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산림청, 기후변화·산림재해 대비 산림토양지도
산림청, 전국산지 대상 대축척(1:5000) 산림입지토양도 제공 13년간 전국 산림토양을 조사하여 정밀 산림입지토양도 제작 완료 전국 산림의 입지환경과 토양 특성을 분석하여 필지 단위의 상세 토양정보 제공 기후변화·산림재해 예방, 과학적 정밀임업 추진, 산림생태계 관리 활용 산림청(청장 최병암)은 기후변화 대응과 디지털 산림관리를 위하여 전국 단위의 정밀 산림토양지도인 ‘대축척 1:5,000 산림입지토양도’를 제작했다. 산림입지토양도(1:5,000)는 전국 산림의 입지와 토양 환경을 조사하여 토양의 특성에 따라 구분한 지도로, 해발고, 경사, 사면 위치, 암석 노출도 등 13개 입지환경 정보와 유기물 층의 두께, 토양의 깊이, 건습도 등 11개 토양정보를 제공한다. 산림의 지상부를 설명하는 나무지도(임상..
2022. 3. 21.
[습지] 국내 ‘습지보호지역’ 현황
국내 ‘습지보호지역’ 현황 (‘22.2월 기준) □ 지정현황 ○ 49개 지역, 1,574.209㎢ (개선지역 및 주변관리지역 포함) □ 습지 ○ 담수(민물), 기수(민물과 바닷물이 섞여 염분이 적은 물) 또는 염수(바닷물)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 내륙습지와 연안습지를 말함(습지보전법 제2조제1호) ○ 내륙습지는 육지 또는 섬에 있는 호수, 못, 늪, 하천 또는 하구 등의 지역이고, 연안습지는 만조 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계선으로부터 간조 때 수위선과 지면의 경계선까지의 지역을 말함 □ 습지보호지역 ○ 국내 습지 중에서 자연생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거나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희귀하거나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이 서식 도래하는 지역, 특이한 경관적, 지형적 또는 지질학적..
2022.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