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올해 무디스와 한국신용평가가 공동 주최하는 한국 신용전망 컨퍼런스는 버츄얼 이벤트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각각 60분간의 4개 세션으로 진행되는 금번 컨퍼런스에서는 무디스와 한국신용평가의 애널리스트들이 포스트 팬데믹 시대 글로벌 및 역내 신용시장 동향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합니다.
한국의 주요 업종별 신용전망 및 지속가능금융 시장의 새로운 동향에 대한 미래 전망을 논의하는 자리에 함께 하시기 바랍니다.
Day1 : 거시경제 전망 및 정부/금융기관 신용전망 |
2022년 12월 6일(화) 15:00~17:05 |
● 정부 신용전망 및 거시경제 전망 - 포스트 팬데믹 시대, 새로운 충격에 대한 대응 1. 경기 사이클 전환: 고인플레이션, 고금리, 저성장 (Moody's) 2. 한국 정부 신용전망: ‘안정적’ 전망은 장기적인 신용도의 지지 요인과 단기적 리스크를 반영 (Moody's) |
● 금융기관 신용전망 - 금리 상승 및 자산건전성 약화의 역풍 1. 한국 금융기관의 자금조달 및 자산 리스크 확대 (Moody's) 2. 비은행 금융업종 유동성 및 자산건전성 대응능력 점검 - 증권, 캐피탈, 저축은행 (한신평) |
Day2 : 비금융 기업 및 ESG 트렌드 |
2022년 12월 8일(목) 15:00~17:05 |
● 비금융 기업 신용전망 - 수요부진, 타이트한 자금조달 여건 하에 점증하는 도전요인 1. 사업환경 악화 속, 국내기업 신용전망 (한신평) 2. 2023년 아시아 지역 및 한국의 비금융기업과 인프라 부문 신용전망 (Moody's) |
● 지속가능금융 시장의 최근 동향 1. 아시아의 전환금융: 지속가능채권 시장의 역할 (Moody's) 2. 급변하는 한국 지속가능금융시장에서 지속가능연계채권의 중요성 증대 (한신평) |
* Episode별로 주제발표 후 패널토의 및 Q&A 세션이 진행됩니다.
* 문의 : 한국신용평가 IS실 최 영 실장(TEL: 787-2231), 김민정 차장(TEL: 787-2365)
* 접속 웹주소 및 발표자료는 참가신청자에게 개별 이메일을 통해 안내됩니다.
반응형
▶ 참가신청
* Moody's 정책상 회사 이메일로만 신청가능함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2022년 무디스 & 한국신용평가 공동주최 한국 신용전망 버츄얼 컨퍼런스
live.moodys.io
728x90
반응형
B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