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폐플라스틱 재활용4

[순환] 폐플라스틱 순환 수퍼빈(주) 화성공장 준공 4월 28일(금) 오후, 경기도 화성시 소재 폐플라스틱 순환경제 벤처기업인 ‘수퍼빈(주)’ 공장 준공식 열렸다. ‘수퍼빈(주)’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IoT,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하여 AI 로봇으로 폐플라스틱을 선별한 뒤 자체 물류시스템을 통해 공장으로 이송, 고부가가치 재활용 소재를 만드는 공정을 구축한 기후테크* 전문 벤처기업이다. * 기후(Climate)와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온실가스 감축(mitigation)과 기후적응(adaptation)에 기여함과 동시에 수익을 창출하는 모든 혁신기술을 의미함 기후테크는 클린테크(재생에너지, 에너지신산업), 카본테크(탄소포집, 공정혁신), 에코테크(자원순환, 업사이클링), 푸드테크(대체식품), 지오테크(우주ㆍ기상) 등 5개 분.. 2023. 4. 30.
[바이오] BGF에코바이오, 화이트바이오 산학연 협약 BGF에코바이오가 인천광역시 강소연구개발특구 비전선포식에 참여해 화이트바이오 산업 육성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인천광역시는 이달 14일 인천대학교 송도캠퍼스에서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을 기념해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인천 서구 강소연구개발특구 강소연구개발특구(인천시 서구)는 혁신 역량을 갖춘 기술핵심 기관을 중심으로 구성된 고밀도 기술사업화 거점 모델이다. 강소연구개발특구(이하 강소특구)는 혁신 역량을 갖춘 기술핵심기관을 중심으로 소규모 고밀도 기술사업화 거점을 구축하는 새로운 연구․개발특구 모델이다. 앞서 지난 6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천 서구 일대 등을 환경분야 특화 강소특구로 지정․고시했다. 인천 서구 강소특구는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환경오염 처리 및 관리 기술사업화 거점을 구축하기 위한 것.. 2022. 7. 15.
[재활용] 강원도 ‘폐기물 공공 열분해시설 공모사업’ 선정 강원도는 환경부가 주관한 “폐기물 공공 열분해시설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되어 폐기물 분야 탄소배출량 감축과 도내 영농폐기물 문제의 근본적 해결 기반이 마련되었다고 밝혔다. 폐기물 열분해시설은 생활폐기물 중 그간 재활용이 어려워 소각‧매립 처리하던 폐비닐과 폐플라스틱 잔재물을 열분해하여 난방유나 석유‧화학 원료로 재활용하는 시설이다 이번 공모사업에 선정된 횡성군 폐비닐 공공 열분해시설은 횡성군 매립시설 내에 20톤/일 규모로 설치될 예정이며, 3년간 120억 원(국비 60억 원)이 투입 된다. 폐비닐 공공 열분해시설 □ 시설 개요 ○ 위 치 : 횡성군 공공폐기물매립시설 내(플라스틱 순환도시와 연계) ○ 시설용량 : 열분해 설비 20톤/일(5톤/일 × 4기) ○ 시업기간 : 2022 ~ 2024년(공사기간 .. 2022. 1. 12.
[예산] 과기정통부, '22년 탄소중립 R&D예산 1442억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2년 예산안을 발표,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중장기 원천기술개발을 지속한다.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혁신기술 확보를 위한 2022년 예산은 1,442억원 ('21년 1,495억원) 규모이다. ▶ 기후변화대응 핵심기술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큰 기술 분야에서 세계 선도적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기후기술 국제협력 촉진 지원 * (신규) 단계도약형 탄소중립 기술개발 : (’22) 170억원 * (신규) DNA 활용 탄소중립 에너지효율화 핵심기술개발 : (’22) 60억원 * (신규) 기후기술 국제협력 촉진 : (’22) 23억원 ▶ 탄소포집 저장․활용 이산화탄소(CO2)와 부생가스(CO, CH4 등)를 유용한 자원으로 전환하기 위한 실증연구 확대 * (신규) CCU(Carbon Capt.. 2021. 9.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