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생계, 식량 안보, 물 공급 기후 관련 위험
건강, 생계, 식량 안보와 물 공급, 안정성과 경제성장에 대한 기후 관련 위험은 1.5℃ 온난화에서 증가하며, 2.0℃
온난화에서는 더 증가할 것이다 (아래 그림)
사회적 소외계층과 취약계층, 일부 토착민, 그리고 농업이나 어업에 생계를 의존하는 지역 공동체는 1.5℃ 이상의 온난화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그룹에 속한다(높은 신뢰도).
또한, 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에는 북극 생태계, 건조지역과 군소 도서 개발도상국, 저개발국가가 포함된다(높은
신뢰도).
결국, 온난화가 심화될수록 빈곤층과 사회적 소외계층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1.5℃로 억제할 경우, 기후관련 위험에 노출되고, 빈곤에 취약해지는 인구수를 2050년까지 최대 수억 명 줄일 수 있을 것이다(중간 신뢰도).
온난화가 지속되면 보건부문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높은 신뢰도).
1.5℃ 온난화에서 2.0℃보다는 열과 관련된 질병 유병률과 사망률이 더 낮다(매우 높은 신뢰도).
오존 배출량이 계속 높게 유지된다면 오존 관련 사망률 도 1.5℃ 온난화에서 더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높은 신뢰도).
도시 열섬 현상은 도시에서 폭염의 영향을 증대시킬 것이다(높은 신뢰도).
말라리아와 뎅기열 같은 일부 매개체 감염 질병의 위험은 2.0℃보다 1.5℃ 온난화에서 더 낮고, 감염 질병의
위험 공간 범위가 잠재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높은 신뢰도).
2.0℃ 온난화보다 1.5℃ 온난화일 때, 사하라 인근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중남미 지역에서 옥수수, 쌀, 밀, 잠재적 기타 곡물 수확량의 순 감소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높은 신뢰도).
즉, 미래에는 곡물 수확량이 2.0℃ 온난화에서 1.5℃ 온난화보다 더 크게 감소한다.
또한, 이산화탄소 농도에 영향을 받는 쌀과 밀의 질적 저하도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높은 신뢰도).
사헬(Sahel), 아프리카 남부, 지중해, 중부 유럽, 아마존에서 1.5℃보다 2.0℃ 온난화일 때 식량 가용성이 더 크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중간 신뢰도).
가축은 온도가 상승할수록 부정적인 영향에 더 노출되지만, 사료의 질, 질병의 확산, 수자원 가용성의 변화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높은 신뢰도).
지역 간 상당한 차이가 존재하지만, 미래의 사회경제적 여건을 고려했을 때 온난화를 2.0℃ 대비 1.5℃로 억제하면 기후변화로 인한 물 부족 현상을 겪는 세계 인구의 비율을 최대 50%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중간 신뢰도).
또한 많은 군소 도서 개발도상국에서 물 부족 현상이 감소할 것이다(중간 신뢰도).
21세기 말까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한 세계 경제성장에 대한 위험은 2.0℃보다 1.5℃ 온난화에서 더 낮을 것으로 전망된다(중간 신뢰도).
여기에는 완화 비용과 적응에 필요한 투자액과 그로인한 혜택은 포함되지 않는다.
온난화를 1.5℃로 억제하지 못하고 2.0℃ 까지 상승할 경우 열대와 남반구 아열대 국가들이 경제성장에 가장 큰 피해를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중간 신뢰도).
1.5℃ 온난화보다 2.0℃ 온난화로 갈수록 기후 관련 위험에 더 많이 노출되는데, 특히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빈곤에 노출되고, 취약해진다(높은 신뢰도).
1.5℃에서 2.0℃ 온난화로 갈수록 에너지, 식량, 수자원 부문에 걸친 위험이 공간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중첩되어 나타날 수 있다(중간 신뢰도).
즉, 여러 위험이 동시에 같은 공간에 발생하게 되면서 기존의 재해, 노출과 취약성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인구와 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새로운 재해, 노출, 취약성까지도 가져올 수 있다(중간 신뢰도).
5차 평가보고서 이후 2.0℃ 온난화에서는 다섯 가지 ‘우려 단계(Reasons for Concern, RFCs)’(표 3.1) 중 네 단계에서 위험이 증가한다는 많은 증거가 도출되었다(높은 신뢰도).
우려단계 |
정의 |
|
RFC1 |
고유의 위협받는 |
기후 조건에 의존적이며 제한된, 지리적 분포 범위를 갖고 특유의 풍토성 또는 다른 고유성을 지니는 생태계와 인간계. 예로는 산호초, 북극과 북극의 토착민, 산악 빙하와 생물다양성의 위험 지역이 포함됨. |
RFC2 |
극한 기상현상 |
폭염, 호우, 가뭄, 산불과 연안 홍수와 같은 극한 기상 현상으로 인한 건강, 생계, 재산, 생태계에 대한 위험/영향 |
RFC3 |
영향의 분포 |
물리적인 기후변화의 재해(hazard), 노출, 취약성의 불균등한 분포로 인해 특정 집단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위험/영향 |
RFC4 |
전지구 총 영향 |
전지구적 재정 피해, 전지구 규모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황폐화와 감소 |
RFC5 |
대규모 특이 현상 |
온난화로 인한 상대적으로 거대하고, 갑작스럽고, 때때로 비가역적인 시스템의 변화. 예로는 그린란드와 남극 빙상의 붕괴가 있음. |
온난화의 정도에 따른 위험 변화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1.5℃와 2.0℃ 사이에서 RFC1(고유의 위협받는 시스템)에 대해 높음에서 매우 높음까지(높은 신뢰도); 1.0℃와
1.5℃ 사이에서 RFC2(극한 기상 현상)에 대해 보통에서 높음까지(중간 신뢰도) 나타난다.
1.5℃와 2.0℃ 사이에서 RFC3(영향의 분포)에 대해 보통에서 높음까지(높은 신뢰도); 1.5℃와 2.5℃ 사이에서 RFC4(전지구 총 영향)에 대해 보통에서 높음까지(중간 신뢰도) 나타난다.
1.0℃와 2.5℃ 사이에서 RFC5(대규모 특이 현상)에 대해 보통에서 높음까지 (중간 신뢰도) 나타난다.
* 출처 :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
'기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 소나무로 본 기후 위기 (0) | 2021.04.11 |
---|---|
[기후] 이산화탄소와 비이산화탄소 물질의 배출 경로 (0) | 2021.04.08 |
[기후] COVID-19의 교훈 (The Earth Hour '21) (0) | 2021.04.02 |
[기후] 육지와 해양 생태계의 잠재적 영향과 위험 (0) | 2021.04.01 |
[기후] 동아시아와 우리나라 기후의 미래 전망 (0) | 2021.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