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

[GHG] 202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확정)

by TheCCE 2022. 10. 26.
728x90
반응형
SMALL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서흥원)는 ‘국가 온실가스 통계관리위원회(위원장 환경부 차관)’ 심의를 통해 202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년보다 6.4% 감소한 6억 5,622만 톤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 이번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에서 전년 대비 배출량이 가장 크게 감소한 부문은 발전·열생산으로 3,068만 톤(12.3%)이 줄었으며, 도로수송(421만톤, 4.3%), 기타제조업(비금속 등) (338만톤, 8.6%) 등이 뒤를 이었다.

 

○ 반면, 에너지 분야 화학산업에서 전년 대비 53만 톤(1.1%), 농림어업 에너지 소비에서 44만 톤(11.1%) 등 일부 부문에서는 배출량이 증가했다.

 

 

< 2022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1990〜2020) >

 

 

 

 

< 분야별 배출량 증감 원인 분석>

 

 

에너지 분야의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86.8%에 해당하는 5억 6,992만 톤으로, 전년보다 4,165만 톤(6.8%)이 감소했다.

 

○ 발전‧열생산 부문은 전력수요 감소에 따른 발전량* 감소(1.9%)와 미세먼지 대책에 따른 석탄화력 발전량 감소(13.7%) 등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전년보다 3,068만 톤(12.3%) 줄었다.

 

* 2019년 563.0 테라와트시(TWh) → 2020년 552.2 테라와트시(TWh) (1.9%↓) (자료 : 2021년 에너지통계연보)

 

○ 제조업·건설업의 배출량은 전년보다 602만 톤이 감소(3.2%)했다. 항목별로는 철강 330만 톤(3.4%), 기타제조업(비금속 등) 338만 톤(8.6%)*이 감소한 반면, 화학 53만 톤(1.1%)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건설경기 악화에 따른 시멘트 생산 감소로 비금속 유연탄 공급량 14.7% 감소(자료 : 2022년 에너지통계월보)

 

○ 도로수송 부문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유류 소비량*이 감소함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년보다 421만 톤(4.3%)이 감소했다.

 

* 휘발유, 경유 소비량 각각 1.9%, 3.5% 감소(자료 : 2022년 에너지통계월보)

 

○ 가정·상업‧공공에서도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난방용 도시가스 수요 감소, 연료대체* 등으로 인해 배출량이 전년보다 205만 톤(4.5%)이 감소했다.

 

* (상업·공공) 도시가스 소비 11.3% 감소, (가정) 유류→가스 소비 대체(자료 : 2022년 에너지통계월보)

 

 

 

산업공정 분야 2020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7.4%에 해당하는 4,853만 톤으로, 전년보다 7%가 감소했다.

 

○ 부문별로는 광물산업 부문에서 277만 톤(7.9%)이, 화학산업 부문에서 3만톤(3.1%)이, 금속산업 부문에서 5만 톤(28.1%)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 불소계 온실가스는 오존층파괴물질(Ozone Depleting Substances, ODS) 대체물질 사용과 반도체‧액정 생산 항목에서의 소비감소 등으로 전년보다 79만 톤(4.9%)이 감소했다.

 

 

 

농업 분야의 2020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3.2%에 해당하는 2,105만 톤으로, 전년보다 9만 톤(0.4%)이 증가했다.

 

○ 세부적으로는 장내발효* 15만 톤(3.4%), 가축분뇨 9만 톤(1.9%), 농경지토양 5만 톤(1.0%)이 증가한 반면, 벼재배에서 22만톤(3.6%), 작물잔사소각에서 0.1만 톤(4.6%)이 감소했다.

 

* 소, 돼지 등의 가축이 사료를 소화시킬 때 온실가스인 메탄이 발생

 

 

 

폐기물 분야의 2020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2.5%에 해당하는 1,673만 톤으로, 전년보다 21만 톤(1.3%)이 증가했다.

 

○ 세부적으로는 매립 0.4만 톤(0.1%), 하폐수처리 7만 톤(4.8%), 소각 19만 톤(2.9%)이 증가한 반면, 기타부문에서 5만 톤(5.9%)이 감소했다.

 

 

 

<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2020년 기준) >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2020년 기준)

 

 

토지이용, 토지이용변화 및 임업(LULUCF*) 분야의 2020년 흡수량은 3,788만 톤으로, 전년대비 166만 톤(0.4%)이 증가했다.

 

* 토지이용, 토지이용변화 및 임업(Land-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을 뜻하며, 흡수원(산림지, 초지)과 배출원(농경지, 습지)로 구성

 

○ 산림지는 전년대비 산림지 면적 감소 둔화, 산불 피해면적 감소 등에 따라 흡수량이 26만 톤(0.6%)이 증가했다.

 

○ 산림지 이외에서는 초지 부문에서 2만 톤이 흡수됐고, 농경지 및 습지 부문에서 각각 283만 톤, 32만 톤이 배출됐다.

 

 

 

< 온실가스 종류별 배출량 >

 

 

□ 국내 6대 온실가스별 비중은 이산화탄소(CO2)가 91.4%로 가장 높으며, 메탄(CH4) 4.1%, 아산화질소(N2O) 2.1%, 수소불화탄소(HFCs) 1%, 육불화황(SF6) 0.8%, 과불화탄소(PFCs) 0.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이산화탄소(CO2)는 93.5%가 연료연소에서 발생하며, 2019년 대비 6.9%가 감소했다.

 

○ 메탄(CH4)은 폐기물매립(28.5%), 벼재배(21.0%), 장내발효(17.5%), 탈루(15.5%)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전년보다 0.4%가 줄었다.

 

○ 아산화질소(N2O)는 농경지토양(39.7%), 가축분뇨처리(25.5%), 연료연소(20.9%) 등에서 주로 발생하며, 전년 대비 1%가 감소했다.

 

○ 수소불화탄소(HFCs)는 냉장고 기기의 냉매제 등 사용(89.2%) 과정에서, 과불화탄소(PFCs)는 반도체․액정을 생산(100%)하는 과정에서, 육불화황(SF6)은 반도체․액정(34.5%) 및 중전기기*(65.0%) 제작과정 등에서 주로 배출되며, 이들 물질의 총배출량은 전년대비 4.9% 감소했다.

 

* 전력 관리를 위한 전기기구(전기 개폐기 등) 제작·사용·폐기 과정에서 육불화황(SF6) 배출

 

 

 

< 국내 총생산액(GDP) 및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 >

 

 

□ 국가의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는 국내 총생산액(GDP) 및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국내 총생산액(GDP) 10억 원 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357톤으로 2019년 378톤에 비해 5.7%가 개선됐다.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12.7톤으로 2019년 13.6톤에 비해 6.5%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이번에 발표한 202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은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확정하는 공식 통계로서 2021년 6월 공개한 2020년 잠정치(6억 4860만톤)보다 1.2% 높게* 산정되었다고 밝혔다.

 

* 분야별로는 에너지 1.1%, 산업공정 2.5%, 폐기물 2.5% 증가, 농업 1.0% 감소

 

 

 


 

 

 

202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확정)

 

 

□ 총괄

 

 

○ ’20년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656.2 백만톤CO2eq.으로 ’90년 대비 124.7% 증가, 전년보다 6.4% 감소한 수준

 

* 292(’90)→ 503(’00) → 656(’10) → 727(’18) → 701백만톤(’19) → 656백만톤(’20)

 

 

□ 분야별 증감원인

 

 

○ 전년대비 에너지(6.8%↓), 산업공정(7.0%↓), 농업(0.4%↑), 폐기물(1.3%↑)

 

- (감소) 1)공공 전기‧열 생산(’19년 대비 30.7백만톤, 12.3%↓), 2)도로수송(4.2백만톤, 4.3%↓), 3)기타제조업(비금속 등)(3.4백만톤, 8.6%↓), 4)철강(3.3백만톤, 3.4%↓)

 

* 1)석탄 발전량 급감(-13.7%), 2)코로나19로 유류소비량 감소(휘발유 -1.9%, 경유 -3.5%), 3)시멘트 생산감소로 석탄 소비감소(-14.7%), 4)유연탄 공급량 감소(-3.3%)

 

- (증가) 1)화학(에너지)(’19년 대비 0.5백만톤, 1.1%↑), 2)농림어업(에너지)(0.4백만톤, 11.1%↑), 3)폐기물 소각(0.2백만톤, 2.9%↑)

 

* 1)원료 사용량 증가(LPG 6.4%, LNG 2.7%), 2)경유 소비량 증가(8.8%), 3)사업장 폐기물 소각처리량 증가(16.5%)

 

 

 

□ 배출량 원단위

 

 

○ GDP당 배출량은 전년 대비 5.7% 감소한 357톤/10억원으로 ’90년 이후 최저치이며, 인구당 배출량은 6.5% 감소한 12.7톤/명

 

 

 

 

1. 에너지 분야

 

 

○ (총괄) 에너지 분야의 ’20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86.8%에 해당하는 569.9백만톤으로 ’90년 대비 137.2% 증가, 전년보다 6.8% 감소

 

- (부문비중) 연료연소 배출량은 565.7백만톤으로 에너지 분야 배출량의 대부분인 99.3%를 차지하며, 탈루 부문은 0.7% 배출

 

* (부문내 비중) 에너지산업(41.6%), 제조업․건설업(31.9%), 수송(16.9%), 기타 및 미분류(8.9%), 탈루(0.7%)

 

○ 주요 증감항목

 

- (발전·열생산) ’19년 248.7백만톤 → ’20년 218.1백만톤(30.7백만톤↓, 12.3%↓)

 

* 총 발전량 1.9% 감소(563.0 TWh → 552.2TWh)

 

 

< 에너지원별 발전량 및 배출량 추이 >

 

구 분 ’19년 ’20년 증감률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248.7 218.1 -12.3%
총 발전량(TWh) 563.0 552.2 -1.9%
  석탄 227.4 196.3 -13.7%
원자력 145.9 160.2 9.8%
가스 144.4 145.9 1.1%
신재생 등* 42.1 47.5 12.8%
유류 3.3 2.3 -31.5%

※ (출처) 발전량 : 에너지통계연보
* 수력, 기타(부생가스, 증류탑 폐열, 여열회수, 천연가스압터빈) 포함

 

 

- (철강) ’19년 96.4백만톤 → ’20년 93.1백만톤(3.3백만톤↓, 3.4%↓)

 

* 전로강 생산량 감소(5.0%)함에 따라 유연탄 공급량 3.3% 감소

 

- (제조‧건설업-기타) ’19년 39.4백만톤 → ’20년 36.0백만톤(3.4백만톤↓, 8.6%↓)

 

* 건설경기 악화에 따른 시멘트 생산 감소로 비금속 유연탄 공급량 14.7% 감소

 

- (도로수송) ’19년 97.5백만톤 → ’20년 93.2백만톤(4.2백만톤↓, 4.3%↓)

 

*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집합금지 및 거리두기’ 시행으로 휘발유, 경유 소비량이 각각 1.9%, 3.5% 감소

 

 

< 도로수송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 ’20년 증감률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97.5 93.2 -4.3%
국제유가(US$/bbl, Dubai유) 64 42 -34%
국내 휘발유 소비량(천kℓ) 12,868 12,622 -1.9%
국내 경유 소비량(천kℓ) 23,001 22,205 -3.5%

※ (출처) 에너지통계월보(에너지경제연구원)

 

 

- (상업/공공·가정) ’19년 45.6백만톤 → ’20년 43.6백만톤(2.1백만톤↓, 4.5%↓)

 

* 코로나 19로 인한 휴업, 영업시간 축소로 난방용 도시가스 수요 11.3% 감소(가정은 유류가 가스 소비로 대체되며 배출량 0.3백만톤, 1.0% 감소)

 

 

< 상업/공공·가정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 ’20년 증감률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45.6 43.6 -4.5%
상업·공공부문
도시가스 소비(천 toe)
3,708 3,289 -11.3%
가정부문
도시가스 소비(천 toe)
10,479 10,900 4.0%

※ (출처) 에너지통계월보(에너지경제연구원)

 

 

 

2. 산업공정 분야

 

 

○ (총괄) 산업공정 분야의 ’20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7.4%에 해당하는 48.5백만톤으로 ’90년 대비 137.4% 증가, 전년보다 7.0% 감소

 

- (부문비중) 광물산업이 산업공정 배출량의 66.6%를 차지하며, 할로카본 및 육불화황 소비 31.2%, 화학산업 1.9%, 금속산업 0.3% 순

 

○ 주요 증감항목

 

- (시멘트 생산) ’19년 24.9백만톤 → ’20년 22.7백만톤(2.2백만톤↓, 8.9%↓)

 

* 건설경기 하락으로 시멘트용 유연탄 소비 14.7% 감소

 

- (석회 생산) ’19년 4.4백만톤 → ’20년 4.0백만톤(0.4백만톤↓, 8.2%↓)

 

* 생석회, 경소백운석 생산량 각각 8.4%, 7.2% 감소

 

- (냉매 등 사용) ’19년 6.3백만톤 → ’20년 5.9백만톤(0.4백만톤↓, 6.0%↓)

 

* HFCs 순수입량 5.1% 감소

 

- (반도체·액정) ’19년 6.2백만톤 → ’20년 5.9백만톤(0.3백만톤↓, 5.1%↓)

 

* SF6 가스 구입량 9.5% 감소

 

 

 

3. 농업 분야

 

 

○ (총괄) ’20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3.2%인 21.1백만톤으로 ’90년 대비 0.4%, 전년대비 0.4% 증가

 

* (’90년대비 증감추세) 가축 사육두수 증가로 장내발효 60.2%↑, 가축분뇨처리 75.4%↑, 논면적 감소 및 간단관개 면적비율 증가로 벼재배로 인한 배출량 45.9% 감소

 

- (부문비중) 벼재배 부문이 27.1%를 차지하며, 농경지 토양 26.6%, 가축분뇨처리 23.7%, 장내발효 22.5% 순

 

○ 주요 증감항목

 

- (장내발효) ’19년 4.6백만톤 → ’20년 4.7백만톤(0.15백만톤↑, 3.4%↑)

 

* 가축 사육두수 증가(한·육우 4.7%, 양 17.2%)

 

- (벼재배) ’19년 5.9백만톤 → ’20년 5.7백만톤(0.2백만톤↓, 3.6%↓)

 

* 벼재배 면적 0.5% 감소

 

 

 

4. LULUCF 분야

 

 

○ (총괄) ’20년 LULUCF 분야 흡수량은 37.9백만톤으로 ’90년대비 0.2% 감소*, 전년대비 0.4% 증가

 

* (‘90년대비 증감추세) 산림 흡수증가로 2000년 최대흡수 기록 후 흡수량 감소 경향

 

- (부문비중) LULUCF 부문 중 흡수량은 총 41.0백만톤으로, 산림지 부문에서 40.5백만톤이 흡수되었으며, 농경지 및 습지 부문에서는 각각 2.8백만톤, 0.3백만톤 배출

 

○ 주요 증감항목

 

- (산림지) ’19년 -40.3백만톤 → ’20년 –40.5백만톤(-0.3백만톤↑, 0.6%↑)증가

 

① 임목축적 변화량(생장량) 증가 : (‘19) 21,917 천m3 → (‘20) 23,451 천m3

 

② 산림면적 감소폭 둔화 : (‘19) 6.7 천ha → (‘20) 1.1 천ha

 

③ 산불피해면적 감소 : (‘19) 3.3 천ha → (‘20) 2.9 천ha

 

 

< 산림지 흡수량 관련 통계 추이 >

 

구 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18-’19
증감률
’19-’20
증감률
온실가스흡수량
(백만톤 CO2eq.)
-48.7 -43.8 -42.7 -40.3 -40.5 0.6% 0.6%
임목축적량(천m3) 950,486 973,600 995,079 1,016,996 1,040,447 2.3% 2.3%
임목축적 변화량 - 23,114 21,480 21,917 23,451 2.0% 7.0%
산림 면적(천ha) 6,326 6,318 6,305 6,299 6,298 -0.11% -0.02%
산림면적 변화량 - -8.3 -12.0 -6.7 -1.1 -44.2% -16.4%
산불피해면적(ha) 378 1,480 894 3,255 2,920 264% -10.3%

* 출처: 2020년 산림기본통계, 2021 임업통계연보

 

 

 

5. 폐기물 분야

 

 

○ (총괄) ’20년 배출량은 국가 총배출량의 2.5%에 해당하는 16.7백만톤으로 ’90년대비 60.9% 증가, 전년대비 1.3% 증가

 

* (‘90년대비 증감추세) 소각부문 처리량 증가로 배출량 361.3% 증가, 매립부문 배출량은 ’97년 최대치 이후 매립 최소화 정책 등으로 감소경향(’15년 이후 소폭 증가)

 

- (부문비중) 매립 46.2%, 소각 39.4%, 하폐수처리 9.7%, 기타 4.7% 순

 

○ 주요 증감항목

 

- (하·폐수) ’19년 1.5백만톤 → ’20년 1.6백만톤(0.1백만톤↑, 4.8%↑)

 

* 산업폐수 처리부하량 증가(13.1%)로 배출량 증가(자료 : 산업폐수의 발생과 처리)

 

- (소각) ’19년 6.4백만톤 → ’20년 6.6백만톤(0.2백만톤↑, 2.9%↑)

 

* 사업장폐기물 소각처리량 증가(16.5%)로 배출량 증가(자료 :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 폐기물 소각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 ’20년 증감률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6.4 6.6 2.9%
사업장 폐기물 소각량(톤/일) 8,182.9 9,535.9 16.5%

※ (출처)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환경부)

 

 

반응형

 

 

1990~202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 1996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지침에 따른 분류항목*별 배출량

* 5개 분야(대분류), 20개 부문(중분류), 90여개 항목(세분류)으로 구성

 

(단위 : 백만톤 CO2eq.)

분야 및 부문 1990 2000 2010 2018 2019 2020 ’90년 대비
’20년 증감률
’19년 대비
’20년 증감률
에너지 240.3 411.6 565.7 632.6 611.6 569.9 137.2% -6.8%
A. 연료연소 235.2 408.9 561.9 628.2 607.4 565.7 140.5% -6.9%
1. 에너지산업 48.4 136.1 254.8 286.4 266.2 237.0 390.2% -11.0%
2. 제조업 및 건설업 76.6 130.6 162.9 188.0 187.6 181.6 137.2% -3.2%
3. 수송 35.5 69.9 85.4 98.1 101.0 96.2 171.0% -4.8%
4. 기타(가정,
상업/공공, 농림어업)
74.6 69.8 55.8 52.5 49.6 48.0 -35.7% -3.2%
5. 미분류 0.2 2.4 2.9 3.1 2.9 2.9 1502.0% -1.2%
B. 탈루 5.1 2.7 3.8 4.4 4.2 4.2 -17.7% 0.2%
1. 고체연료 4.8 1.2 0.6 0.3 0.3 0.3 -94.1% -6.0%
2. 석유 및 천연가스 0.3 1.5 3.2 4.1 3.9 3.9 1302.5% 0.7%
산업공정 20.4 50.9 53.0 55.8 52.2 48.5 137.4% -7.0%
A. 광물산업 18.8 29.7 31.7 35.0 35.1 32.3 71.8% -7.9%
B. 화학산업 0.4 7.5 0.7 1.0 0.9 0.9 144.6% -3.1%
C. 금속산업 0.1 0.1 0.3 0.2 0.2 0.1 42.7% -28.1%
E. 할로카본 및 SF6 생산 1.0 3.2 0.0001 - - - - - 
F. 할로카본 및 SF6 소비 0.2 10.3 20.4 19.6 15.9 15.1 8633.2% -4.9%
농업 21.0 21.4 22.1 21.1 21.0 21.1 0.4% 0.4%
A. 장내발효 3.0 3.4 4.3 4.5 4.6 4.7 60.2% 3.4%
B. 가축분뇨처리 2.8 3.9 4.8 4.9 4.9 5.0 75.4% 1.9%
C. 벼재배 10.5 8.9 7.8 6.3 5.9 5.7 -45.9% -3.6%
D. 농경지토양 4.6 5.2 5.2 5.5 5.5 5.6 21.7% 1.0%
F. 작물잔사소각 0.03 0.02 0.02 0.01 0.02 0.02 -44.5% -4.6%
폐기물 10.4 18.9 15.4 17.4 16.5 16.7 60.9% 1.3%
A. 폐기물매립 7.5 9.5 7.8 7.8 7.7 7.7 3.2% 0.1%
B. 하폐수처리 1.5 1.6 1.7 1.7 1.5 1.6 9.6% 4.8%
C. 폐기물소각 1.4 7.6 5.6 7.1 6.4 6.6 361.3% 2.9%
D. 기타 - 0.1 0.3 0.8 0.8 0.8 -  -5.9%
총배출량(LULUCF 제외) 292.1 502.7 656.1 727.0 701.2 656.2 124.7% -6.4%
(참고) LULUCF 배출‧흡수량 -37.9 -60.1 -56.1 -40.3 -37.7 -37.9 -0.2% 0.4%
A. 산림지 -38.2 -61.4 -58.8 -42.7 -40.3 -40.5 6.0% 0.6%
B. 농경지 0.4 2.2 3.3 2.7 2.8 2.8 538.6% 2.2%
C. 초지 -0.6 -0.7 -0.2 -0.04 -0.02 -0.02 -97.6% -33.0%
D. 습지 0.3 0.3 0.3 0.3 0.3 0.3 9.3% 2.0%
G. 수확된 목재제품 0.2 -0.5 -0.6 -0.7 -0.5 -0.5 -338.3% -3.6%
순배출량(LULUCF 포함) 254.2 442.6 600.0 686.6 663.5 618.3 143.3% -6.8%

 

 

※ 용어 설명

 

○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인벤토리)

- 인간의 인위적 활동에 따른 온실가스의 배출원(sources)에 의한 배출량(emissions) 및 흡수원(sinks)에 의한 흡수량(removals)의 목록

 

○ CO2 환산량(Carbon dioxide equivalent, CO2eq.)

- IPCC에서 1995년 발표한 제2차 평가보고서의 지구온난화지수에 따라, 주요 직접온실가스 배출량을 CO2로 환산한 단위

 

○ 기후변화에 대한 정부간 협의체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 기후변화에 대처하고자 세계기상기구와 유엔환경프로그램이 공동으로 설립(1988년)한 정부간 협의체

 

○ 총배출량

- 에너지, 산업공정, 농업, 폐기물 분야의 배출량을 합산한 값

* 토지이용, 토지이용변화 및 임업(Land-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LULUCF) 분야는 순배출량에만 반영

 

○ 순배출량

- 총배출량에 LULUCF 분야의 흡수량을 반영하여 합산한 배출량

 

○ 오존층 파괴물질(Ozone Depleting Substances, ODS) 대체물질

- 몬트리올 의정서에 따라 폐기되는 오존층 파괴물질의 대체재. 냉매, 방재, 에어로졸, 용매, 발포제 등에서 사용되는 물질로 온실가스(수소불화탄소(HFCs) 및 과불화탄소(PFCs))를 의미

 

○ 중전기기

- 무게가 비교적 무거운 전기기구(변압기, 개폐기 등)를 통틀어 지칭

 

○ 장내발효

- 소, 돼지 등의 가축이 사료를 소화시킬 때 발생하는 메탄가스

 

 

 


 

 

 

서흥원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2018년 이후 2년 연속으로 감소했다”라며, “다만, 2021년에는 2020년 대비 배출량 증가가 예상*되므로 앞으로 지속적이고 과감한 온실가스 감축 노력과 실천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6억 7960만톤으로 추정('22.6, 확정 통계는 2023년 하반기)되어 코로나19 충격으로부터 회복이 진전되며 배출량 증가 전망

 

 

202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상세자료는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정보마당(www.gir.go.kr)에서 10월 25일 오후부터 확인할 수 있다.

 

 

 

* 출처 : 환경부

 

 

 

 


 

 

 

 

2022.09.08 - [기후] - [다큐] 기후위기 특별기획, ‘붉은 지구’ (총4부)

 

[다큐] 기후위기 특별기획, ‘붉은 지구’ (총4부)

KBS 기후위기 특별기획 4부작 붉은 지구 [1부] 엔드게임 1.5℃ 붉은지구 - 엔드게임 1.5℃ [2부] 침묵의 바다 붉은지구 - 침묵의 바다 [3부] 구상나무의 경고 붉은지구 - 구상나무의 경고 [4부] 기후혁

thecce.kr

 

 

 

 

2021.10.19 - [정책] - [넷제로]「'50 탄소중립(안)」/ 「'30 NDC 상향(안)」

 

[넷제로]「'50 탄소중립(안)」/ 「'30 NDC 상향(안)」

2050 탄소중립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 개최 2050 탄소중립, 미래 생존을 위한 마지막 기회 ▴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국내 순배출량이 0이 되는 2개안 제시 ▴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thecce.kr

 

 

 

 

 

728x90
반응형
BI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