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

[나무] 기후위기 구상나무 복원 가능성 증대

by TheCCE 2022. 9. 18.
728x90
반응형
SMALL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박현)은 기후 위기로 사라져가는 구상나무숲의 회복을 위해 구상나무 소규모집단인 금원산에 조성한 복원시험지에서 복원 개체의 초기 활착에 성공했다고 전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금원산산림자원관리소(소장 박준호)와 함께 구상나무 복원을 위해 2014년부터 5년간 DNA 이력 관리를 통해 구상나무 유묘를 양묘하였고, 2019년에는 구상나무 전국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해발, 토양 등의 입지 조건을 고려하여 금원산에 1,350본의 복원 묘목을 식재하였다.

 

 

금원산에 조성한 복원시험지의 1차 모니터링 결과, 1,350본 중 92.7%에 해당하는 1,252본이 생존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원산

 

금원산 중앙 복원시험지 조성 장소

 

 

○ 1단계 구상나무 초기 활착의 성공은 생육가능 입지 선정과 연령에 따른 적정 복원재료 활용,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잘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금원산 구상나무 자생집단 / 금원산 자생 구상나무

 

 

또한, 입지 조건별 생장에 대한 유의미한 사실을 알아냈는데, 식재 후 3년 차(2021년 11월)에 1번 입지에서 약 12cm, 2번 입지에서 약 5cm 생장을 보여, 약 2.5배 생장 속도에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입지별 어린나무의 생장 차이가 광 환경의 차이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을 미기상관측 모니터링을 통해 알아냈다.

 

생장이 양호한 1번 입지는 2번 입지에 비해 광량이 약 30%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구상나무의 줄기와 새잎이 자라나는 생육기간에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 금원산 구상나무 복원시험지 추진 현황 >

 

 

▶ 목 적

 

❍ 구상나무 잔존집단 복원 기술 개발을 위한 복원시험지 조성

 

 

현황 및 문제점

 

❍ 금원산 집단 성목의 분포범위가 좁고(0.06ha) 개체수가 적음(30본 미만)

❍ 유전다양성이 낮고 치수의 근친교배 위험성이 높음(고정지수=0.318)

 

 

추진 방법

 

❍ (’19.4.) 유전다양성을 고려한 구상나무 자생지 복원시험지 조성

※ 전국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생육가능 환경을 고려하여 2개 대상지 선정

 

❍ (’19.5.) 복원재료 식재 : 5년생 구상나무 총 1,350본 0.3ha

※ 유전특성이 유사한(유전적동질성=0.917) 지리산 구상나무 실생묘 활용

 

❍ (’21.11.) 생육 조사 : 92.4%의 높은 생존율

※ 미기상환경 중 광조건이 우수한 입지에서 생장량이 높게 나타남

 

 

 

 

728x90

 

 

< 고산지역 침엽수종 유전다양성 복원 전략 >

 

 

목 적

 

❍ 구상나무 복원재료 선정 및 생육가능 환경 선정 가이드라인 개발

- 유전다양성을 보존하고 유전자오염 최소화하는 개체선발 기술 개발

※ 멸종위기 보전·복원 기술지원단 및 고산지역 기후변화 취약생태계 연구협의체를 통한 산림정책 지원

 

❍ 복원재료 확보 및 보존원조성을 통한 복원기반 구축

- 멸종위기 고산 침엽수종 종자 수집 책임기관(산림생명정보연구과)

- 지역공동연구를 통한 복원재료 양묘 및 보존원 조성(한라산)

※ 개체별 이력관리를 통한 집단별 유전다양성 복원재료 활용 가능 체계 마련

 

 

추진 체계도

 

 

 

추진 계획

 

① 보전 및 복원재료 선정기술 개발(’15∼’21년)

 

❍ 대상 : 구상나무 집단(지리산, 한라산, 덕유산, 금원산)

 

❍ 주요 내용

 

- 집단별 복원재료 확보를 위한 유전다양성 현황 파악

* 제주도 한라산 집단은 내륙 집단과 차이가 나타남(유전적동질성 : 0.9이하)

- 집단별 유전다양성 확보를 위한 개체선발 기술 개발

* 지리산 : 개체간 36m 이상 간격을 두고 개체 선발

* 한라산 : 개체간 25m 이상 간격을 두고 개체 선발

 

<구상나무 개체선발 전략(좌: 한라산_영실, 우: 한라산_진달래밭)>

 

 

 

② 복원대상지 선정기술 개발(’15∼’22년)

 

❍ 대상 : 구상나무 집단(지리산, 한라산, 금원산)

 

❍ 주요 내용

 

- 대규모 집단 복원대상지 선정기술 개발

* 복원재료 유묘의 생육가능 환경 분석을 위한 고정조사구 선정 및 환경특성 구명

- 잔존집단 복원대상지 관리기술 개발을 위한 환경조건 구명

* (’19년)금원산 복원대상지 조성(5년생 1,350본 0.3ha) 및 모니터링

 

<금원산 복원시험지 조성(좌: 복원재료, 중: 헬기운송, 우: 복원재료 식재)>

 

 

③ 복원재료 확보 및 보존원조성을 통한 복원기반 구축

 

❍ 대상 : 구상나무 집단(지리산, 한라산, 금원산)

 

❍ 주요 내용

 

- 대규모 집단 종자 수집(지방청 수집을 통한 확보)

* 한라산 구상나무 종자는 난아연에서 수집 및 관리

- 소규모 집단 무성증식을 통한 보존원 조성

* 적은 개체수로 인한 종자 수집 어려움으로 접목을 통한 무성증식 수행

- 균근균을 활용한 구상나무 초기활착 증진기술 개발

* 모래밭버섯균 및 OI균을 활용한 유묘 초기활착 증진기술 개발

- 구상나무 복원재료 양묘 및 보존원 조성

* 9년생 구상나무 묘목(700본) 등 7,000본 양묘, 한라산 구상나무 보존원 조성(101가계 1,790본)

 

구상나무 실생묘 / 구상나무 접목묘

 

 

기대 효과

 

❍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구상나무 등 침엽수종 유전다양성 복원 기술 마련

 

❍ 복원시험지 조성을 통한 현장 적용 기술 개발 및 초기활착율 증진 기술 개발을 통한 복원 가능성 제고

 

❍ 체계적 복원체계 구축을 통한 국제협약 및 산림정책 지원 기여

 

* 제6차 산림기본계획의 5-1 산림생명다양성의 지속적인 관리기반 구축, 5-2 산림생물다양성 평가체계 구축, 5-5 한반도 주요산림 훼손지 복원 목표 달성 기여

 

 


 

 

반응형

 

 

한편, 9월 15일(목) 금원산 복원시험지에서 현장토론회를 열고 ▲복원시험지 초기 활착 성공의 의미 ▲복원시험지 환경 개선 방안 ▲현지외 보존원 조성 ▲구상나무 증식 관리 ▲향후 구상나무 복원시험지 중·장기 모니터링 전략 마련을 위한 토론을 진행하였다.

 

구상나무는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등 한반도 중부(속리산) 이남 지역에서만 자라는 우리나라 특산수종이다.

 

세계자연보존연맹(IUCN)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었으며 특히 금원산(해발, 1,353m)은 대표적인 구상나무 소규모집단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소멸위협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2021.09.24 - [기후] - [기후위기] ‘붉은 지구’ 3부 - 구상나무의 경고

 

[기후위기] ‘붉은 지구’ 3부 - 구상나무의 경고

KBS 다큐 인사이트 기후변화 특별기획 4부작  ‘붉은 지구’ 3부 - 구상나무의 경고 대한민국 온난화 속도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나라 중 하나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세계 최고 수준이

thecce.kr

 

 

 

 

 

728x90
반응형
BI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