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1 국민공감공개토론회 및 환경기술 합동성과발표회, 11월 26일부터 12월 17일까지 온라인 위주로 개최
◇ 학생들의 2050 미래일기, 환경기술 공감 토크콘서트, 메타버스를 활용한 합동성과발표회 등 진행
□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우수한 환경기술을 널리 알리고, 환경기술의 발전과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11월 26일부터 12월 17일까지 ‘2021 국민공감공개토론회(포럼) 및 환경기술(환경연구개발·신기술) 합동성과발표회’를 개최한다.
□ 개 요
ㅇ (목적) 환경문제에 대해 일반국민, 정부·학계·산업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소통 및 환경기술의 수요자 맞춤형 기술정보 제공으로 환경기술보급 확대 촉진
ㅇ (행사명) 국민공감포럼 및 환경기술(R&D·신기술) 합동성과발표회
ㅇ (일시/장소) ’21. 11. 26.(금), 14:00~16:00, 한국환경산업기술원
※ 온라인 상시운영: 11. 29.(월) ∼ 12. 17.(금) (www.ecoforum.or.kr)
ㅇ (주 제) ‘2050 탄소중립! 미래를 여는 환경기술’
ㅇ (주 최)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ㅇ (참석자) 환경기술보유자(대학, 출연연, 기업 등), 기술수요자(지자체, 공공기관, 기업 등), 일반 국민 등
ㅇ (진행방식) 개회식(오프라인 및 라이브 송출), 발표회 및 전시회(온라인)
ㅇ (주요 행사내용)
- (개회식·국민공감포럼) 개회사, 축사, 포상, 2050 미래비전 행사, 환경기술 주제발표, 정책소통, 공감콘서트
- (온라인 발표회) 환경기술 발표 30건
- (온라인 전시회) 포스터전시 71건, 기술동영상전시
- (온라인 현장탐방) 환경기술 현장탐방 3건
- (수요자-인증보유기업 상담) 기술수요자*와 인증기업을 매칭
* 신기술활용실적건수가 많은 발주처 등을 사전에 접촉하여 발주정보 자료 등 확인
□ 세부 일정
일시 | 11.26(금) 기술원 대강당 |
11.29(월) | 11.30(화) | 12.1(수) | 12.2(목) | 12.3(금) | 12.6~17 |
내용 | 개회식 및 유공자 포상 |
환경기술 발표회 | 환경 기술 현장 탐방 |
||||
기후대기 (4건) 10:00 |
물관리 (5건) 10:00 |
토양·자원 순환(6건) 10:00 |
자연생태· 환경보건 (5건) 10:00 |
신기술· 녹색 (10건) 10:00 |
|||
2050 미래 비전 행사 |
2050 환경기술 미래비전관 | ||||||
국민공감포럼 공감콘서트 |
환경기술 전시회(포스터·동영상 전시) | ||||||
기술연구자-수요자 매칭 상담 | |||||||
운영 방법 |
온·오프라인 (유튜브) |
온라인(메타버스) 상시운영 |
○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현장 행사를 최소화하고 확장 가상 세계(메타버스)*를 활용하는 등 온라인 위주로 마련됐다.
* ‘가공·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특정 유형의 경험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
○ 먼저 환경기술 발표회, 미래비전(미래일기) 전시관 등 다양한 행사가 전용 누리집(www.ecoforum.or.kr)과 확장 가상 세계 커뮤니티 플랫폼인 인게이지(ENGAGE)*를 통해 참여할 수 있다.
* 메타버스를 추구하는 커뮤니티 플랫폼(프로그램)으로 ‘인게이지’ 또는 ‘ENGAGE’로 검색 후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에 설치한 뒤 회원가입 후 이용
□ 현장 행사는 11월 26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대강당(서울 은평구 소재)에서 1·2부로 나누어 진행되며, 환경부 및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유튜브*로 실시간 생중계된다.
* 유튜브(www.youtube.com)에서 ‘환경부’ 또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으로 검색 후 시청
○ 1부에서는 ‘환경연구개발(R&D)과 신기술 개발’에 힘쓴 유공자 포상과 함께, 미래세대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2050 미래일기 공모전’ 수상자에 대한 시상식이 열리고, 미래일기 최우수 수상작 발표회가 진행된다.
- 아울러 사회, 기술, 경제, 환경, 정책 등 거대한 시대적 흐름을 바탕으로 2050년 우리나라 미래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 환경 미래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지도(로드맵)를 그리는 ‘2050 환경기술 미래비전’ 수립 경과도 소개된다.
○ 2부에서는 ‘2050 탄소중립! 미래를 여는 환경기술’을 주제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탄소중립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환경기술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함께 이야기하는 ‘환경기술 공감 이야기공연(토크콘서트)’이 열린다.
- 이 행사에서는 미래세대인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여 2050 탄소중립과 관련된 정책, 사업 등에 대해 기성세대(연구계, 산업계, 정부 관계자 등)와 소통할 예정이다.
□ 환경기술 발표회, 전시회, 현장탐방 등은 11월 29일부터 12월 17일까지 확장 가상 세계 커뮤니티 프로그램인 인게이지(ENGAGE)에서 실시간으로 관람할 수 있다.
○ ‘환경기술 발표회’와 ‘환경기술 전시회’에서는 '2021년 환경연구개발 우수성과 20선'을 포함한 우수한 환경기술 30건의 성과를 발표하며, 기후대기, 물관리 등 6개 분과 71건의 환경기술을 선보인다.
- △식물의 엽록소 구조를 모방하여 실내공기 오염을 저감하는 반영구적 필터개발(숙명여자대학교)을 비롯하여 △자연생태(헤모글로빈 구조)를 모방한 물 속의 미량 유해 화합물의 흡착·제거·분해기술(울산과학기술원), △폐비닐류를 열분해하여 저염소 청정재생유를 생산하는 기술(㈜에코크레이션) 등이 눈에 띈다.
○ 또한, 환경연구개발을 통하여 개발된 기술을 신기술이나 녹색인증을 받고 사업화에 성공한 기업 현장을 방문하여 기술을 소개하는 ‘온라인 환경기술 현장탐방’ 영상도 공개된다.
○ ‘2050 환경기술 미래비전관’에서는 ‘2050 미래일기’ 최우수 수상작을 포함한 14건의 그림일기와 수필을 아이들의 목소리와 함께 감상할 수 있다.
환경기술발표회 발표기술
▶ 환경기술발표회 개요
○ 시간 : 2021. 11. 29.(월) ~ 12. 17(금), 상시 운영
○ 장소 : 행사 누리집(www.ecoforum.or.kr) 및 메타버스(ENGAGE)
▶ 발표기술 세부내용
분과 | 기술명 | 연구 기관명 |
연구 책임자 |
사업명 |
1분과 (기후대기) |
공기정화 식물의 구조 및 광합성 대사 시스템을 모방한 실내공기오염 저감 장치 개발 |
숙명 여자대학교 |
김우열 | 생태모방기반 환경 오염관리기술개발 |
EURO 5 대응 125cc 이륜차용 연료분사 및 후처리시스템 개발 |
디앤에이 모터스 |
이상문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
Low GWP blowing agent를 적용한 고품질 XPS 생산기술개발 |
지피에스 코리아㈜ |
김종열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
가축분뇨 유래 메탄 억제 기술 개발 | 인하 대학교 |
김동훈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
2분과 (물관리) |
환경오염 처리를 위한 자연생태 모방 혁신형 다공성 물질 |
울산 과학기술원 |
최원영 |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개발 |
생물독성 오염물질 제어를 위한 불균일계 촉매산화시스템 개발 |
㈜테크로스 | 김대원 | 환경산업선진화 기술개발 |
|
하·폐수 처리용 고효율의 고집적 침지식 중공사막 개발 |
㈜에코니티 | 박민수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
IoT 기반 통합하수처리시설 최적에너지관리 스마트 솔루션 개발 및 실증 |
주식회사 유앤유 |
유광태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
저온플라즈마와 미세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마을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이용시스템 개발 실증화 |
㈜그룬 | 이인호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
3분과 (토양자원 순환) |
저염소 청정재생유 생산을 위한 촉매 및 품질개선 기술 기반 실증플랜트 건설 |
㈜에코 크레이션 |
김형천 | 생활폐기물 재활용 기술개발 |
폐디스플레이 해체/선별 자동화 장치 및 LCD/LED 폐유리 무해화/재활용 상용시스템 개발 |
고등기술 연구원 |
이찬기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
PU계 미활용 폐자원의 화학원료화 상용시스템 및 순환활용 기술실증 |
정우화인㈜ | 이대수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
Li계 폐부품 해체시스템 및 유용자원회수 상용기술 개발 |
한국지질 자원연구원 |
김홍인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
유기성 슬러지 처리를 위한 Biodrying 기술 적용 및 건조 슬러지 고체연료화 기술개발 |
㈜진에너텍 | 김경현 | 폐자원에너지화 기술개발 |
|
듀얼팩커와 라디칼유도제를 이용한 고도지중산화기술(AISCO) 개발 |
㈜에스 지알테크 |
김수홍 | 지중환경 오염위해 관리기술개발 |
|
4분과 (자연생태 환경 보건) |
생물학적 분석기법 기반 미확인(Unknown) 및 혼합 미량오염물질 측정 및 분석 기술 개발 |
피씨엘(주) | 김소연 | 상하수도 혁신기술개발 |
살생물제의 노출경로 및 누적사용에 따른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
고려 대학교 |
권정환 | 안심살생물제 관리기반 기술개발 |
|
재난 발생 시 안정적 Lifeline 확보를 위한 상·하수 관망/관로의 설계기술 |
㈜삼안 | 변역근 | 환경시설재난재해 대응기술개발 |
|
훼손 유형별 생태복원사업 모델 개발 및 평가 체계 구축 사후관리 기술개발 |
고려 대학교 |
전성우 |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개발 |
|
환경시설 재난 및 사고대응 전문가시스템 개발 | 한국산업 기술시험원 |
박찬규 | 환경시설재난재해 대응기술개발 |
|
5분과 (신기술) |
에어리프트 방식을 이용한 암모늄산화 미생물 그래뉼 형성 부분아질산화조와 아나목스조를 결합한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 혐기소화 탈리액의 질소 제거 기술 |
㈜부강테크 | 오태석 | 신기술 |
PE 필름과 핫멜트를 활용한 비굴착 상수도관 갱생공법(PH:PE Film and Hot melt using Rehabilitation Method of Water Pipe) |
덕산건설 | 박광규 | 신기술 | |
주관주입(Main Stream Diffuser)을 이용한 오존 정수처리공법 |
파오 | 양명환 | 신기술 | |
PE코팅 PP형 혼섬여재와 다단구조의 역세척 방법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처리기술 |
에코스타 | 권은미 | 신기술 | |
시공정보장치(온도, 압력)를 구비한 튜브연속토출장치와 멀티노즐을 이용한 스팀분사식 하수도관 비굴착 보수공법 |
㈜명보 이엔지 |
강판승 | 신기술 | |
6분과 (녹색기술) |
알루미늄 스크랩을 활용한 온돌용 열전도판 제조기술 |
㈜스피폭스 | 김효진 | 녹색 |
공기조화용 폐기물저감 리필형 복합필터 제조기술 |
대영공조 휠터 |
류경환 | 녹색 | |
관 파쇄기술을 적용한 노후 매설관로 비굴착 교체기술 |
㈜특수건설 | 박설희 | 녹색 | |
직접배수방식 절수양변기 제조기술 | 글로벌 코리아 |
배기태 | 녹색 | |
하, 폐수 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용존오존부상 공법 |
미시간기술 | 박소연 | 녹색 |
환경기술전시회 참여기술 목록
▶ 환경기술전시회 개요
○ 시간 : 2021. 11. 29.(월) ~ 12. 17(금), 상시 운영
○ 장소 : 행사 누리집(www.ecoforum.or.kr) 및 메타버스(ENGAGE)
▶ 참여기술 세부내용
구분 | 기술명 | 연구기관명 | 연구 책임자 |
사업 | 비고 |
1분과 (기후 대기) |
공기정화 식물의 구조 및 광합성 대사 시스템을 모방한 실내공기오염 저감 장치 개발 |
숙명 여자대학교 |
김우열 | 생태모방기반 환경오염관리 기술개발 |
20선 최우수 |
EURO 5 대응 125cc 이륜차용 연료분사 및 후처리 시스템 개발 |
디앤에이 모터스 |
이상문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20선 | |
Low GWP blowing agent를 적용한 고품질 XPS 생산기술개발 |
지피에스 코리아㈜ |
김종열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20선 | |
가축분뇨 유래 메탄 억제 기술 개발 | 인하 대학교 |
김동훈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20선 | |
대기 중 유해물질 연속자동측정장치 실증화 개발 |
㈜켄텍 | 황병한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
고농도 황계열 악취제어를 위한 환경기초시설 내 습식·반건식시스템 개발 및 적용 |
㈜이앤켐 솔루션 |
김신동 | 환경산업선진화 기술개발 |
||
능동온도제어시스템을 적용한 비상발전기 PM/NOx 동시저감을 위한 DPF/SCR 장치 개발 및 실증 연구 |
㈜스마트 파워 |
김용태 | 미세먼지 사각지대해소 및 관리 실증화 기술개발 | ||
미세먼지 저감 비도로 다목적 운반차(UTV)용 핵심부품 및 후처리시스템 개발 |
블루플래닛 | 한명훈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
미세먼지 저감 45kW급 비도로 LPG 차량용 연료분사 및 후처리시스템 개발 |
엔진 테크윈 |
나평철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
운행 건설기계차량용 PM/NOx 저감장치(SDPF) 개발 |
에코닉스 | 정홍석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
전통시장 오염원 (PM 2.5/VOCs/NH3) 저감을 위한 융복합형 저감시스템 개발 및 실증화 |
한경 대학교 |
정명규 | 미세먼지 사각지대해소 및 관리 실증화 기술개발 | ||
소규모 도장공장용 가변농축 저온촉매 연소기술을 이용한 저비용고효율 VOCs 저감장치 |
창성 엔지니어링㈜ |
윤대식 | 미세먼지 사각지대해소 및 관리 실증화 기술개발 | ||
버스 정류장 공간분리형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개발 |
한국철도 기술연구원 |
박덕신 | 환경산업선진화 기술개발 |
||
2분과 (물 관리) |
환경오염 처리를 위한 자연생태 모방 혁신형 다공성 물질 |
울산 과학기술원 |
최원영 |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개발 |
20선 최우수 |
저온플라즈마와 미세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마을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이용시스템 실증화 |
㈜그룬 | 이인호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20선 | |
생물독성 오염물질 제어를 위한 불균일계 촉매산화시스템 개발 |
㈜테크로스 | 김대원 | 환경산업선진화 기술개발 |
20선 | |
하·폐수 처리용 고효율의 고집적 침지식 중공사막 개발 |
㈜에코니티 | 박민수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20선 | |
IoT 기반 통합하수처리시설 최적에너지관리 스마트 솔루션 개발 및 실증 |
㈜유앤유 | 유광태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20선 | |
E-H2O2 및 화학동역학 모델 기반 미량오염물질 대응 고도산화 하수처리공정 개발 |
㈜테크로스 | 김대원 | 상하수도 혁신기술개발 |
||
고탄성력 및 UV를 활용한 상수관로 보강 장거리, 저에너지형 갱생기술 개발 |
㈜특수건설 | 박상봉 | 상하수도 혁신기술개발 |
||
가상물리시스템 기반 지능형 도시수자원 통합 관리기술개발 |
한국토지 주택공사 |
이정민 | 지능형도시 수자원 관리 |
||
사물인터넷/감성컴퓨팅 활용 상수도 웰니스 구현기술 개발 |
국제도시물 정보과학 연구원 (한국건설 기술연구원) |
황태문 | 상하수도혁 신기술개발 |
||
수재해 피해 저감을 위한 전파강수계 및 측정 시스템 개발 |
한국건설 기술연구원 |
김원 | 물관리연구 | ||
3분과 (토양· 자원 순환) 3분과 (토양· 자원 순환) |
저염소 청정재생유 생산을 위한 촉매 및 품질개선 기술 기반 실증플랜트 건설 |
㈜에코 크레이션 |
곽권호 | 생활폐기물 재활용 기술개발 |
20선 최우수 |
폐디스플레이 해체/선별 자동화 장치 및 LCD/LED 폐유리 무해화/재활용 상용시스템 개발 |
고등기술 연구원 |
이찬기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20선 | |
PU계 미활용 폐자원의 화학원료화 상용시스템 및 순환활용 기술실증 |
정우화인㈜ | 이대수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20선 | |
Li계 폐부품 해체시스템 및 유용자원회수 상용기술 개발 |
한국지질 자원 연구원 |
김홍인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20선 | |
유기성 슬러지 처리를 위한 Biodrying 기술 적용 및 건조 슬러지 고체연료화 기술개발 |
㈜진에너텍 | 홍동욱 | 폐자원에너지화 기술개발 |
20선 | |
듀얼팩커와 라디칼 유도제를 이용한 고도지중산화기술(AISCO) 개발 |
㈜에스지알 테크 |
김수홍 | 지중환경오염 위해관리 기술개발 |
20선 | |
재활용과 순환이용성이 용이한 비중 1g/㎤ 미만 소재 펌프캡(Pump-Cap)과 혁신 패키징 상용화 기술개발 |
㈜삼화 | 강호상 | 재활용저해제품 순환이용성 개선기술 |
||
PE계 폐비닐 등을 이용한 재생원료 상용화 기술개발 |
㈜동명 | 배성규 | 생활폐기물 재활용 기술개발사업 | ||
폐플라스틱 물질 재활용을 위한 인공지능결합 고속 자동화 선별공정 개발 |
㈜알엠 | 송한철 | 폐비닐·폐플라스틱 분리·선별 | ||
음폐수를 포함한 이성질폐수의 병합처리 최적 기술 개발 |
㈜케이드 | 최홍복 |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개발 |
||
탈질 폐촉매로부터 유용자원회수 상용시스템 및 수출패키지 개발 |
한국지질 자원연구원 |
이진영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
동·식물유 폐자원의 화학원료화 상용 시스템 및 용도 다변화 기술실증 |
㈜이맥 솔루션 |
임대재 |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 |
||
지중환경 특성을 활용한 원위치 반응성 물질 생성 및 재생 기술 개발 |
전북 대학교 |
백기태 | 지중환경오염 위해관리 기술개발 |
||
분리막 혐기성 독립영양 생물막 시스템을 이용한 지하수 내 복합 무기오염물 정화기술 개발 |
고려 대학교 |
박희등 | 지중환경오염 위해관리 기술개발 |
||
4분과 (자연생태· 환경 보건) |
생물학적 분석기법 기반 미확인(Unknown) 및 혼합 미량오염물질 측정 및 분석 기술 개발 |
피씨엘 주식회사 |
김소연 | 상하수도 혁신기술개발 |
20선 최우수 |
살생물제의 노출경로 및 누적사용에 따른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
고려 대학교 |
권정환 | 안심 살생물제 관리기반 기술개발 | 20선 | |
재난 발생 시 안정적 Lifeline 확보를 위한 상·하수 관망/관로의 설계기술 |
㈜삼안 | 변역근 | 환경시설 재난재해대응 기술개발 | 20선 | |
훼손 유형별 생태복원사업 모델 개발 및 평가 체계 구축 사후관리 기술개발 |
고려 대학교 |
전성우 | 환경정책기반 공공기술개발 |
20선 | |
환경시설 재난 및 사고대응 전문가 시스템 개발 |
한국산업 기술시험원 |
박찬규 | 환경시설 재난재해 대응기술개발 |
20선 | |
환경유해인자 노출에 의한 환경성질환 영향 규명을 위한 인체유래물 분석 고도화 기술 개발 |
한양 대학교 |
황승용 | 생활공감 환경보건 기술개발사업 |
||
실내·외 환경유해인자 노출평가 고도화 및 환경보건 감시체계 시스템 기술개발 |
대구가톨릭 대학교 |
양원호 | 생활공감 환경보건 기술개발 |
||
흡입 경로 및 거동(축적, 분포, 배출 등) 에 따른 노출평가 기술 개발 |
㈜바이탈스 | 전기수 | 미세플라스틱 측정 및 위해성 평가 기술개발 |
||
영유아 등 취약계층 노출 최소화를 위한 CHDM/Acryl Oligomer 기반 프탈레이트 프리 무독성/친환경 가소제 개발 |
(주)휴 이노베이션 |
이동권 | 생활공감환경 보건기술개발 |
||
수용체 중심의 노출-건강정보 플랫폼 기반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시스템 개발 |
을지대학교 | 서성철 | 생활공감환경 보건기술개발 |
||
행동생태를 이용한 외래양서파충류 개체군 감소 기술 개발(2단계) |
이화 여자대학교 |
장이권 | 생물 다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 |
||
해파리 환경스트레스 저항물질을 이용한 나노, 미세플라스틱 포집 실용화소재 개발 및 안전성 평가 |
싸이스트(주) | 여민경 | 생태모방 기반 환경오염관리 기술개발 |
||
중금속 오염환경에서 미세조류 및 미생물의 군집형태를 모사한 수질정화 시스템 개발 |
전북 대학교 |
김대근 | 생태모방기반 환경오염관리 기술개발 |
||
외래포유류 확산.변화 예측 및 위해성평가 기술 개발 |
국립생태원 | 송해룡 | 생물디양성 위협 외래생물 관리 기술개발 |
||
5분과 (신기술) |
기능성 담체와 하이드로사이클론을 병합한 소규모 생물학적 하수고도처리 기술 |
로스웰워터 | 김지혜 | 신기술인증 | |
제어 및 자가교정이 원격으로 가능한 UV 기반 in-Situ type의 SO₂, Nox 측정 기술 |
동우옵트론㈜ | 배성희 | 신기술인증 | ||
고농도 NaCl을 이용한 저압 막여과 공정 유지세정 기술 |
우호건설 | 장태범 | 신기술인증 | ||
주관주입(Main Stream Diffuser)을 이용한 오존 정수처리공법 |
파오 | 양명환 | 신기술인증 | ||
상하교반 장치와 생물탈황설비가 결합된 수평형 혐기소화조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바이오가스화 기술 |
금호건설 | 지상현 | 신기술인증 | ||
시공정보장치(온도, 압력)를 구비한 튜브연속토출장치와 멀티노즐을 이용한 스팀분사식 하수도관 비굴착 보수공법 |
㈜명보이엔지 | 강판승 | 신기술인증 | ||
배수지 수압과 수위를 이용한 상수관망 관리 지원기술 |
㈜그린텍 아이엔씨 |
선상운 | 신기술인증 | ||
하/폐수 슬러지(함수율 80% 내외)를 수열탄화 반응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210Mcal/톤(원료) 이하) 고형연료 생산 기술 |
고등기술 연구원 |
한성국 | 신기술인증 | ||
폐비닐 열분해유의 인화점 조절을 위한 Cracking 촉매 반응기 이용 왁스성 물질 제어기술 |
㈜에코 크레이션 |
전민탁 | 신기술인증 | ||
타공박막 공명효과를 이용한 블록형 흡음판의 소음저감기술 |
태창닛케이 | 정재훈 | 신기술인증 | ||
6분과 (녹색기술) |
알루미늄 스크랩을 활용한 온돌용 열전도판 제조기술 |
㈜스피폭스 | 김효진 | 녹색기술인증 | |
공기조화용 폐기물저감 리필형 복합필터 제조기술 |
대영공조휠터 | 류경환 | 녹색기술인증 | ||
직접배수방식 절수양변기 제조기술 | 글로벌코리아 | 배기태 | 녹색기술인증 | ||
하, 폐수 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용존오존부상 공법 |
미시간기술 | 박소연 | 녹색기술인증 | ||
중성화 및 염해방지 기능이 향상된 중방식코팅제 제조기술 |
㈜새론테크 | 이동원 | 녹색기술인증 | ||
내구성이 향상된 이탈방지 PVC관 제조 기술 |
㈜뉴보텍 | 황병석 | 녹색기술인증 | ||
컴퓨터의 대기 전력 및 소비 전력 저감을 위한 소프트웨어 방식의 절전 기술 |
㈜에이텍 | 김준현 | 녹색기술인증 | ||
금속마감커버 일체형 착탈식 단열재 제조기술 |
㈜동인 엔지니어링 |
정성진 | 녹색기술인증 | ||
아임계 열수기술을 이용한 혼합 폐플라스틱 종말품(선별잔재물)의 자원화 처리기술 |
㈜그린환경 | 이민철 | 녹색기술인증 | ||
염가공 공정 에너지 절감형 기능성 편성물 생산기술 |
㈜엘에스케이 화인텍스 |
김기현 | 녹색기술인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