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전체 글2126

[운송] 유럽 친환경차 보급 정책 EU 저공해 운송수단 전환 정책 EU의 운송 부문은 유럽 온실 가스 배출량의 거의 1/4을 차지한다. 운송 부문 중에서 도로 운송이 온실가스 총배출량의 70 %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 중점 추진 과제 1. 운송시시템 개선 디지털 기술 및 가격 책정을 최대한 활용하고 저탄소배출 운송 수단으로의 전환을 장려하여 운송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인다. 2. 저공해 대체 에너지 보급 첨단 바이오 연료, 전기, 수소 등 수송을위한 저공해 대체 에너지의 보급을 가속화하고 수송의 전기화에 대한 장애물 제거한다. 3. 친환경차 전환 저공해 및 무공해 차량으로의 전환을 가속화 한다. 2019년 EU의회는 모빌리티 일괄 법안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운송부문 규제조치로 EU 회원국에서 생산된 신규 승용차 및 소형 상용차의.. 2021. 2. 11.
[수소] 수소 판매가격 보고 및 공개 제도 수소판매가격 보고 의무 2월5일 수소법이 시행됨에 따라 수소충전소 운영자는 법 제34조에 따른 수소유통 전담기관(가스공사)에 수소 판매가격을 보고해야 한다. 실시간 가격정보 제공으로 충전소 간 가격경쟁 촉진, 생산,유통 관련 정보의 비차별적 제공을 통한 정보의 비대칭성 완화로 시장투명성 제공이 목적이다. ■ 판매가격 보고 대상 수소의 보고내용 등(시행령 제55조 제1항 관련) 보고대상 수소 판매사업자 보고내용 수소의 종류별 중량 단위(kg) 정상 판매가격 보고방법 전자보고 또는 그밖의 방법 보고기한 판매가격 결정 또는 변경 후 24시간 이내 ■ 판매가격 공개 대상별 공개내용 및 공개시기(시행령 제55조 제3항 관련) 수소판매사업자의 전체 평균 판매가격 수소판매사업자가 전일에 판매한 수소의 평균 판매가격 .. 2021. 2. 6.
[수소] 세계 최초 '수소법' 시행 글로벌 수소 경제 선도 지난 ‘19.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이후 정부의 정책 역량을 집중해 온 결과, 우리 수소경제의 글로벌 위상이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수소차 일본 등 경쟁국 제치고 ’19~‘20년 글로벌 판매 1위 유지 * ‘20년 글로벌 판매량(대) : (현대) 6,025(비중 82%) (도요타) 1,064, (혼다) 218 충전소 수소경제의 핵심 인프라로, ‘19~‘20년간 세계 최다 구축 * (‘19→’20) : (한국) 34→70, (일본) 112→136, (독일) 84→91, (미국) 70→69 연료전지 세계 보급량의 43%인 세계 최대의 발전시장 조성 * 연료전지 발전량(‘20.말, MW, 누적기준) : 한국 600, 미국 482, 일본 313 그동안의 성과를 바탕으로 수소.. 2021. 2. 5.
[배출권] '19년 온실가스배출권 거래량, 전년비 19.7% 감소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운영실적 - 환경부, 2019년도 배출권거래제 운영분석 결과 이번 운영실적은 제1차 계획기간을 포함, 제2차 계획기간 제2차 이행연도(2019년)의 배출권 사전할당에서 배출권(KAU19, KCU19) 제출 완료 시점(2020년 11월)까지의 제도 운영결과이다. 제1차 계획기간 제2차 계획기간 제3차 계획기간 2015~2017 2018~2020 2021~2025 [배출권 거래시장 실적] 구 분 2015 2016 2017 2018 2019 총 거래량 (만톤) 570 1,200 2,630 4,730 3,800 평균 거래가격 (원) 11,013 17,068 20,951 22,120 28,445 총 거래대금 (억원) 624 2,041 5,503 10,475 10,831 - 2019년 배.. 2021. 2. 3.
[정책] '21년, 전기충전기 3만기-수소충전기 100기 신설 2021년 정부의 그린뉴딜 환경분야 주요 추진 과제는 다음과 같다 미래차 대중화 시대 조기 실현 미래차(전기차,수소차) 30만대 시대를 달성하고, 전기충전기 3만기, 수소충전기 100기 이상을 신설하여 미래차 대중화 시대를 앞당길 계획이다. [미래차 확대 계획] (기준 : 누적) [수요 확산] ○ 수요 측면에서, 공공기관 신규차량은 80% 이상을 미래차로 의무 구매하도록 하고, 민간기업은 자발적으로 2030년까지 보유차량 100%를 미래차로 전환(K-EV100 프로젝트)하도록 유도한다. K-EV100은 민간기업이 ‘30년까지 보유차량의 100% 미래차 전환 공개선언시 충전인프라 등 지원하는 프로젝트이다. ○ 공급 측면에서 자동차 제작사의 저공해차(전기·수소·하이브리드차) 보급목표를 상향(2020년 15%.. 2021. 2. 3.
[수소] 호주-일본, 「수소 공급망 동맹 」 HESC(Hydrogen Energy Supply Chain) 프로젝트 HESC(Hydrogen Energy Supply Chain) 프로젝트은 수소 공급망 구축의 선도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일본과 호주간 공동 협력 사업이다. 구 분 주 체 공 정 지 역 호 주 갈탄 빅토리아주 Latrobe Valley Hystra 가스화 호주 컨소시엄 가스 정제 수소 육상 운송 육상 150㎞ 수소 액화 빅토리아주 Hastings 항구 액화 수소 선적 해상 Hystra 수소 해상운송 해상 9000㎞ 일본 액화 수소 하적 Kobe Airport Island HESC 프로젝트는 1단계로 2021년까지 시범 사업을 마치고, 2단계 상업화 검토 작업을 거쳐, 2030년대 부터 본격 운영에 돌입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 2021. 2. 1.
[수소] 대한민국 「 수소경제 로드맵 」 대한민국 「 수소경제 로드맵 」 1. 배 경 ▷ 수소 경제는 온실가스 감축, 미세먼지 저감, 재생에너지 이용 확대 등 친환경 에너지 확산과 에너지원 다각화,해외 에너지 의존도 감소 등 에너지 자립에 기여한다. ▷ 수소경제를 통해 자동차·선박 등 수송분야와 전기·열 생산 등 에너지분야까지 다양한 새로운 시장과 산업창출이 가능하다. ▷ 수소의 생산, 운송·저장, 충전소 등 산업 인프라 구축으로 인한 파생 연관산업 효과가 크고 중소·중견기업의 투자와 고용창출이 가능한 미래 성장산업이다. 2. 수소경제 활성화 주요 내용 ▷ 수송, 에너지(전기·열) 등 수소활용 확대로 세계시장 점유율 1위 달성을 목료로 한다. ▷ 그레이(Gray)수소에서 그린(Green)수소로 수소생산 패러다임 전환 한.. 2021. 1. 29.
[수소] 세계 최초·최대 부생수소 연료전지 발전소 대산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대산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는 부생수소를 연료로 하는 세계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수소 연료전지발전소다. [사업 개요] 총사업비 2,550억원 공사비 2,329억원 (주)한화건설, (주)두산 공동 수행 면적 20,000 ㎡ (약 6000평) 주요 일정 2018년 1월 : 대산그린에너지(SPC) 설립 2018년 8월 : 대산수소연료전지발전소 착공 2020년 6월 : 50MW 상업생산 시작 부생수소 연료전지는 석유화학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부생수소를 연료로 활용해 산소와 전기화학 반응을 일으켜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고효율 발전시스템이다. 지금까지 버려지거나, 태워진 부생수소를 연료로 활용하는것이 특징이며, 대규모 사업화에 성공한 세계 최초의 수소연료전지발전소이다. 온실가스 등 대기오염.. 2021. 1. 27.
[기후] 지구의 얼음, 더 빠른 속도로 녹아 얼음 녹는 속도 57% 빨라져 기후 변화로 인해 지구 기온이 더 높아짐에 따라 지구상의 얼음이 1990년대 중반보다 빠르게 녹고 있다. 지난 1월 25일 The Cryosphere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1994년에서 2017년까지 총 28조 메트릭 톤의 얼음(극지방, 산악 지역, 해빙 등)이 지구에서 사라진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는 영국의 국토 전체를 100미터 높이로 덮을 수 있는 만큼의 양에 해당한다. 연간 기준으로 얼음이 녹는 속도는 30년 전보다 약57% 빨라졌으며, 특히 1994년과 2017년 기간에 65%로 더 높게 나타났다. 보고서는 전세계적으로 1990년대에 연평균 0.8조 메트릭 톤의 얼음이 감소했는데, 최근에는 연간 약 1.2 조 메트릭 톤 상당의 얼음이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2021. 1. 27.
[정책] '녹색채권 가이드라인' 금융권의 기후․환경변화 대응 및 사회적 책임 등과 관련된 “지속가능금융”에 대해 다양한 논의 전개 중인 가운데, 친환경 사업에 투자하는 채권인 '녹색채권(그린본드)' 발행이 금융권의 주요 경영 전략으로 부각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월 25일, '21년 녹색금융 사업 추진 계획'을 발표하고 녹색채권 가이드라인'에 기반하여 금융회사·기업과의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녹색채권 발행 시범사업을 실시하기로 했다. 위원회는 시범 사업을 통해 기업 등에서 발행하는 녹색채권이 가이드라인과 부합하는지 여부를 분석·발표할 계획이다. 「녹색채권 가이드라인」 핵심 내용 1. 녹색채권의 정의 녹색채권이란 발행 자금이 환경개선 목적을 위한 ’녹색 프로젝트‘에 사용되며 ’녹색채권‘으로 서의 유효성 성립을 위한 다음 네 가지 핵.. 2021. 1. 26.
[에너지] EU 전력, 신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 첫 추월 유럽 신재생에너지 비중 38% 신재생에너지 리서치 기관인 Ember와 Agora Energiewende의 최근 'EU 전력 산업 2020'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EU지역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수력, 바이오)의 전력 생산 비중이 처음으로 화석연료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내 신재생에너지의 전력생산 비중이 2019년 34.6%에서 2020년 38%로 상승했다. 화석연료 37%에 소폭 앞서며 처음으로 유럽의 최대 에너지원이 된 것이다.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EU 지역 전력 소비가 4% 감소한 가운데, 전년대비 풍력 발전은 9%, 태양광 발전은 15% 각각 증가한 반면, 화석연료 발전은 가장 많은 20%가 감소했다. 화석연료 발전은 2015년 대비 48% 정도 감소하였다. 이는 연.. 2021. 1. 26.
[기후] Greta Thunberg, "We Will Be Watching You" "We Will Be Watching You !" - 2019 UN 기후행동정상회의 연설 - 스웨덴 출신 16세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Greta Thunberg)는 유엔총회 일정 중 하나로 진행된 '기후행동정상회의'에서 연설을 했다. 툰베리는 각국 정상들을 향해 "모든 미래 세대의 눈이 여러분을 향해 있습니다. 여러분이 우리를 실망시키기를 선택한다면, 우리는 결코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고 경고하고 "전 세계가 깨어나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좋아하든 아니든, 변화는 다가오고 있습니다."며 책임 있는 조치를 촉구했다. "당신들은 자녀를 사랑한다고 말하지만,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않는 모습으로 자녀들의 미래를 훔치고 있다" - 그레타 툰베리 Greta Thunberg UN Speech (그레타 .. 2021. 1. 24.
[금융] EIB, 운송산업 탄소제로 대출 강화 EU의 기후변화은행 유럽​​투자은행(EIB)은 운송 부문의 탈탄소화를 촉진하고 EU의 기후변화를 주도하는 금융기관으로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위해 운송산업에 대한 대출 정책을 새롭게 정비, 강화하기로 하였다. EIB는 유럽 및 전 세계 운송산업 프로젝트에 매년 약 600억 유로의 대출을 제공하고 있으며, 누적 대출 자금 규모는 3250억 유로에 이른다. 운송 부문은 EU 전체 투자자금의 4유로당 약 1유로에 해당하는 약 2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분야이다. 이와 더불어 운송 부문은 EU지역 전체 온실가스의 28%를 배출하는 가장 큰 산업이다. 2011년에 제정된 운송산업에 대한 대출 정책은 기후변화시대에 부합하지 않으며, EU의 2050년 탄소중립 목표에 도움이되지 않는 프로젝트에 수십억 달러를.. 2021. 1. 21.
[해양] 해수면 온도, 사상 최고치 기록 멈추지 않는 해수면 온도 상승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US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의 보고서는 2020년 지구 해수면의 기온이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의 가속로 인해 지난 한해 20 제타 줄(20,000,000,000,000,000,000,000 joules) 만큼의 열이 지구 해양으로 흡수되어 해수면 온도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 제타 줄은 히로시마 원폭이 1년 동안 매 초마다 10개가 만들어 내는 정도의 에너지에 해당 한다고 한다. ※ 원자폭탄의 위력은 일정 중량의 TNT가 폭발하면서 방출하는 에너지량으로 환산한다. 즉 1KT라고 하면 TNT 1천 톤을, 1MT급이라고 하면 TNT 100만 톤을 한.. 2021. 1. 18.
[ESG] 유럽 금융계, 3월 ESG투자 공시 시행 '지속가능 금융정보 공시(Sustainable Finance Disclosure Regulation,SFDR)' EU의 '지속가능 금융정보 공시(Sustainable Finance Disclosure Regulation,SFDR)'가 금년 3월 시행을 앞두고 있다. SFDR은 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ion)가 지난 2018년에 수립한 '지속가능금융을 위한 실천계획(Sustainable Finance Action Plan)'에 따른 것이다. '지속가능금융을 위한 실천계획(Sustainable Finance Action Plan)'은 기후변화 완화, 오염 감소 및 생물 다양성 보호를 목표로 하는 '유럽 그린뉴딜'로 알려진 EU위원회의 기후대응 로드맵의 일부이다. 민간의 투자 자금이 2050년 .. 2021. 1. 17.
[ESG] ESG정보 공시 의무화 추진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환경·사회·지배구조) 정보에 대한 기업의 공시 제도가 강화 된다.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공시 의무화 금융당국은 ESG( 책임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을 위해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의 공시 의무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환경 관련 기회 위기요인 및 대응계획, 노사관계 양성평등 등 사회이슈 관련 개선노력 등 지속가능경영 관련 사항을 담은 보고서이다. ESG 정보 공시 단계적 의무화 추진 금융당국은 ESG 책임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조성을 위해 ‘ESG 정보공개 가이던스’를 제공하여 상장사의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자율공시를 활성화하고 단계적 의무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2025년까지는 ESG공시 가이던스에 .. 2021. 1. 16.
[정책] '21년 전기·수소차 구매 지원 방안 지난 1월 8일 정부는 '혁신성장 BIG3(시스템반도체, 미래차, 바이오헬스) 추진회의'를 개최하고 무공해차 보급 가속화를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 ※ 차량별 보조금 1. 전기차 (1) 국고보조금 구 분 제작‧수입사 차 종 보조금(만원) 승 용 현 대 코 나(기본형, PTC) 800 코 나(기본형, HP) 800 코 나(경제형) 690 아이오닉(HP) 733 아이오닉(PTC) 701 기 아 니 로(HP) 800 니 로(PTC) 780 르노삼성 ZOE 702 한국GM 볼 트 760 BMW i3 120Ah 341 테슬라 Model S(Long Range) - Model S(Performance) - Model 3(Standard) 684 Model 3(Long Range) 341 Model 3(Performa.. 2021. 1. 12.
[기후] 중세온난기 가뭄, 현재 기후변화와 유사 중세 온난기에서 소빙기로 전환되는 시기에 이어서 유럽은 1302~1307년 사이에 심한 가뭄을 겪었다. 이후 습하고 추운 시기로 인해 1315년에서 1321년의 사이에 유럽에서는 대기근이 발생하였다. 중세초 기상패턴이 현재 기상 이변과 유사 최근 Climate of the Past 저널에 따르면, 1302~1307년 사이의 기상 패턴이 유럽 대륙이 이상 고온과 가뭄을 겪었던 지난 2018년의 기상 이변과 유사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세와 최근의 기상패턴 모두 북극의 온난화 증가로 인해 1980년대 이후 자주 발생하는 기상 패턴과 유사하다고 한다. 1302~1307년과 2018년의 기후를 비교한 결과 가뭄, 기후변화는 과도기 단계에 항상 낮은 변동성을 보이며 장기간 안정적인 기후 패턴을 보이는 것을 .. 2021. 1. 8.
[기후] 아마존 삼림 파괴, 과거 12년 중 최고치 기록 최근 영국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브라질의 아마존 밀림이 벌채로 파괴되어 지난 12년 가운데 최고치를 기록 했다. 아마존 '19년 대비 9.5% 더 많이 파괴 브라질 국립 우주연구기관인 INPE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세계에서 가장 큰 열대 우림의 파괴는 2019 년에 비해 9.5 % 증가한 11,088 제곱킬로미터 증가했다. 정부의 반환경 정책으로 인해 브라질의 삼림은 기후 변화에 관한 국가 목표에서 설정한 2020년 목표치보다 3배 가까이 더 많이 사라지고 있다. 환경운동가들과 과학자들은 산림개발과 훼손의 책임이 보우소나로 대통령에게 있다고 주장한다.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이 취임 이후 환경 정책이 퇴보하면서 산림 파괴가 가속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광산업체, 가축 목장주, 불법 벌목꾼들이 지구에서 가.. 2021. 1. 7.
[태양광] GoSun, 태양광 RV 'Dream(드림)' 출시 태양광을 이용하는 다양한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하는 GoSun이 태양광 기반 소형집을 시장에 출시한다. 에너지 자립 이동형 하우스, '드림' GoSun의 최신 프로젝트인 'Dream(드림)'은 태양광을 활용하는 RV와 작은 집을 결합한 에너지 자립 이동형 집이다. '드림'은 내구성 있고, 다양한 기능을 지니며, 에너지 효율성을 가장 중심에 두고 만들어진 에너지 자립형 주택이다. 미니멀리즘에 기초한 전체적인 구조, 저에너지의 지속가능성 및 친환경적 요소, 자립형 오프 그리드 기능을 보유한 '드림'은 모든 여행자와 아웃 도어 애호가들을 위한 진정한 꿈일 될것이다. GoSun Dream 규모 길이 6.1M 폭 2.6M 높이 3.9M 중량 5,239kg 실내면적 18.2제곱미터(약 5.5평) 드림 실내에는 침대,.. 2021. 1. 6.
[정책] 정부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정부는 지난 12월 29일, 신재생에너지 정책심의회를 개최하고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보급 기본계획 (이하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을 심의 확정하였다. 금번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이번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은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동일한 2020~2034년을 계획기간으로 하되, ’34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 또한 제9차 수급계획에 맞춰 25.8%(재생 22.2%, 신 3.6%)로 설정하였다. * 제9차 수급계획에 따른 ’34년 신재생에너지(사업용+자가용) 설비용량은 82.2GW (바이오 혼소 포함시 84.4GW) 제5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은 신재생에너지 보급 시장 수요 산업 인프라 5대 혁신을 바탕으로 저탄소 사회 경제로의 이행을 가속화하는 .. 2021. 1. 5.
[탄소배출권] 탄소배출권 지난해 사상 최고 수익율 기록 2020년 탄소배출권 31% 상승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탄소배출권 가격이 지난해 31% 상승하며 최고의 투자 성과를 낸 한해로 기록될 것이라고 한다. 탄소배출권이 대표적인 투자자산인 금보다 높은 수익율을 기록하는 상품연계 자산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지난 12월 22일 기준, 국제거래소 탄소배출권의 가격은 톤당 €32.08(USD 39.08 상당)를 기록 했다. 이러한 배출권 가격 강세의 원인 중 하나는 유럽연합이 2030년까지 온실 가스 배출량을 1990년 배출량의 최소 55%까지 줄이겠다는 최근 결정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Morgan Stanley, '25년 탄소배출권 전망 2배 상향 한편, Morgan Stanley는 지난 9월에 2025년 유럽 탄소배출권 가격에 대한 전망을 종.. 2021. 1. 4.
[항공] 이산화탄소 활용, 제트기 연료 생산 개발 Nature Communications에 최근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영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과학자들로 구성된 연구진이 이산화탄소를 주성분으로 제트기 연료를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전해진다. 이는 과학자들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줄이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모색하는 가운데, 특정한 산업 분야에 점점 더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다. 항공산업이 이러한 분야 중 하나다. 항공산업, 운송부문 이산화탄소 배출의 12% 차지 항공산업은 운송부문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약 12 %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진다. 항공 산업에서 탄소 배출을 억제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항공기 내부에 무거운 전기배터리를 장착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두 나라의 과학자들은 탄소 .. 2021. 1. 4.
[정책] 과기정통부, 21년도 기후ㆍ환경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에너지효율향상기술개발’, ‘미래수소원천기술개발’ 등이 포함된 ’21년도 기후ㆍ환경 연구개발사업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21년도에 전년 대비 12.9% 증액한 1,501억 원을 기후ㆍ환경연구개발 분야에 투자하기로 하였다. 기후‧환경연구개발사업 '21년도 중점 추진 계획은 다음과 같다. 1. 온실가스 발생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에너지 효율향상 기술개발 지원을 확대 ㅇ 낮은 소비전력의 차세대 냉방시스템 개발, 우수한 정보통신기술(ICT) 활용 등을 통하여 건물의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너지 효율향상 기술개발’ 사업에 36억 원을 신규 지원한다. ㅇ 에너지 자원의 분석, 예측, 통합관리 등 스마트그리드.. 2021. 1. 3.
[정책] 영국, 세계 최초 탄소제로 산업단지 추진 1월 2일 영국정부의 발표에 따르면, 영국 전역의 6개 프로젝트가 2040 년까지 세계 최초의 탄소제로 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정부 자금 8백만 파운드를 각각 받게 되었다. 6개 지역은 West Midlands, Tees Valley, North West, Humber, Scotland, South Wales 이다. 2040년까지 1개의 탄소제로 산업클러스터 조성 이번 6개 지역 선정을 통해 글로벌 녹색 산업 혁명을 주도하려는 영국은 2030년까지 4개의 저탄소 산업 허브, 2040년까지 적어도 1개의 탄소제로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영국은 자국 경제를 탈탄소화하고 수십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야심찬 목표로 녹색 산업 혁명을 주도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이번 자금 지원을 통해 산업 분야에서 .. 2021. 1.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