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3

[GHG] 202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확정)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서흥원)는 ‘국가 온실가스 통계관리위원회(위원장 환경부 차관)’ 심의를 통해 202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년보다 6.4% 감소한 6억 5,622만 톤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 이번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전년 대비 배출량이 가장 크게 감소한 부문은 발전·열생산으로 3,068만 톤(12.3%)이 줄었으며, 도로수송(421만톤, 4.3%), 기타제조업(비금속 등) (338만톤, 8.6%) 등이 뒤를 이었다. ○ 반면, 에너지 분야 화학산업에서 전년 대비 53만 톤(1.1%), 농림어업 에너지 소비에서 44만 톤(11.1%) 등 일부 부문에서는 배출량이 증가했다. .. 2022. 10. 26.
[GHGs] 2019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확정)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국가 온실가스 통계관리위원회(위원장 환경부 차관)’ 심의를 통해 2019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년보다 3.5% 감소한 7억 137만톤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 전년 대비 배출량 감소에 가장 크게 기여한 부문은 발전·열생산으로 1,961만톤(7.3%)이 감소했으며, 오존층파괴물질(ODS, Ozone Depletion Substances) 대체물질 사용부문(250만톤, 28.3%), 가정(219만톤, 6.5%) 등이 뒤를 이었다. ○ 한편, 도로수송은 전년보다 275만톤 증가(2.9%)하였으며, 비금속(113만톤, 10.2%) 등에서도 배출량이 증가하였다. □ 에너지 분야의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87.2%에 해당하는 6억 1,.. 2021. 12. 31.
[GHGs] 2019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잠정)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정부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지침(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uidelines, 이하 ‘IPCC GL’)의 분류에 따라 에너지∙산업공정∙농업∙토지이용, 토지이용 변화 및 임업(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이하 ‘LULUCF’)∙폐기물 분야로 구분하여 1990년부터 산정이 가능한 가장 최신연도까지의 온실가스(CO2, CH4, N2O, HFCs, PFCs, SF6)에 대한 배출∙흡수량을 보고하고 있다. ’19년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 (잠정) (단위 : 백만tCO2eq) 분 야 2018 2019 2018년 대비 배출량 비중 총배출량 727.6 702.8 100% -3.4% 에너지 632.. 2021. 3.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