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23년 거점형 및 강소형 스마트시티 선정
국토교통부는 ‘23년 거점형 및 강소형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공모 결과, 거점형은 울산광역시, 고양시 등 지자체 2곳, 강소형은 평택시, 목포시, 태안군, 아산시 등 지자체 4곳을 선정하였다. □ 거점형 및 강소형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은 시민과 기업, 지자체가 힘을 모아 기존 도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서비스를 찾아내고, 만들어나가는 사업이다. ㅇ 거점형 스마트시티 사업은 도시 전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개발·구축하여 스마트시티의 확산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선정된 지자체에는 각각 국비 200억원(지방비 1:1 매칭)이 지원될 계획이다. ㅇ 강소형 스마트시티 사업은 기후위기‧지역소멸 등 최근의 환경변화에 대응력을 확보하기 위한 특화솔루션 집약 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각각 국비 120..
2023. 5. 4.
[교원] 「중장기('24~'27) 초중등 교원수급계획」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는 학령인구 급감, 디지털 대전환 등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모두를 위한 맞춤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중장기(2024~2027년) 초‧중등 교과 교원수급계획」을 발표한다. 이번 중장기 교원수급계획은 적정 규모의 교원수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학령인구 감소 추세와 함께 미래교육 수요를 종합적으로 반영하였으며, 시도교육청, 교원단체 등 교육계뿐만 아니라 비교육계(경제, 인구 등) 전문가 등의 다양한 의견수렴과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마련되었다. ※ 주요 의견수렴 현황 :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사무국 협의(2022.11월), 교원단체(교총, 전교조, 교사노조연맹) 협의회(2022.12월), 비교육계(경제, 인구 등) 및 교육 전문가 협의(2022.12월), 국회토론회 참석..
2023. 4. 24.
[벤처] 2022년 벤처투자 동향
중소벤처기업부는 2022년 연간 벤처투자* 동향을 발표했다. * 집계 범위 :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벤처투자조합 투자금액 + 창업투자회사 직접 투자금액 2022년 벤처투자는 전년 대비 11.9%(9,162억원) 감소한 6조 7,640억원으로 파악됐다. 비록 줄기는 했으나 역대 최대였던 2021년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이다. 구 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투자금액 34,249 42,777 43,045 76,802 67,640 전년 대비 증감 - +8,528 +268 +33,757 △9,162 증감률 - +24.9 +0.6 +78.4 △11.9 투자 건수 3,150 3,713 4,231 5,559 5,286..
2023.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