실증 참여인원: 15명 이상
- 공유스테이션: 2기

- 배터리: 24개

- 실증차량: 15대

- 실증 참여인원: 15명 이상
실증사진

 

 

□ 실증 목적

 

ㅇ (시범데이터 수집) 운영 최적화 서비스, 배터리 이상 및 위험 예측 모델 등 구현에 필요한 데이터 수집

 

ㅇ (예비실증 결과의 기술개발 요소 도출) 공유스테이션의 충전 성능과 기능 측면 사용자 편의성 검증, 안전성 분석 등

 

 

□ 실증 결과 활용

 

ㅇ 실증을 통해 수집되는 실증차량의 주행정보, 사용자경험 데이터의 DB화 및 수집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반응형

 

 

이번 사업은 전기이륜차 시장 확대를 위해 필요한 충전시간과 주행거리 등을 개선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실증을 통해, 배터리 공유스테이션 기술개발 및 표준화 사업의 개선 요소를 발굴하고, 실수요자인 배달사업자와 렌트사업자 등의 서비스 수요를 반영한 플랫폼 개발을 '24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향후 전기이륜차 수요가 많은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강화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728x90
반응형
BIG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