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모] 정부, 2023년 산업단지 환경개선 사업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23.1.18.(수) 제조업 중추인 산업단지*의 환경·인프라 개선을 위한 관계부처**의 사업들을 통합하여 공모하였다. * 국내 제조업 전체 생산의 약 2/3(1,104조원), 고용의 1/2(2,272천명)을 차지(‘21년 기준) **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문화체육관광부, 환경부, 산림청 등 5개 부처 □ 산업단지 환경개선 정부합동 공모는 `14년부터 매년 시행 중으로 올해는 기업환경, 근로환경, 정주여건 등의 개선을 위해 5개 부처 20개 사업으로 약 3,700억원 규모가 지원될 예정이다. ㅇ 합동공모에는 산업부의 산업단지 편의시설확충을 위한 복합문화센터 건립, 혁신지원센터 구축, 휴폐업공장리모델링 등 8개 사업(1,700억 규모)을 비롯하여 ㅇ 고용부의 근로환경개..
2023. 1. 18.
[공고] 2023년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지원
중소벤처기업부, ’23년 중소기업 지능형(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통합공고(1.9) 지능형(스마트)제조혁신 지능형(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로봇, 제조자료(데이터) 활용, 상담(컨설팅) 지원 등 6개 분야, 1,462억원 지원 계획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는 올해 총 1,462억원 규모 ‘지능형(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통합공고’를 실시했다. 지능형(스마트)제조혁신을 위한 지능형(스마트)공장 구축·확산 정책은 ’14년부터 시작돼 ’22년까지 지능형(스마트)공장 3만개를 초과 보급했다. * 10인 이상 중소제조기업 7.2만개의 41% 수준(’21년, 통계청) 중소기업들은 지능형(스마트)공장 구축을 통해 생산성 29.4% 증가, 품질 42.8% 향상, 원가절감 15.9% 등 공정개선 효과와 기업당 매..
2023. 1. 10.
[정책] 환경부, 2023년 주요업무 추진계획
1. 탄소중립을 도약의 기회로, 순환경제도 본격 추진 균형 잡힌 원전+재생에너지 전략으로 책임 있는 탄소중립 이행 제도혁신과 재정지원으로 탄소 무역장벽 극복, 저탄소 신산업 창출 희소금속 등 재생자원 확보를 위한 폐배터리 클러스터 착공 2. 3대 녹색 신산업을 키우고, 현 정부 내 100조 원 녹색산업 수출 탄소중립, 순환경제, 물 산업 등 3대 녹색 신산업 육성 2027년 100조 원 수주를 목표로 2023년 20조 원 녹색산업 수출 * 민관 협력, 고위급 환경 비지니스, 재원 조달, 녹색 공적원조(그린 ODA) 확대 등 3. 홍수 가뭄 걱정 없게 하고, 생활 속 환경 안전망 구축 인공지능 홍수예보 전국 확대, 대심도 빗물 터널 등 기반 시설 구축 초미세먼지 임기 내 30% 감축(18㎍/m³ → 13㎍..
2023.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