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생분해 플라스틱5

[R&D] 해수부, 해조류 활용 생분해 플라스틱 개발 착수 해양수산부는 괭생이모자반 등 해조류를 활용하여 석유화학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생분해성 해양바이오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하는 사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최근 미국·EU 등 선진국은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해결과 탄소 저감 등을 위한 산업적 대안으로 바이오 플라스틱* 산업에 주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범정부 차원에서 바이오 플라스틱 개발·보급 확대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 * 친환경 플라스틱을 총칭하며, 일정량 이상의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한 ‘생물 기반 플라스틱’과 일정 조건에서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구분 그러나, 현재까지 바이오 플라스틱은 주로 옥수수 등 곡물계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이용하고 있어 식량 문제와 결부될 뿐만 아니라, 값비싼 원료로 인한 경제성 문제 등을 이유로 .. 2022. 6. 7.
[바이오] 산업부,’22년 바이오 R&D 2743억원 지원 산업부, 22년 바이오 분야 R&D에 2,743억원 규모로 지원 확대 디지털전환 및 미래 융복합 기술 확대를 통한 성장 확보 글로벌 백신 허브 구축 및 탄소중립 등 미래 아젠다 대응 산업통상자원부는 바이오분야 ‘22년도 R&D에 전년도 대비 372억원(15.7%) 증액된 2,743억원의 예산을 지원하는 계획을 밝혔다. ❮`22년 바이오분야 R&D 지원 규모❯ ▪ 바이오분야 R&D 지원 예산 : (‘21년) 2,371억원 → (‘22년) 2,743억원(15.7%↑) ㅇ AI, 빅데이터 등 신기술 기반 디지털 전환과 미래형 융·복합기술 기반 차세대 바이오 핵심 기술개발 및 상용화 지원 기조를 유지하고, ㅇ 부처 협업을 통한 상용화 단계의 의약품‧의료기기 기술개발 및 글로벌 백신 허브 구축, 탄소중립 등 사회.. 2022. 1. 24.
[탄소저감] 플라스틱 재활용 / 생분해 플라스틱 탄소저감을 위한 폐플라스틱 자원순환과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플라스틱 재활용 생분해 플라스틱 물리적 재활용 화학적 재활용 바이오기반 플라스틱 석유기반 플라스틱 플라스틱 라이프사이클 ▶ 플라스틱 재활용 1. 물리적 재활용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플라스틱 재활용으로 폐플라스틱을 기계로 분쇄, 세척 후 응용 등 물리적인 가공을 통해 다시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는 물질 재활용(Mechanical Recycling) 2. 화학적 재활용 폐플라스틱을 물리적인 방법이 아닌, 화학반응을 통해 폐플라스틱을 분해하여 원래의 원료인 모노머로 되돌려 다시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화학적 재활용(Chemical Recycling) ① 해중합 기술 유색 페트병, 폴리에스테르 원단 등 플라스틱(PET, Polye.. 2021. 9. 14.
[환경] 中 플라스틱 제로시대, 친환경 대체품 부상 생분해 플라스틱, 제지업 등 산업 호황 예상 올 초부터 중국 정부가 사상 가장 엄격한 '일회용 플라스틱 제한·금지령'을 시행했다. 일회용 플라스틱 면봉, 발포 플라스틱 식기 생산과 판매가 금지됐다. 4대 직할시, 27개 성/자치구의 성도(성 정부 소재지) 등 우선 시행도시에서는 올해 1월 1일부 백화점, 쇼핑몰, 슈퍼, 마트, 약국, 서점 등 영업장에서의 일회용 플라스틱 쇼핑백 사용을 금지했다. 음식배달 서비스 업체, 각종 전시 행사에서도 비분해성 비닐봉지를 사용할 수 없다. 이에 앞서 2020년 1월 1일부터 초박형 비닐봉지(두께〈0.025㎜)와 농지용 폴리에틸렌 박막(두께〈0.01㎜) 생산과 판매도 금지했다. 플라스틱 제한령을 시행하는 도시들에서 일회용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포장재 수요가 폭발하.. 2021. 4. 19.
[환경] 화이트바이오 산업, 탄소중립 추진 산업통상자원부는 4.2일 화이트바이오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화이트바이오 연대협력 협의체’를 발족하였다. 화이트바이오 산업은 식물 등 재생가능한 자원을 이용하거나 미생물, 효소 등을 활용하여 기존 화학산업의 소재를 바이오기반으로 대체하는 산업을 말한다. ※ 바이오 산업 구분 레드 바이오(Red Biotech) 의약, 제약 관련 사업 화이트 바이오(White Biotech) 화학, 환경, 에너지 관련 소재 그린 바이오(Green Biotech) 농,식품 등 생물 활용 분야 * 출처 : 채널CJ 바이오 기술과 제품화 융합 추진 화이트바이오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바이오기업-석유화학기업 간 네트워크는 원료 생산에 필요한 바이오기술과 바이오기반 원료의 제품화를 위한 화학공정기술간 융합이 필수적인 화이트바.. 2021. 4. 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