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기후195

[다큐] 기후위기 특별기획, ‘붉은 지구’ (총4부) KBS 기후위기 특별기획 4부작 붉은 지구 [1부] 엔드게임 1.5℃ 붉은지구 - 엔드게임 1.5℃ [2부] 침묵의 바다 붉은지구 - 침묵의 바다 [3부] 구상나무의 경고 붉은지구 - 구상나무의 경고 [4부] 기후혁명 붉은지구 - 기후혁명 2022.08.31 - [기후] - [기후위기] 글로벌 대가뭄과 살인폭우 [기후위기] 글로벌 대가뭄과 살인폭우 파키스탄 살인폭우 "성서에나 나올법한 홍수" 유럽 500년 만에 최악 가뭄이 부른 홍수 라인강 수심이 겨우 30cm 빠르게 녹고 있는 알프스 빙하 A Glacier In The Swiss Alps Is Melting Fast. 미래 지구가 눈 thecce.kr 2023. 6. 5.
[해양] 유엔플라스틱 협약 제2차 INC 주요 내용 해양 플라스틱 문제를 포함한 플라스틱 오염에 관한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을 성안하기 위한 제2차 정부간협상위원회 회의(INC*-2)가 5월 29일부터 6월 2일까지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개최되었다. * Intergovernmental Negotiating Committee to develop an international legally binding instrument on plastic pollution, including in the marine environment ※ 협약 추진 배경 : 2022.2.28.-3.2 제5차 유엔환경총회(UNEA 5.2)에서 플라스틱 오염 대응을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 성안 추진 결의안 채택 유엔 플라스틱 협약 협상은 2022-2024년간 총 5차례 협.. 2023. 6. 4.
[GHG] 정부, 2027년 온실가스 위성 발사 기획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6월 1일 부산 웨스틴조선호텔(부산 해운대구 소재)에서 온실가스 관측 위성 개발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포럼)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에는 환경부 및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 위성 개발 및 활용 분야의 전문가 등 약 100명이 참석한다. 발표는 △위성 기반 기후기술* 동향, △초소형 위성 개발 동향, △온실가스 관측 탑재체(센서) 및 자료처리, △온실가스 배출 감시 관련 국제협력을 주제로 구성되며, 이어진 토론을 통해 온실가스 위성 개발 관련 의견을 수렴하고 국내외 협력방안을 모색한다. * ‘온실가스 감축에 관한 기술’과 ‘기후변화 적응에 기여하는 기술’ ❍ (일시) 2023년 6월 1일 (목) 14:00~16:30 ※ 등록은 13:3.. 2023. 6. 1.
[5/22] 2023년 생물다양성의 날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5월 22일 순천만국가정원(전라남도 순천시 소재)에서 ‘2023년 생물다양성의 날(철새의 날, 습지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올해 생물다양성의 날 행사 주제는 ‘생물다양성 약속, 이제는 실천할 때’이다. 이번 주제는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공언을 넘어 이제는 실천을 통해 결실을 맺자는 의지를 담았다. 이날 기념행사는 유공자 표창 수여, 기념사 및 축사 등으로 진행되며, 한화진 장관은 기념사를 통해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해 일상에서 누구나 실천할 수 있는 8개 실천 방법을 제안할 예정이다. 8개 실천 방법은 △부상 야생동물 구조 신고, △생물다양성 중요성 교육, △생물다양성 친화 제품 소비, △야생동물 개인 사육 지양, △불필요한 살생금지, △서식지 주변 쓰레기 줍기, △밀렵·밀.. 2023. 5. 19.
[폭염] 기상청, 체감온도 기반 폭염특보 운영 기상청은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기간(5.15.~10.15.)이 시작되는 5월 15일부터 체감온도 기반의 폭염특보를 정식 운영한다. 기존에 단순히 기온(공기 온도)만을 고려하여 발표하던 폭염특보를, 습도까지 고려하여 사람이 실제로 느끼는 더위를 나타내는 체감온도를 기반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개선한 것이다. 주의보 경보 기존 일 최고기온 33℃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일 최고기온 35℃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 될 것으로 예상될 때 개선 폭염으로 인하여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일 최고 체감온도 33℃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예상될 때 ② 급격한 체감온도 상승 또는 폭염 장기화 등으로 중대한 피해 발생이 예상될 때 폭염으로 인하여.. 2023. 5. 15.
[6/17] 산림청「'23 사막화·가뭄 방지의 날」행사 산림청은 국제연합(UN)이 정한 「사막화와 가뭄 방지의 날」 기념행사(경남수목원, 6.15)의 하나로 실시될 포스터 그리기 대회(초등생)와 영어발표 대회(중·고생) 접수를 5월 11일(목)부터 시작한다. * 사막화방지협약 채택(’94.6.17, 파리)을 기념하기 위해 국제연합(UN)은 6월 17일을 세계 사막화 방지의 날(World day to combat Desertification and Drought)로 지정 사막화와 가뭄 방지의 날에 대한 대국민 홍보와 더불어, 미래세대인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막화 방지, 나무심기와 목재이용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포스터 그리기와 영어발표를 통해 실천 노력과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대회는 지난 4월 14일 외교.. 2023. 5. 12.
[회의] ‘2023 피터스버그 기후대화’ 개최 환경부는 5월 2일부터 3일까지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2023 피터스버그 기후대화(2023 Petersberg Climate Dialogue)’에 참석하여 탄소중립 미래를 위한 국제적인 협력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피터스버그 기후대화는 2010년 독일 메르켈 총리 주도로 시작된 비공식 고위급 회의체로,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의 협상 진전을 위한 정치적 동력 확보를 목적으로 매년 개최된다. 제14차 피터스버그 기후대화 (Petersberg Climate Dialogue XⅣ) □ (개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협상 타결 등에 필요한 정치적 동력 확보를 위해 매년 개최하는 비공식 고위급 회의체로, ’10년 독일 메르켈 총리 주도로 시작 □ (기간·장소) ’23.5.2(화)~‘23.5.3(수) / 독일.. 2023. 5. 2.
[지구] 서울시, 2023 지구의 날 기념행사 서울시는 4월 22일(토) 광화문광장에서 ‘쓰레기를 위한 지구는 없다’를 주제로 2023 지구의 날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해마다 세계 190개국, 약 10억 명이 참여하는 ‘지구의 날’은 세계적인 환경기념일로 올해 세계 공통 주제는 ‘Invest In Our Planet’이다. 《 ‘지구의 날’ 》 ▶ 제정배경 - 지구 환경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1970년 4월 22일 제정 - 유엔이 정한 세계환경의 날(6월 5일)과는 달리 순수 민간운동에서 출발 ※ 미국 게이로드 넬슨 상원의원이 '69년 캘리포니아주 산타바바라 해변 대규모 원유 유출 사고를 계기로 환경문제에 관한 범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제안 ▶ 참가규모 : 현재 세계 190개국 약 10억명 참여 이번 행사는 서울시와 녹색서울시민위.. 2023. 4. 21.
[고시] ‘해양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종’ 지정 해양수산부는 해양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종 23종을 지정하여 4월 21일(금) 고시하였다. ‘해양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종’은 바닷물 온도 상승으로 인한 서식 및 분포범위 변화, 번식활동 시기 변화, 개체군 변화가 비교적 뚜렷하여 지속적인 조사·관찰을 통해 기후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해양생물을 지정한 것이다. 분류군별로 보면, 해양어류는 연어, 파랑돔 등 5종, 무척추동물은 검은큰따개비, 빨강불가사리 등 13종, 해조류는 옥덩굴 등 5종이 지정되었다. 분류군 연번 학명 국명 암반 (23종) 해조류 (5종) 1 Caulerpa okamurae 옥덩굴 2 Padina arborescens 부챗말 3 Amphiroa beauvoisii 고리마디게발 4 Corallina pilulif.. 2023. 4. 21.
[Patagonia] 지구, 이제 우리의 유일한 주주 세계적 아웃도어 브랜드 파타고니아 창업주 이본 쉬나드(Yvon Chouinard)가 전 재산을 지구에 기부하였다. 비상장 기업인 회사의 의결권 주식 100%는 비영리재단 Patagonia Purpose Trust, 무의결권 주식 100%는 환경단체 Holdfast Collective에 각각 출연하였다. 쉬나드 일가 소유 지분 가치는 약 30억달러(약 4.2조원)로 알려진다. Earth is now our only shareholder 지구가 유일한 주주가 되어 향후 기업의 모든 이익이 지구의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보호에 환원 및 사용 되도록 한 것이다. 「파타고니아, 파도가 칠 때는 서핑을」 (한국판) 일부 내용 이본 쉬나드 Vyon Chouinard 전설적인 등반가, 서퍼, 환경운동가이자 캘리포니아에 본.. 2023. 4. 21.
[4/22, 20:00] 지구의 날, 전국 소등행사 지구의날 53주년 소등행사 일정 : 4.22(토), 20:00~20:10(10분) 주요내용 : 전국 관공서・공공기관 및 17개 시도별 상징물, 아파트, 기업 등의 건물 조명을 10분간 동시 소등 2022.04.22 - [기후] - [4/22] Earth Day 1970–2022 : What's Changed? [4/22] Earth Day 1970–2022 : What's Changed? Earth Day 1970–2022 : What's Changed? Earth Day 1970–2022 : What's Changed? 2022.04.22 - [기후] - [지구] 서울시, ‘지구의 날’ 및 ‘기후변화주간’ 캠페인 [지구] 서울시, ‘지구의 날’ 및 ‘기후변화주간’ 캠 thecce.kr 2021.10.3.. 2023. 4. 21.
[4/21~4/27] 2023년 기후변화주간 환경부는 지구의 날(4월 22일)을 맞아 4월 21일부터 27일까지 일주일간 제15회 기후변화주간을 운영한다. 올해 기후변화주간 주제는 ‘오늘도 나는 지구를 구했다’로 온실가스를 줄이는 탄소중립 실천이 어려운 게 아닌 일상적인 작은 행동(다회용기 사용 등)이며, 지구를 구하는 멋진 일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번 기후변화주간은 4월 21일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기후변화주간 개막행사’를 시작으로 △탄소중립 국민 실천 운동 다짐식 △전국 소등행사 △기후행동 1.5℃앱 대항전(챌린지) △지자체별 기념행사 등 국민이 함께 탄소중립 실천이라는 하나의 뜻을 모으는 다채로운 행사와 홍보활동(캠페인)이 펼쳐진다. 이날 개막행사에는 한화진 환경부 장관을 비롯해 이우균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상임대표, 기.. 2023. 4. 20.
[청소년기후행동] 이 폐허를 응시하라 1차 탄소중립기본계획(안)에 대한 청소년기후행동 성명 이 폐허를 응시하라 2023년 3월 21일 윤석열 정부는 사실상 기후위기 대응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제대로 된 기후 대응책이 존재하지 않는 정부의 제 1차 탄소중립기본계획(안)이 발표되었다. 제 1차 탄소중립기본계획에 대해 정부는 “기본계획은 ‘탄소중립기본법’ 제정(’22.3월 시행)에 따라 최초로 수립하는 탄소중립・녹색성장에 관한 최상위 법정 계획으로, 윤석열 정부의 탄소중립 이행 및 녹색성장 추진 의지와 정책 방향을 담은 청사진”라고 설명한다. 윤석열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 추진 의지는 바로 ‘임기 내 기후위기 대응을 포기한다' 는 것이었다. 탄소중립기본계획은 탄소중립기본법 제7조 국가비전 및 국가전략의 1항의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2023. 4. 18.
[기후] 한국「2022년 이상기후 보고서」 기상청이 관계부처(국무조정실, 국토교통부, 환경부 등 24개 기관)와 합동으로 「2022년 이상기후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 국무조정실·기상청 공동 주관으로 매년(2010~) 발간, 올해는 24개 기관 49명의 담당·집필진 참여 이번 보고서는 2022년에 발생한 △이상고온 △집중호우 △태풍 △가뭄 등의 이상기후 발생과 분야별* 피해 현황을 담고 있다. * 농업, 해양수산, 산림, 환경, 건강, 국토교통, 산업·에너지, 재난안전 총 8개 분야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우리나라는 중부지방의 집중호우와 남부지방의 극심한 가뭄, 이른 열대야와 폭염 그리고 7년 연속 9월 태풍 등으로 인해 사회·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 (집중호우) 장마 기간과 장마 종.. 2023. 4. 4.
[AR6] IPCC, 제6차 종합보고서(AR6) 승인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제58차 총회(3.13.(월)~3.19.(일)/스위스 인터라켄)에서 통합적인 단기 기후 행동의 시급성을 강조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6차 평가보고서(AR6**) 종합보고서」를 만장일치로 승인했다.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 기후변화의 과학적 규명을 위해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이 공동으로 설립(1988년)한 국제협의체 ** 제6차 평가보고서(AR6, The Sixth Assessment Report) ※ IPCC는 3개 실무그룹(기후변화과학(1그룹), 영향·적응ㆍ취약성(2그룹), 기후변화 완화(3그룹))으로 구성된.. 2023. 3. 20.
[공모] 제40회 기상기후 사진‧영상 수상작 기상청은 3월 16일(목), ‘제40회 기상기후 사진·영상 공모전’ 수상작 40점을 선정해 기상청 누리집(www.kma.go.kr)과 공모전 누리집(www.weather-photo.kr)을 통해 발표했다. 이번 공모전에는 총 3,847점의 작품이 접수됐으며, 치열한 경쟁 끝에 △사진 부문 37점 △영상 부문 3점 △총 40점의 작품이 선정됐다. ○ 특히, 사진 부문 상위 7개 작품은 전문성과 대중성을 함께 고려해, 심사위원 점수(50%)와 국민투표 결과(50%)를 합산해 △대상(1점) △금상(1점) △은상(2점) △동상(3점)의 최종 순위를 결정했다. □ 대상(환경부 장관상)에는 구름에 반사된 오징어 배 불빛으로 가득 찬 가을 제주 밤하늘을 촬영한 (윤석주)이 선정됐다. ○ 금상은 남한산성에 올라 소나기.. 2023. 3. 17.
[겨울] ‘2022년 겨울철 기후 분석’ 기상청이 ‘2022년 겨울철 기후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 2022년 겨울철 전국 기상자료 ] □ 평균기온, 평균 최고기온, 평균 최저기온, 강수량(1973~2022년) □ 평년대비 기상요소 값 요소(단위) 2022년 겨울(a) 2021년 겨울(b) 겨울 평년값 (1991-2020) (c) 작년차 (a-b) 평년차 (a-c) 1973년 이래 순위 (5위 이내) 평균기온(℃) 0.2 0.3 0.5 -0.1 -0.3 평균 최고기온(℃) 5.8 6.0 6.0 -0.2 -0.2 평균 최저기온(℃) -4.8 -4.8 -4.3 0.0 -0.5 강수량(mm) 71.6 13.3 89.0 58.3 -17.4 강수일수(일) 17.0 11.7 19.5 5.3 -2.5 상대습도(%) 62 57 62 5 0 일조시간(hr.. 2023. 3. 13.
[2월 7일] 8개 시도 고농도 초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환경부는 2월 7일 06시부터 21시까지 수도권과 충청권, 강원 8개 시도*에 초미세먼지 위기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한다. *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세종, 충북, 충남, 강원 영서 ○ 해당 지역의 고농도 상황은 잔류 미세먼지와 국내 발생 미세먼지가 대기 정체로 축적된 가운데 국외 미세먼지가 유입되면서 발생하였으며, ○ 2월 6일 0∼16시까지 초미세먼지 일평균 농도가 50㎍/㎥를 초과하고, 2월 7일도 일평균 5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어 비상저감조치 발령기준을 충족했다. 단계 발 령 기 준 ※ 하나의 요건만 충족되면 발령 관심 ① 당일 0∼16시 평균 50㎍/㎥ 초과 및 내일 50㎍/㎥ 초과 예상 ② 당일 0∼16시 해당 시·도 권역 주의보‧경보 발령 및 .. 2023. 2. 7.
[기후] 기상청, ‘2022년 기후 분석 결과’ 기상청은 기후변화 영향 아래 계절별로 이상기후 현상이 두루 나타나고 있다는 내용의 ‘2022년 기후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 (기온) 2022년 전국 연평균기온은 12.9℃로 평년보다 0.4℃ 높았다(1973년 이래 9위). - 2022년 전지구 평균기온이 다섯 번째로 높았던 가운데, 우리나라는 봄철과 초여름 강한 햇볕과 따뜻한 남서풍의 유입으로 기온이 매우 높아 평년보다 높은 연평균기온에 크게 기여하였다. ※ 연평균기온(℃) 상위 10위 2016(13.4)>2021(13.3)>2019(13.3)>1998(13.2)>2015(13.1)>2020(13.0)> 2007(13.0)>1994(13.0)>2022(12.9)>2004(12.9) ※ 폭염일수 10.6일(평년 대비 -0.4일, 24위), 열대야일.. 2023. 1. 28.
[가뭄] 기상청, ‘2022년 기상가뭄 발생 특성’ 2022년 남부지방 기상가뭄 발생일수 227.3일 ; 역대 가장 오랜 기간 지속 기상청이 지난해 지속되었던 남부지방 기상가뭄 특성을 포함한 ‘2022년 연 기상가뭄 발생 특성’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2022년 연, 계절별, 월별 기상가뭄의 발생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167개 시·군의 기상가뭄 현황과 전국·지역 평균 기상가뭄 발생일수 및 가뭄일수 분포도 등을 포함하고 있다. 2022년 강수량 현황과 기상가뭄 발생일수 □ 2022년 전국 연 강수량·평년비·기상가뭄일수 분포도 □ 2022년 지역별 강수량 현황 구 분 서울·인천 ·경기 강원 충북 대전·세종 ·충남 전체 영서 영동 강수량(㎜) 1750.4 1514.8 1573.6 1397.2 1168.2 1220.9 평년비(%) 132.6 111.0 .. 2023. 1. 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