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CCUS13

[CCUS] CCUS 산업‧기술혁신 추진(안)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공동위원장: 한덕수 국무총리, 김상협 카이스트 부총장)는 4월 10일(월) 정부 서울청사에서 국무총리 주재로 2023년 제3차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국가 온실가스 주요 감축수단인 CCUS 산업 활성화 및 기술혁신 방안에 대해 기업 및 연구기관과 함께 논의하였다. CCUS 산업‧기술혁신 추진(안) □ 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안(IRA) 등 탄소중립이 환경이슈에서 경제이슈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는 우리에게 매우 현실적이고 도전적인 과제이다. ㅇ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 가능성과 산업경쟁력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CCUS 기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 이러한 차원에서 이날 전체.. 2023. 4. 11.
[CCUS] 충남도, 서해안권 CCUS 상용화 착수 충청남도, 석유공사‧중부발전 등과 서해안권 CCUS 상용화 업무협약 체결 기후위기 주범 ‘탄소’ 해양 지중에 격리하고 화학소재 등으로 활용 충남도가 기후위기 주범으로 꼽히는 탄소를 영구 격리하거나, 화학소재로 활용하는 기술 개발 사업에 본격 나선다. 김태흠 지사는 2일 한국중부발전 보령발전본부 대회의실에서 원성수 공주대 총장, 김호빈 중부발전 사장, 이평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 이미혜 한국화학연구원 원장, 안범희 한국석유공사 ESG추진실장, 권이균 한국 CCUS추진단 단장과 ‘서해권 탄소포집저장활용(CCUS) 상용화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CCUS는 발전 및 산업체 등이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발생시킨 탄소를 포집한 후 화학소재 등 유용 물질로 활용하거나 해양 지중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탄.. 2022. 12. 5.
[CCS] 울산시, ‘동해가스전 CCS 사업’ 공모 참여 울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탄소 포집‧저장(CCS)* 중규모 실증 기반 구축사업’에 유치계획서를 지난 9월 21일 제출했다고 밝혔다. * CCS(Carbon Capture Storage) : 탄소 포집, 저장 주관 한국석유공사 규모 ○ 연간 40만톤 규모의 CO₂ 주입 목표 ○ 중규모 CCS 실증사업 예정부지 ○ 동해가스전 저류층 및 플랫폼을 포함한 관련 시설물 ○ 생산종료 예정인 동해가스전을 저장전으로 활용 계획 사업기간 ○ 연구과제 : 2021~2023년 ○ 건설 : 2023~2024년 ○ 운영 : 2025~2055년 이번 공모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2030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L.. 2022. 9. 25.
[CCUS] 정부, CCUS 제도기반 구축 착수 CCUS 기술혁신·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본격화 관계부처 합동 “CCUS 제도기반 구축 TF” 발족 산업통상자원부는 5월 13일(금), 탄중위 사무처, 과기부, 환경부, 해수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CCUS 기술을 탄소중립 대응 에너지 신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CCUS 제도기반 구축 TF』를 발족하고, 1차 회의(주재 : 천영길 에너지전환정책관)를 개최하였다. * CCUS(탄소포집·저장·활용기술,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CCUS 제도기반 구축 TF』 1차 회의 ▪ 일시 / 장소 : ’22.5.13(금), 10:00 ∼ 11:50 / 서울(비앤디파트너스) ▪ 참 석 : 천영길 에너지전환정책관(주재), 탄중위 사무처 경제산업기술과장,해수부 .. 2022. 5. 13.
[CCUS] 국내 CCUS 기술개발 주요 성과 산업통상자원부는 1.19(수)~20(목) 양일간 ‘CCUS* 기술개발 성과 공유 및 기술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최근 5년간 CCUS 주요 기술개발 성과를 공유하고, CCUS 조기 상용화를 위한 ‘22년 R&D 지원 방향과 기술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 금번 심포지엄은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기업의 CCUS 수요가 대폭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기술개발 성과를 기업들에게 소개해 기술이전 등 R&D 성과확산을 촉진하고, 정부의 CCUS R&D 투자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하였음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분야별 대표 기술 개발 성과 및 향후 활용 계획 등에 대한 주요 발표 .. 2022. 1. 20.
[CCS] Aker Carbon Capture expands to Danish market Aker Carbon Capture is expanding its presence in the Danish market as the pure-play carbon capture company is positioning for future growth across several industries in the country. “We are delighted to contribute to the Danish climate targets by offering our mature and proven carbon capture technology, which in cooperation with Danish industry can enable significant reductions of emissions alre.. 2022. 1. 16.
[CCUS] 일본, CCUS 아시아 주도권 추진 일본, 탄소 CCUS 기술을 활용한 산업 체제 강화 및 ASEAN과 CCUS 네트워크 구축 중 * 출처 : KOTRA 일본은 CCUS 산업에 적극적인 참여 탄소 리사이클링이란 체제 아래 종합적인 기술 개발 진행 중 동남아시아에도 CCUS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향후 미래 산업에 대한 아시아 주도권 형성을 위해 노력 중 일본의 그린 성장전략을 시작으로 일본도 미래사회로의 변화를 위해 다양한 미래 기술에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스가 전 총리는 21년 4월 탄소 배출량 절감목표를 기준대비 46% 이상 절감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탄소 절감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기술적인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탄소의 직접적인 절감 및 활용과 관련된 CCUS 기술에 대한 일본의 기술적 발.. 2021. 12. 5.
[CCS]「동해가스전 탄소포집·저장」실증사업 공청회 동해가스전 활용 '25년부터 年 40만톤 이산화탄소 저장 추진 블루수소 연계 국내 최초 상용 규모 CCS 사업 산업통상자원부는 11.18(목) 상용규모 기술 실증을 통한 CCS 조기 상용화와 2030년 온실가스감축 목표 실현을 위해 1년여의 기획과정**을 거쳐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통합실증사업’ 공청회를 개최하여 국내 최초의 상용 규모 이산화탄소 저장 사업 추진 계획을 발표하고 산·학·연 관계자 의견을 수렴하였다. * CCS(Carbon Capture Storage) : 발전 및 산업체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안전하게 육상 또는 해양지중에 저장하는 기술 ** CCS 전주기(포집·수송·저장) 통합실증 사업에 대한 기술적·정책적·경제적 타당성 평가를 위한 정책연구용역.. 2021. 11. 19.
[CCS] 국내 ‘해양 이산화탄소 저장 용량’ 평가 산업통상자원부와 해양수산부는 11.3(수) ‘한국 CO2 저장소 유망구조 및 저장용량 종합평가 심포지엄’을 공동 개최하고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이하 CCS*)을 위한 국내 해양 이산화탄소 저장소 유망구조 및 저장 가능 용량 평가 결과를 발표하였다. * CCS(Carbon Capture Storage) : 발전 및 산업체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후 안전하게 육상 또는 해양지중에 저장하는 기술 ◇ (일시·장소) ’21.11.3(수),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402호(온·오프라인 동시 개최) ◇ (주최) 산업부, 해수부, (주관) K-CCUS추진단, (후원) 지질학회 등 관련 7개 학회, 지질자원연구원, 해양과학기술원, 석유공사 ◇ (참석) 산업부.. 2021. 11. 4.
[에너지] 수소 및 CCUS 대규모 기술개발 추진 산업통상자원부 박기영 차관은 9월 29일(수) 에너지 얼라이언스 참여 기업 대표들과 탄소중립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금번 간담회는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및 2030 NDC 상향안 등 정부가 추진중인 탄소중립 정책 관련 그간 진행 상황을 에너지 업계에 설명하고 의견 및 건의 사항 등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에너지 얼라이언스는 탄소중립혁신 이니셔티브 실현을 위해 지난 4월 결성된 이후 최근 법인 설립 절차가 마무리되었으며, 금번 간담회는 법인 설립 허가 이후 공식적으로 정부와 처음 만나는 자리이다. ㅇ 일시/장소 : ‘21.9.29(수) 10:00~12:00 / 서울 롯데호텔 2층 에메랄드 룸 ㅇ 참석자 : (정부) 박기영 제2차관 등 (에너지 얼라이언스).. 2021. 9. 29.
[CCS]「동해가스전 탄소포집·저장」실증사업 추진 동해가스전 CCS 실증모델 개발 및 향후 사업 확장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실증연구과제에서 한국석유공사는 저장 부문, SK이노베이션은 포집 부문 기술개발 연구를 각각 수행 SK이노베이션과 한국석유공사가 탄소 문제 해결의 핵심 분야인 CCS* 사업과 관련하여 정부가 추진하는 다부처 국책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 다부처 국책과제 다부처 CCS 세부 2과제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중규모 CCS 통합실증 모델 개발』 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동해가스전 CCS 실증모델 개발 및 향후 CCS 분야 사업 확장을 위한 연구를 공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업무협약 체결 직후부터 공동 TF를.. 2021. 9. 18.
[CCUS]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탄소 포집·활용·저장 (CCUS) * 출처 : KOTRA,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국제에너지기구, 탄소배출 제로 가능케 할 유일한 기술로 명명 - 2050년까지 현재의 100배 달하는 탄소 포집, 저장 역량 필요 지구 온난화 현상을 해소할 ‘게임 체인저*’로 불리는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의 개요와 현황 및 전망에 대해 알아본다. * 게임 체인저(Game Changer): 시장의 흐름을 통째로 바꾸거나 판도를 뒤집어 놓을 만한 결정적 역할을 하는 사람, 사건, 서비스, 제품 등을 가리키는 용어 탄소 포집·활용·저장 (CCUS,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이산화탄소 포집, 활용, 저장(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CC.. 2021. 9. 8.
[CCUS] K-CCUS 추진단 발족 2050년 탄소중립 핵심기술인 CCUS*(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개발과 상용 확산에 힘을 모으기 위해 ) 민관합동「K-CCUS 추진단」이 발족되었다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전세계적으로 탄소중립 논의가 확산*되면서, 배출 불가피한 이산화탄소 처리를 위한 CCUS의 중요성 확대되고 있다. 민관합동 K-CCUS 추진단은 협력의 구심점이자 CCUS 확산의 컨트롤 타워로서 CCUS 新산업화를 위한 민관의 노력을 주도해 나갈 계획이다. K-CCUS 추진단 구성 (참여기관) 에너지 공기업, 발전사, 다배출 기업, 학계·연구계 등 ‘21.4월 현재 80여개 기관회원 및 100여명의 개인회원이 추진단 참여 ① 기업(50개) : (에너지) 석유공사·가스공.. 2021. 4.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