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순환경제

[다회용] 1회용품 없는 ‘서울재즈페스티벌 2023’

by TheCCE 2023. 5. 26.
728x90
반응형
SMALL

 

 

 

 

 

 

26일(금)부터 28일(일)까지 3일간 열리는 ‘서울재즈페스티벌 2023’이 1회용품 없는 친환경 축제로 진행된다. 서울시는 행사장 내 다회용기 사용을 지원한다.

 

서울시는 1회용 폐기물 감량을 위해 ㈜더그리트를 비롯한 다회용기 서비스 업체들을 올해 민간보조사업자로 선정하여 카페·야구장 등 다중이용시설 및 대규모 축제·행사에 다회용기 사용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15회를 맞은 서울재즈페스티벌은 국내외 정상급 아티스트 60여 팀이 출연하는 대규모 음악 축제로 26일(금) 12:30부터 3일간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88호수 수변무대, SK핸드볼경기장 등에서 진행된다.

 

 

< 서울재즈페스티벌 2023 개요 >

 

 

ㅇ 기 간 : 2023.5.26.(금) 12:30 ~ 5.28.(일) 20:00

 

ㅇ 장 소 : 올림픽공원 88잔디마당 등

 

ㅇ 주 관 : ㈜프라이빗커브

 

ㅇ 참여인원 : 日평균 18천 명

 

ㅇ 내 용 : 국내외 재즈 아티스트 60여 팀 공연 등

- 크러쉬, 폴킴, 이진아, 태양, 에픽하이, 이승윤, 권진아, 장기하, 고상지 등

 

 다회용기 참여업체 현황

(2023.5.25.기준 12개 업체 16개 부스)

연번 업체명 주요메뉴 비고
1 멜팅소울 햄버거
2 파머스키친 햄버거
3 누올리언스 칠리소스 소시지
4 교동 닭강정
5 오사카타코 타코
6 버닝하트 새우강정, 오지치즈후라이
7 바이두부 샌드위치 용기 사용량 가장 많음
8 브로스키친 피자
9 퀸즈블러바드 멕시코음식
10 붕어유람단 붕어빵
11 다옴 덮밥, 옥수수구이
12 서퍼스포케 포케 용기 규격 등에 따라 일부 1회용품 사용

 

 총36개 부스 중 28개가 식음료 판매부스

 28개 식음료 부스 중 카스, 편의점, 하이볼BAR  8개 업체를 제외한 12개 업체 16개 부스에서 다회용기 사용

 12~19번 (8개 부스) : 굿즈 판매 및 홍보

 

 


 

 

붕어유람단, 바이두부, 교동 닭강정 등 12개 업체가 참여하며, 행사장 내 16개 부스에서 음식을 주문하면 다회용 컵과 용기, 숟가락과 포크 등을 제공하며, 다 쓴 용기는 행사장 4곳에 설치한 다회용기 수거함에 반납하면 된다.

 

다회용기 수거함 내부는 세균번식 방지 기능이 있어 낮 기온이 오르는 야외공간에서도 위생적으로 관리되며, 수거한 다회용기는 애벌세척, 초음파 세척, 고온고압 세척, UV살균 등 7단계의 세척 과정을 거쳐 재사용된다.

 

 

시는 축제 기간 16개 식음료 판매부스에서 일 평균 약 3만 개, 3일간 약 9만 개의 다회용기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하고, 1회용품 사용 대비 폐기물처리비용이 80%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축제를 주관하는 ㈜프라이빗커브는 다회용기에 담아 온 음식을 제외한 외부 음식, 패스트푸드, 배달음식 등의 반입을 금지하고 공연장 내에서도 500ml 이하의 페트병(1인 1개 허용) 또는 개인 텀블러에 담긴 물을 제외한 모든 주류 및 음료 반입을 금지해 축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번 축제의 다회용기 회수율 및 사용 실태 등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보완해 관련 지원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반응형

 

 

 

* 출처 : 서울시

 

 

 


 

 

 

 

2023.04.24 - [순환경제] - [플라스틱] 재생 플라스틱병 아리수 생산

 

[플라스틱] 재생 플라스틱병 아리수 생산

서울시는 병물 아리수에 재생 페트(PET)를 활용한다. 시는 올해부터 환경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인정을 받은 재생원료를 사용해 병물 아리수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인증받은 재생원료로는 국

thecce.kr

 

 

 

 

 

728x90
반응형
BIG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