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그린수소16

[수소] 한국-칠레 그린수소 협력 강화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은 4.24.(월), 칠레 디에고 파르도(Diego Pardow) 에너지부장관과 면담을 통해 양국 간 수소, 재생에너지 등 에너지 신산업 협력을 논의하고, 이후 한국-칠레 수소협력 세미나를 개최하여 미래의 핵심에너지인 수소에 대한 파트너십을 강화하였다. 칠레 에너지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안 본부장은 올해는 한국과 칠레가 FTA 체결에 서명한지 20주년이 되는 의미 있는 해로, FTA 체결 이후 무역, 투자, 에너지, 광물 등 다양한 분야로 양국간 협력이 확장되고 있다. 그간 협력성과를 기반으로 기후변화 대응, 공급망 협력 등 신통상 현안에 대해서도 양국이 긴밀히 공조해 나가자고 언급하며, 특히 그린수소 생산에 강점을 가진 칠레와 수소차 등 수소 활용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 2023. 4. 24.
[투자] PwC, 2021년 기후테크 현황 보고서 급성장하는 글로벌 기후테크 기후테크(Climate tech) 최근 세계 곳곳에서 극심한 폭염이나 대홍수 등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면서 탄소 배출 저감 등 기후 위기 대응이 중대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전 세계가 온실가스(GHG, Green House Gas) 감축을 위해 ‘탈(脫)탄소’를 선언한 가운데 기후 위기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기후테크 스타트업에 투자자들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기후테크(Climate tech)란, 온실가스 배출량 삭감이나 지구온난화 대책을 명확한 목적으로 하는 기술을 일컫는다. '기후테크'라는 단어는 온실가스 감축 대책에 적용되는 다양한 기술이나 이노베이션, 또 이들을 활용하는 각종 산업을 폭넓게 망라하기 위해 폭넓게 정의하고 있다. 글로벌 회계 컨설팅 펌 프라이스워.. 2022. 11. 2.
[수소] 제주, 12.5MW급 그린수소 생산 실증 착수 국내 최초 10MW급 이상 대규모 그린수소 실증사업 착수 산업통상자원부와 제주특별자치도는 '22.9.29일(목) 제주 CFI(Carbon Free Island) 미래관에서 국내 최초 10MW급 이상 대규모 그린수소 실증사업 착수 기념행사를 가졌다. 제주 CFI(Carbon Free Island) 미래관 제주시 구좌읍 해맞이 해안로 712-3 □ 사업기간 : ’22. 4. 1 ~ ’26. 3. 31(48개월) □ 총사업비 : 620억원 (국비 296억원, 민간 324억원) □ 주요내용 : 4가지 수전해 방식*을 통한 재생에너지 연계형 그린수소 실증 * 알카라인(ALK), 고분자 전해질막(PEM), 고체산화물(SOEC), 음이온 교환막(AEM) □ 참여기관 .. 2022. 9. 29.
[수소] 전남도, ‘그린수소 에너지 섬’ 사업 순항 전남도, 그린수소 등 에너지신산업 육성사업 순항 전남도는 지난 1월 수립한 ‘전남 수소산업 육성 종합계획’에 포함된 ‘그린수소 에너지섬 조성’ 타당성조사 연구용역 국비 2억 원을 확보해 그린수소 생산기지 조성을 위한 첫 번째 발판을 마련했다. 에너지 섬(전남 동·서부권)에서 생산된 그린수소를 여수산단에 공급 전남도는 수소경제 정책이 기후변화 대응과 청정에너지 사회 진입을 위한 필수 요소로 판단하고 수소산업 육성을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산업부 공모사업인 ‘수전해 시스템 신뢰성 제고를 위한 성능시험센터 구축’에 선정됐다. 2024년까지 국비 153억 원을 지원받아 그린수소 핵심기술인 수전해 시스템 생산에 나서게 된다. 수전해 성능시험센터를 기반으로.. 2022. 9. 20.
[수소] '23년 바이오가스 청정수소 생산시설 지원 [2023년 환경부 사업] (신규) 바이오가스 활용 청정수소 생산시설 설치 사업 (기후기금) □ 현황 음식물쓰레기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운영하는 A 지자체의 ㅇㅇㅇ 담당자는 매년 약 1만 N㎥씩 생산되는 바이오가스를 전기, 스팀 등으로 판매해 주민들과 이익을 공유하고 있다. 그는 수소경제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바이오가스 활용방안을 고민하던 중 바이오가스가 수소로 전환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 N㎥ : 온도 0도, 1기압 상태, 1입방미터의 기체량을 뜻하며 '노멀 입방미터'라고 읽음 바이오가스를 활용하여 생산한 수소는 탄소 발생이 없는 ‘그린수소’로서 EU에서도 그린수소로 인증받고 있으며, 미래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는 이러한 정보들을 기초로, 바이오가스를 정제하여 인근 수소충전소.. 2022. 9. 12.
[수소] 성남 정수장 ‘소수력발전 그린수소’ 실증 재생에너지인 소수력(小水力) 발전을 이용해 온실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상태에서 생산되는 그린수소*가 빠르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선보인다. *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물을 전기 분해하여 생산하는 친환경 수소 ○ 수소는 생산 방식에 따라 △재생에너지를 100% 사용해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산하는 친환경(그린) 수소, △화석 연료를 고온의 수증기와 반응시켜 생산하는 개질(그레이) 수소, △석유화학 또는 제철 공정 반응에서 부수적으로 생산되는 부생(그레이) 수소 등으로 분류된다. 환경부는 한국수자원공사와 함께 7월 21일 오후 성남 광역정수장(성남시 수정구 소재)에서 정수장의 소수력 발전을 이용해 친환경 수소를 만드는 ‘그린수소 실증시설 착공식’을 개최했다. 성남 정수장 그린수소 전주기 모델 구축 계획 □ 주요내.. 2022. 7. 21.
[신재생e] 환경부,「바이오·물 에너지 확대 로드맵」 환경부, 환경시설 활용한 바이오·물 에너지 2배 확대 청사진 발표 하수처리, 정수장 등 환경시설에서 에너지 자체 생산 □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하수처리시설, 정수장, 댐 등 환경시설에서 바이오가스, 수상태양광, 소수력발전 등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생산을 두 배 이상 확대한다는 내용을 담은 ‘바이오·물 에너지 확대 방안(로드맵)’을 6월 21일 발표했다. ○ 환경부는 2021년 기준으로 연간 3,264GWh에 이르는 환경시설 재생에너지 생산량을 2026년까지 5,764GWh로 확대할 계획이다. ※ GWh(gigawatt hour): 전력량의 단위이며 와트(W)는 1초 동안 1줄(J)의 일을 하는 일률의 단위이고 여기에 1시간(3,600초)을 곱한 것으로 ‘기가와트시’라고 읽음 ○ 이는 4인 가구 기준으로 .. 2022. 6. 21.
[수소] 전북 부안,「수전해 수소생산 기지」건설 전라북도, 부안군,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산업통상자원부의 2022년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 구축」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전북 부안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 구축 사업」 전라북도, 부안군, 전북테크노파크, 테크로스 워터앤에너지 등과 컨소시엄으로 하루 1톤 이상의 수소 생산 및 저장·운송이 가능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 사업개요 목 적 수전해 인프라 구축 지원을 통한 그린수소 생산기반 확충 위 치 전북 부안 신재생에너지단지 연구용지 사업기간 2022. 5 ~ 2024. 4.(2년) ※ 산업부 공모사업 사업비 108억 원 정도(국비 54, 전북도 10, 부안군 20, 민자 24) 사업내용 그린수소(수전해* 기반) 생산기지 구축(1톤/일, 2.5MW) * 수전해 설비(PEM, 고분자전해질 방식), 출하.. 2022. 6. 3.
[규제특례] 그린수소 생산 고분자전해질막(PEM) 수전해 설비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고분자전해질막(PEM) 수전해 설비가 산업통상자원부 ‘22년 제2차 산업융합 규제특례심의위원회('22.04.28)를 통해, 규제특례 승인(실증특례) 을 받았다. “친환경 에너지로 친환경 수소까지 생산”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고분자전해질막(PEM) 수전해 설비 1. 신청 내용 해일로하이드로젠(SK E&S-플러그파워(美) 합작회사)은 탄소배출이 없는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고분자전해질막(PEM*) 수전해 설비에 대한 실증특례를 신청하였다. * 고분자전해질막: 공급전원의 변동 대응성이 높아 재생에너지 연계 수소생산에 효율적 신청기업은 제주 풍력단지內 수전해 설비를 구축하여 풍력 에너지를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고분자전해질막(PEM) 수전해 설비를 .. 2022. 5. 2.
[넷제로] 충남, ‘2045년 탄소중립’ 조기실현 추진 2050→2045년 ‘탄소중립’ 5년 앞당긴다 탄소중립위 출범식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발표 2045년까지 석탄화력 폐쇄, 그린수소 늘리고 친환경차 확대 보급 충청남도가 탄소중립 실현 시기를 2050년에서 2045년으로 5년 앞당긴다. 양승조 지사는 20일 충청남도 탄소중립위원회 출범식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를 전국 최초로 발표하며, “2045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겠다”고 공표했다. 이번 시나리오는 충남의 여건과 특성을 반영,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등 국가계획에 부합토록 작성했다. 양 지사는 “우리 도는 지난해 12월 보령화력 1·2호기 조기 폐쇄를 견인하고, 탈석탄·탄소중립 금고 정책에 대한 기업과 정부단체, 금융권의 참여를 이끌었다”라며 “.. 2021. 12. 21.
[수소] 칠레 ‘그린수소 시장’ 동향 칠레 그린수소 시장 동향 * 출처 : KOTRA 우리나라 정반대에 위치한 칠레는 그 영토가 태평양과 안데스 산맥 사이에 남북으로 약 4,300km 길게 뻗어있는 만큼 북쪽의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사막인 아타카마 사막부터 남부 지역의 파타고니아 빙하 지대에 이르는 다양한 기후로 인해 재생에너지 발전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누리고 있다. 구리와 와인, 긴 영토로 우리에게 친숙한 칠레에서는 최근 그린수소가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칠레 정부는 전 세계적 이슈인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설정하였다. 2040년까지 모든 석탄발전소를 폐쇄하고 2050년까지 재생발전 설치용량 기준 98%를 달성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방대한 재생에너지 자원을 기반으로 청정연료인 그린수소를 생산 및 수.. 2021. 12. 5.
[RE100] ('22년 환경부 사업) 시화 생태기반 RE100 단지 시화 생태 기반 RE100 단지 조성 □ 사 례 국제사회는 탄소중립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미국, EU, 캐나다, 중국, 일본 등 세계 주요 국가가 잇따라 탄소중립을 선언*, 우리나라 또한 국제사회의 주요 일원으로서 2020년 10월에 ‘2050 탄소중립’을 선포 및 12월에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 * 탄소중립 목표연도는 미국(2050), EU(2050), 캐나다(2050), 중국(2060), 일본(2050) 등 약 26개국 에너지 부문에서는 석탄 발전 등 화석연료 중심의 전력 생산에서 →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국가 전력을 변경할 예정으로, 현재 해외 중심으로 많은 기업들이 RE100* 추진 중 * △ 해외 RE100, 319개 기업(구글, 페이스북, 나이키, .. 2021. 9. 7.
[수소] ‘인공 나뭇잎’ 수소생산효율 극대화 기술 개발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1. 8. 1.
[수소] 한국 녹색수소 생산기술, 국제표준화 주도 탄소중립의 핵심인 녹색수소 생산기술, 한국이 국제표준화 주도 -국제표준화기구(ISO)를 통해 ‘재생에너지이용수전해안전성’ 국제표준화추진- 탄소배출 없이 수소를 생산할 수 있어 탄소중립 실현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녹색(이하 그린)수소* 생산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우리나라가 주도한다. * 그린수소 :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로 물을 분해해 만든 수소를 지칭. 수소 생산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발생하지 않는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온라인 수소기술 국제표준화회의를 29일 개최하여 우리나라가 국제표준화기구(ISO)에 제안한 ‘재생에너지 이용 수전해 설비의 안전 요구사항과 시험방법’을 국제표준으로 제정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우리나라가 제안한 국제표준은 그린수소 생산 시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 2021. 7. 30.
[수소] 포스코-현대차, '수소환원제철소' 협력 철강 생산 공정 비교 고로조업제철 파이넥스제철 수소환원제철 원재료 철광석+석탄 철광석+석탄 철광석+수소 소결공장 철광석을 가공해 덩어리로 제조 없음 없음 코크스공장 석탄(유연탄)을 고체연료로 제조 없음 없음 용선 (쇳물을 만드는 공정) 고로 유동환원로, 용융로 수소유동환원로 환원제 (철광석에서 산소 분리) 일산화탄소 100% 일산화탄소 75% 수소 25% 수소 100% 탄소 탄소 배출 ( 철강 1t → 석탄 0.75t → CO2 약 2t ) 탄소 배출 탄소 제로 용강 (쇳물을 정제하는 공정) 전로 전로 전기로 고로 조업이 발전해 용광로를 대신해 수소와 철광석의 환원반응은 ‘유동환원로’라는 설비를 통해서 구현 된다. 즉, 철광석을 환원하여 환원철(DRI).. 2021. 2. 24.
[수소] 세계 최초·최대 부생수소 연료전지 발전소 대산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대산 수소연료전지 발전소는 부생수소를 연료로 하는 세계 최초이자 최대 규모의 수소 연료전지발전소다. [사업 개요] 총사업비 2,550억원 공사비 2,329억원 (주)한화건설, (주)두산 공동 수행 면적 20,000 ㎡ (약 6000평) 주요 일정 2018년 1월 : 대산그린에너지(SPC) 설립 2018년 8월 : 대산수소연료전지발전소 착공 2020년 6월 : 50MW 상업생산 시작 부생수소 연료전지는 석유화학공정에서 부산물로 발생하는 부생수소를 연료로 활용해 산소와 전기화학 반응을 일으켜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고효율 발전시스템이다. 지금까지 버려지거나, 태워진 부생수소를 연료로 활용하는것이 특징이며, 대규모 사업화에 성공한 세계 최초의 수소연료전지발전소이다. 온실가스 등 대기오염.. 2021. 1.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