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e] 환경부,「바이오·물 에너지 확대 로드맵」
환경부, 환경시설 활용한 바이오·물 에너지 2배 확대 청사진 발표 하수처리, 정수장 등 환경시설에서 에너지 자체 생산 □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하수처리시설, 정수장, 댐 등 환경시설에서 바이오가스, 수상태양광, 소수력발전 등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을 두 배 이상 확대한다는 내용을 담은 ‘바이오·물 에너지 확대 방안(로드맵)’을 6월 21일 발표했다. ○ 환경부는 2021년 기준으로 연간 3,264GWh에 이르는 환경시설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2026년까지 5,764GWh로 확대할 계획이다. ※ GWh(gigawatt hour): 전력량의 단위이며 와트(W)는 1초 동안 1줄(J)의 일을 하는 일률의 단위이고 여기에 1시간(3,600초)을 곱한 것으로 ‘기가와트시’라고 읽음 ○ 이는 4인 가구 기준으로 ..
2022. 6. 21.
[수소] 전북 부안,「수전해 수소생산 기지」건설
전라북도, 부안군,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산업통상자원부의 2022년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 구축」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전북 부안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 구축 사업」 전라북도, 부안군, 전북테크노파크, 테크로스 워터앤에너지 등과 컨소시엄으로 하루 1톤 이상의 수소 생산 및 저장·운송이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 사업개요 목 적 수전해 인프라 구축 지원을 통한 그린수소 생산기반 확충 위 치 전북 부안 신재생에너지단지 연구용지 사업기간 2022. 5 ~ 2024. 4.(2년) ※ 산업부 공모사업 사업비 108억 원 정도(국비 54, 전북도 10, 부안군 20, 민자 24) 사업내용 그린수소(수전해* 기반) 생산기지 구축(1톤/일, 2.5MW) * 수전해 설비(PEM, 고분자전해질 방식), 출하..
2022. 6. 3.
[RE100] ('22년 환경부 사업) 시화 생태기반 RE100 단지
시화 생태 기반 RE100 단지 조성 □ 사 례 국제사회는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미국, EU, 캐나다, 중국, 일본 등 세계 주요 국가가 잇따라 탄소중립을 선언*, 우리나라 또한 국제사회의 주요 일원으로서 2020년 10월에 ‘2050 탄소중립’을 선포 및 12월에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 * 탄소중립 목표연도는 미국(2050), EU(2050), 캐나다(2050), 중국(2060), 일본(2050) 등 약 26개국 에너지 부문에서는 석탄 발전 등 화석연료 중심의 전력 생산에서 →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국가 전력을 변경할 예정으로, 현재 해외 중심으로 많은 기업들이 RE100* 추진 중 * △ 해외 RE100, 319개 기업(구글, 페이스북, 나이키, ..
2021.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