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유관기관의 자료*, 배출권거래제 정보 등을 활용하여 추계한 2020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을 6월 8일 공개했다.
* 2020년 에너지월보, 수출입통계, 가축동향조사 등
○ 이번 잠정배출량은 온실가스 감축 정책의 수립 및 이행점검을 위해 확정 통계보다 1년 앞서 잠정 추계한 결과다.
□ 2020년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은 6억 4,860만톤으로, 전년 잠정치 대비 7.3%, 현재까지 최정점을 기록했던 2018년 7억 2,760만톤 대비 10.9%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9년에 이어 통계를 집계한 1990년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감소한 사례가 될 전망이다.
○ 분야별로 살펴보면 에너지 분야와 산업공정 분야가 전년대비 각각 7.8%, 7.1%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 에너지 분야에서 배출량이 크게 감소한 이유는 발전, 화학, 철강 등 산업부문과 수송 부문에서 에너지 소비가 줄었기 때문이다.
○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미세먼지‧기후변화 대응 정책*에 따른 석탄 발전량 감소**(13.6%↓), 신재생 발전량 증가(12.2%↑), 총발전량 감소***(1.9%↓) 등의 영향으로 발전‧열생산 부문 배출량이 전년대비 3,100만톤 감소(12.4%↓)한 것으로 추정됐다.
* 가동중지, 출력제한 등으로 석탄발전 설비이용률 감소(’19년 70% → ’20년 61%)
** 미세먼지 계절관리제에 따른 석탄발전 가동축소로 1차 기간(’19.12∼’20.3) 약 1,100만톤, 2차 기간(’20.12∼’21.3) 약 800만톤 감소 추정
*** ’19년 563 테라와트시(TWh) → ’20년 552 테라와트시(TWh) (자료 : 전력통계속보)
○ 수송 부문은 유류가격이 하락했음에도 코로나19에 의한 여행‧이동 자제의 영향과* 저공해차 보급 확대** 등 감축 정책의 효과로 배출량이 2019년 대비 410만톤 감소(4.1%↓)한 것으로 추정됐다.
* 코로나19에 따른 ‘집합금지 및 거리두기’ 시행으로 휘발유, 경유 소비량이 각각 2%, 5% 감소,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은 전년동기 대비 3% 하락
** 저공해차(전기‧수소‧하이브리드) 보급대수(천대) : ’19년 583 → ’20년 796(36%↑) (자료 :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 산업부문은 생산량 감소에 따라 배출량이 감소됐으며, 세부적으로는 전년대비 화학 350만톤(7.6%↓), 철강 240만톤(2.5%↓), 시멘트 220만톤(8.9%↓)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 한편, 가정부문은 전년대비 소폭 증가(0.3%↑)한 것으로 추정되며, 상업‧공공부문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도시가스 사용이 줄어(11%↓) 배출량이 전년보다 150만톤 감소(9.9%↓)한 것으로 추정됐다.
□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면서, 국가의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는 국내 총생산(GDP) 대비 배출량 및 인구당 온실가스 배출량 역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 2020년 ‘국내 총생산(GDP) 10억원당 배출량’은 354톤으로, 온실가스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인 것으로 추정됐다.
○ 배출량 원단위 개선은 2020년 국내총생산(GDP, 실질)이 전년보다 1% 감소한 데 반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미세먼지·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석탄발전 감소, 배출권거래제** 등으로 7.3%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 국내총생산(GDP) 대비 배출량(톤/10억원) 연도별 추이
- (’17년) 403 → (’18년) 402 → (’19년, 잠정) 378 → (’20년, 잠정) 354
** 배출권거래제 배출량(백만톤) : ’18년 601.5 →’19년 587.9(2.3%↓) → ’20년 554.9(5.6%↓)
○ 2020년 ‘1인당 배출량’은 12.5톤으로, 전년 대비 7.4%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톤/명) 연도별 추이
- (’17년) 13.8 → (’18년) 14.1 → (’19년, 잠정) 13.5 → (’20년, 잠정) 12.5
2020년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 |
■ 전체 배출량 추이
○ 2010년 656.3백만톤에서 지속 증가하여 ’18년 727.6백만톤으로 정점
○ 2019년 699.5백만톤, 2020년 648.6백만톤으로 2년 연속 감소세
구 분 | 확정 | 잠정* |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
총배출량 (전년 대비 증감률) |
692.5 | 693.5 | 709.7 | 727.6 | 699.5 | 648.6 |
(0.1%) | (2.3%) | (2.5%) | (-3.9%) | (-7.3%) | ||
에너지 | 600.7 | 602.7 | 615.7 | 632.4 | 611.2 | 563.7 |
(0.3%) | (2.2%) | (2.7%) | (-3.3%) | (-7.8%) | ||
산업공정 | 54.3 | 53.2 | 55.9 | 57.0 | 51.0 | 47.4 |
(-1.9%) | (5.1%) | (1.9%) | (-10.5%) | (-7.1%) | ||
농업 | 21.0 | 20.8 | 21.0 | 21.2 | 21.0 | 21.3 |
(-0.8%) | (0.7%) | (1.1%) | (-0.8%) | (1.2%) | ||
폐기물 | 16.6 | 16.8 | 17.2 | 17.1 | 16.3 | 16.3 |
(1.7%) | (2.2%) | (-0.7%) | (-4.5%) | (-0.1%) |
* ’19년 잠정치는 ’20.5월 분석한 잠정치에 최근정보를 반영하여 보완‧분석한 결과이며, ’20년 잠정치는 에너지월보, 수출입통계, 배출권거래제 정보, 가축동향조사 등 유관정보를 활용하여 추정한 잠정배출량
■ 주요 감소 부문
‣ 감소 기여율 : ①발전‧열생산 61%, ②수송 8%, ③화학 7%, ④철강 5% 등 ※ 총감소량(5,100만톤) 대비 부문 감소량 비율 |
○ (발전‧열생산) 발전량 감소(1.9%↓) 및 우리 정부의 미세먼지‧기후변화 대응 정책에 따른 석탄화력 발전량 감소**(13.6%↓) 등으로 배출량 31백만톤 감소(12.4%↓)
* (전력 판매량) 제조업 -4%, 서비스업 -2%, 가정용 5%
(냉방도일이 28% 감소했으나, 연중 사회적 거리두기로 가정 내 소비 증가)
** (석탄 감소) 가동중지(8∼15기 ’20.1∼2월, 21∼28기 ’20.3월, 최대 17기 ’20.12월), 출력제한(49기 ’20.1∼2월, 37기 ’20.3월, 46기 ’20.12월), 석탄 설비이용률 70%(’19) → 61%(’20) 감소
구 분 | ’18년 발전량 (비중) |
’19년 발전량 (비중) |
’20년 발전량 (비중) |
계 | 570.6 | 563.0 | 552.1 |
(100%) | (100%) | (100%) | |
원자력 | 133.5 | 145.9 | 160.2 |
(23%) | (26%) | (29%) | |
석탄 | 239.0 | 227.4 | 196.5 |
(42%) | (40%) | (36%) | |
LNG | 152.9 | 144.4 | 145.9 |
(27%) | (26%) | (26%) | |
신재생 등* | 39.5 | 42.1 | 47.3 |
(7%) | (7%) | (9%) | |
유류 | 5.7 | 3.3 | 2.3 |
(1%) | (1%) | (0.4%) |
※ (출처) 발전량 : 전력통계속보 제508호(한국전력공사)
* 태양광, 풍력, 바이오에너지, 양수, 기타(증류탑폐열, 여열회수, 천연가스압터빈 등) 발전량 포함
○ (수송) 배출량 4.1백만톤 감소(4.1%↓)
구 분 | ’18년(확정안) | ’19년(잠정치) | ’20년(잠정치) |
배출량(백만톤 CO2eq.) | 98.1 | 99.9 | 95.8 |
국제유가(US$/bbl, Dubai유) | 69.4 | 63.5 | 42.2 |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백만 대) | 1,526 | 1,660 | 1,614 |
저공해차 보급대수(천 대) | 444 | 583 | 796 |
※ (출처) 유류가격 : 에너지통계월보(에너지경제연구원), 교통량 : 고속도로 공공데이터 포탈(한국도로공사), 저공해차 보급대수 :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 (화학) 배출량 3.5백만톤 감소(7.6%↓)
구 분 | ’18년(확정안) | ’19년(잠정치) | ’20년(잠정치) |
배출량(백만톤 CO2eq.) | 46.0 | 46.6 | 43.0 |
기초유분 6종 생산량(천톤) | 31,141 | 31,819 | 30,324 |
석유화학업 생산지수(2015=100) | 109 | 107 | 103 |
※ (출처) 기초유분(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벤젠, 톨루엔, 자일렌) : 석유화학협회자료,
생산지수: 광업제조업동향조사(산업연구원)
○ (철강) 배출량 2.4백만톤 감소(2.5%↓)
구 분 | ’18년(확정안) | ’19년(잠정치) | ’20년(잠정치) |
배출량(백만톤 CO2eq.) | 95.3 | 96.3 | 93.9 |
제철용 유연탄 공급량(천톤) | 34,619 | 34,959 | 33,797 |
전로강 생산량(천톤) | 48,280 | 48,715 | 46,261 |
※ (출처) 유연탄 : 에너지통계월보(에너지경제연구원), 전로강 : 철강협회자료, 생산지수 : 광업제조업동향조사(산업연구원)
○ (시멘트) 배출량 2.2백만톤 감소(8.9%↓)
구 분 | ’18년(확정안) | ’19년(잠정치) | ’20년(잠정치) |
배출량(백만톤 CO2eq.) | 24.7 | 24.9 | 22.7 |
시멘트 생산량(천톤) | 41,718 | 41,876 | 38,809 |
시멘트 생산지수(2015=100) | 100 | 94 | 86 |
※ (출처) 생산량 : 사업보고서(전자공시시스템), 생산지수 : 광업제조업동향조사(산업연구원)
○ (상업‧공공) 배출량 1.5백만톤 감소(9.9%↓)
구 분 | ’18년(확정안) | ’19년(잠정치) | ’20년(잠정치) |
배출량(백만톤 CO2eq.) | 15.1 | 14.7 | 13.3 |
난방도일(도일) | 2,763 | 2,526 | 2,499 |
상업‧공공 도시가스 소비(천 toe) | 3,812 | 3,708 | 3,303 |
※ (출처) 에너지통계월보(에너지경제연구원)
○ (F-gas 소비) 배출량 0.7백만톤 감소(4.9%↓)
* 반도체‧액정 분야는 생산지수가 증가했음에도 배출권거래제 정책 효과로 배출량은 감소
구 분 | ’18년(확정안) | ’19년(잠정치) | ’20년(잠정치) |
배출량(백만톤 CO2eq.) | 20.8 | 14.7 | 14.0 |
냉매가스 HFC-134a 순수입량(톤) | 6,483 | 4,624 | 4,337 |
반도체 생산지수(2015=100) | 168 | 188 | 233 |
※ (출처) 냉매 : 수출입통계(관세청), 생산지수 : 광업제조업동향조사(산업연구원)
* 중전기기(’20년) 배출량은 직전년도 배출량 적용
■ 주요 증가 부문
○ (가정) 배출량 전년수준 유지(0.3%↑)
구 분 | ’18년(확정안) | ’19년(잠정치) | ’20년(잠정치) |
배출량(백만톤 CO2eq.) | 33.8 | 32.0 | 32.0 |
평균기온(℃) | 12.9 | 13.5 | 13.2 |
난방도일(도일) | 2,763 | 2,526 | 2,499 |
가정부문 도시가스 소비(천 toe) | 10,901 | 10,479 | 10,886 |
※ (출처) 에너지통계월보(에너지경제연구원)
○ (축산) 배출량 0.3백만톤 증가(2.7%↑)
< 축산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 ’18년(확정안) | ’19년(잠정치) | ’20년(잠정치) |
배출량(백만톤 CO2eq.) | 9.4 | 9.6 | 9.9 |
한육우 사육두수(천두) | 3,086 | 3,202 | 3,353 |
※ (출처) 가축동향조사(통계청)
■ 국내 총생산(GDP) 대비 및 인구당 온실가스 잠정배출량
○ 국내 총생산 대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
-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실질 GDP 감소(1.0%↓)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이 더욱 감소(7.3%↓)하여 GDP 당 배출량도 전년대비 6.4% 감소한 354 톤CO2eq/십억원 추정
○ 인구당 온실가스 잠정배출량
- 2020년 인구당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12.5 톤CO2eq.으로 전년 대비 7.4% 감소, 1990년 대비 84% 증가 추정
< 국내총생산, 인구 및 배출량 추이 >
구 분 | ’18년 | ’19년(잠정) | ’20년(잠정) |
실질 GDP(십억원) | 1,812,005 | 1,848,959 | 1,831,250 |
인구(백만명) | 51.6 | 51.7 | 51.8 |
온실가스 배출량(백만톤CO2eq) | 727.7 | 699.5 | 648.6 |
GDP당 잠정배출량(톤CO2eq/십억원) | 402 | 378 | 354 |
인구당 잠정배출량(톤CO2eq/명) | 14.1 | 13.5 | 12.5 |
※ (출처) GDP : 통계청 나라지표
▶ 용어 설명
○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인벤토리)
- 인간의 인위적 활동에 따른 온실가스의 배출원(sources)에 의한 배출량(emissions) 및 흡수원(sinks)에 의한 흡수량(removals)의 목록
○ CO2 환산량(Carbon dioxide equivalent, CO2eq.)
- IPCC에서 1995년 발표한 제2차 평가보고서의 지구온난화지수에 따라, 주요 직접온실가스 배출량을 CO2로 환산한 단위
○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협의체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 기후변화에 대처하고자 세계기상기구와 유엔환경프로그램이 공동으로 설립(1988년)한 정부간 협의체
○ 총배출량
- 토지이용, 토지이용변화 및 임업(Land-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LULUCF) 분야를 제외한 나머지 분야의 배출량을 합산한 값
○ 순배출량
- LULUCF 분야를 포함하여 합산한 배출량
○ 오존층 파괴물질(Ozone Depleting Substances, ODS) 대체물질
- 몬트리올 의정서에 따라 폐기되는 오존층 파괴물질의 대체재. 냉매, 방재, 에어로졸, 용매, 발포제 등에서 사용되는 물질로 온실가스(수소불화탄소(HFCs) 및 과불화탄소(PFCs))를 의미
○ 난방도일
- 일 평균기온과 기준 온도(18℃)의 차이를 합산한 것으로, 건물의 난방 수용을 예측하는데 쓰임
'기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 지구 온도 1℃ 상승 시나리오 (0) | 2021.06.17 |
---|---|
[Climate] CO2 Reaches a Dangerous Milestone (0) | 2021.06.13 |
[기후] 산림청·육군, 기후변화 대응 협력 (0) | 2021.05.31 |
[P4G] 2021 P4G 서울정상회의 'WAKE UP CALL' (0) | 2021.05.29 |
[기후] 우리나라 극한기후 변화 경향 (0) | 2021.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