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산업통상자원부는 “탄소중립 시대의 에너지전환과 변화 그리고 혁신”이라는 주제로 11.22(월)부터 23(화)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2021 대한민국 에너지전환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금번 컨퍼런스에서는 미국, 영국, 독일, 캐나다, 호주 등 주요국의 에너지 정책, 시장‧투자‧고용에 대한 리뷰와 함께 재생에너지, 수소, 석유, 가스 분야의 혁신방안에 대한 심층논의가 진행된다.
< 행 사 개 요 > | |||
▸(일시/장소) | 2021. 11. 22(월)~23(화) /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 (1층) | ||
▸(주최/주관) | 산업통상자원부 / 에너지경제연구원 * 2018년에 이어 두 번째 개최 | ||
▸( 주 제 ) | 탄소중립 2050 에너지전환, 변화와 혁신 | ||
▸( 진행방식 ) | 현장 참여 국내 연사와 온라인 참여 국내외 연사의 실시간 회의 | ||
* 환영사와 기조연설은 녹화영상으로 송출 * 행사 홈페이지 (http://energydialogue.kr/2021)와 유튜브 산업부 채널 (https://www.youtube.com/c/대한민국산업통상자원부)에서 생중계 |
컨퍼런스 일정 및 세부 프로그램 현황
□ 전체 일정
11.22(월) | 11.23(화) | ||
13:00∼14:30 | ▸개 회 환영사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영상) |
13:00∼15:00 | ▸특별세션 사람중심의 탄소중립 전략 : 고용, 평등, 공정 |
▸기조연설(영상) 에너지전환 비전과 도전 탄소중립 2050 : 변화와 혁신 |
|||
14:40∼16:30 | ▸세션 I 탄소중립 2050 추진전략 |
15:10∼16:30 | ▸세션 III 청정에너지 기술혁신 : 투자와 협력 |
16:40∼18:00 | ▸세션 II 탄소중립 달성의 핵심적 역할로서의 수소 |
16:40∼18:00 | ▸세션 IV 탄소중립 시대, 석유·가스의 미래와 대응전략 |
□ 분야별 세션 프로그램
< 5대 분야별 세션 주제 > |
① 탄소중립 2050 추진전략, ② 탄소중립의 핵심적 역할로서의 수소 ③ 청정에너지 기술혁신, ④ 탄소중립 시대, 석유·가스의 대응전략 ⑤ 사람중심의 탄소중립 전략 : 고용, 평등, 공정 |
(ENG) Korea Energy Transition Conference 2021 Day 1
11.22 (월) |
세션 1, 탄소중립 2050 추진전략 (14:40∼16:30) | |
발표 60` |
편광현 현대자동차 상무 |
현대자동차 탄소중립 전략 |
조 나이 (Joe Nai) 쉘 해상풍력 사장 |
쉘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전략 | |
박현 포스코 전무 |
포스코 2050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여정 | |
마티아스 바우센바인 (Matthias Bausenwein) 오스테드 아·태 지역 총괄 대표 |
한국의 그린 전환을 가속화 하는 방법 | |
토론 50` |
김희집(좌장, 서울대학교 교수) 편광현, 조 나이, 박현, 마티아스 바우센바인 등 |
|
세션 2, 탄소중립 달성의 핵심적 역할로서의 수소 (16:40∼18:00) | ||
발표 60` |
피오나 시몬 (Fiona Simon) 호주 수소협의회 CEO |
호주의 수소에너지 전환 기회 활용 |
욘 안드레 뢰케 (Jon Andre Lokke) 하이드로젠 유럽 회장 |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수소의 역할 | |
셀리아 그레아베스 (Celia Greaves) 영국 수소 연료전지협회 CEO |
영국의 수소 개발 현황과 전망 | |
제프 그란트 (Jeff Grant) 하이드로젠 브리티시 컬럼비아 부의장 |
탄소중립 에너지 분야의 필수 요소인 수소 - 캐나다 관점 |
|
토론 20` |
문재도(좌장, 수소융합얼라이언스 회장) 피오나 시몬, 욘 안드레 뢰케, 셀리아 그레아베스, 제프 그란트 |
(ENG) Korea Energy Transition Conference 2021 Day 2
11.23 (화) |
특별세션, 사람중심의 탄소중립 전략 : 고용, 평등, 공정 (13:00∼15:00) | ||
기조 연설 20` |
안젤라 윌킨슨 (Angela Wilkinson) 세계에너지협의회 WEC 사무총장 |
에너지전환 실행의 간극 좁히기 | |
안드레아스 쿨만 (Andreas Kuhlmann) 독일 에너지공단 CEO |
에너지전환을 위한 독일의 혁신전략 | ||
발표 60` |
나오미 히로세 (Naomi Hirose) 일본에너지협회 의장 |
에너지 수급 측면에서 살펴본 탄소중립 달성 방안 |
|
순 시앤셩 (Sun Xiansheng) 국제 에너지전환 연구위원회 의장 |
에너지전환 및 기후변화를 위한 5개 핵심 요소 |
||
지미 쿠 (Jimmy Khoo) 싱가포르 파워그리드 CEO |
탄소중립 추진을 위한 핵심과제 | ||
김호빈 한국중부발전(주) 사장 |
정의롭고 공정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부발전의 전략 | ||
토론 40` |
이재승(좌장,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원장) 나오미 히로세, 순 시앤셩, 지미 쿠, 김호빈 |
||
세션 3, 청정에너지 기술혁신 : 투자와 협력 (15:10∼16:30) | |||
발표 60` |
앨런 핀켈 (Allan Finkel) 호주 정부 저배출기술 특별자문관 |
20년의 성공: 우주개발 경쟁 및 청정기술 경쟁 |
|
돌프 길렌 (Dolf Gielen) 국제신재생에너지기구(IRENA) 센터장 |
재생에너지를 통한 온실가스 제로 배출 | ||
비노드 필립 (Vinod Philip) 지멘스에너지 CSO&CTO |
지속 가능한 에너지 미래로의 전환 | ||
이성준 SK이노베이션 환경과학기술원 원장 |
탄소중립을 위한 국내 산업계 대응 방향(SK 사업/기술 중심으로) | ||
손정락 산업통상자원 에너지산업 MD |
한국의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청정에너지 기술혁신 |
||
토론 20` |
제니 도드슨(좌장, Jennie Dodson, Mission Innovation 사무국장) 앨런 핀켈, 돌프 길렌, 비노드 필립, 이성준, 손정락 |
||
세션 4, 탄소중립 시대, 석유·가스의 미래와 대응 전략 (16:40∼18:00) | |||
발표 60` |
앵거스 로저 (Angus Rodger) 우드 맥킨지 총괄 애널리스트 |
CCS(탄소 포집·저장) 목표가 현실에 매칭되는가? |
|
앤드류 배리 (Andrew Barry) 엑슨 모빌 부사장 |
에너지 전환에서의 LNG 역할 | ||
타츠야 테라자와 (Tatsuya Terazawa) 일본 에너지경제연구소(IEEJ) 의장 |
화석연료의 지속 가능한 미래 | ||
토론 20` |
허은녕(좌장, 서울대학교 교수) 앵거스 로저, 앤드류 배리, 타츠야 테라자와, 박순기(해외자원개발협회 부회장) |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