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상기구(WMO)는 『온실가스 연보(No. 18)』 발간을 통해 2021년 대기 중 전 지구 온실가스 농도가 최대치를 경신하였으며, 특히 메탄 농도는 1,908ppb로 관측 이래 가장 가파른 증가값(2020년 대비 18ppb 증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세계기상기구는 매년 전 세계 지구대기감시(GAW) 관측소 자료를 바탕으로 전 지구 온실가스 평균 농도를 연보에 발표
* 메탄의 경우 2020년 농도는 전년 대비 15ppb 증가, 지난 10년간 평균 증가율은 9.2ppb/년
* 세계기상기구 누리집(public.wmo.int/en)을 통해 연보 제공
< 전 지구 이산화탄소 농도 >
○ 이산화탄소 농도는 415.7ppm으로 전년보다 2.5ppm 증가했고, 아산화질소도 334.5ppb로 전년보다 1.3ppb 증가하여 최대치를 경신했다.
○ 최근 대기 중 메탄 농도가 급격히 증가한 원인에 대해서는 생물 기원(biogenic process)과의 연관성은 분석된 바 있으나, 자연적・인위적 기원의 상대적인 기여도는 명확하지 않아 현재 온실가스 과학자들에게 중요한 연구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이번 연보에서는 전 세계가 함께 메탄의 증가 원인을 분석하고, 메탄 배출량을 줄여 나가야 함이 강조되었다.
○ 이산화탄소는 수년~수백 년 동안 체류하면서 돌이킬 수 없는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메탄은 대기 체류 기간이 9년 정도로 짧으므로, 감축이 이루어진다면 우리 세대에 정책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는 온실가스이다.
○ 따라서 우리가 명확히 알고 있고 줄일 수 있는 화석연료(전체 메탄 배출량의 20% 이상 차지) 등의 감축을 먼저 시작하는 것이 이산화탄소와 더불어 메탄 감축에도 효과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 전 지구 연간 메탄 증가율 >
한편, 이번 연보에는 올해의 관측소로 기상청 제주 고산기후변화감시소가 선정 및 소개되었다.
< 제주 고산기후변화감시소 >
고산기후변화감시소는 1990년부터 우리나라 최초로 온실가스 관측을 시작한 역사적인 관측소로, 현재 세계기상기구뿐 아니라 여러 국제 협업 관계망*에도 가입되어 있다.
* 온실가스 국제관측망(AGAGE), 동아시아 라이다 협력망(AD-Net) 등
< 온실가스 농도 비교 >
WMO 「온실가스 연보」 |
기상청 「지구대기감시보고서」 |
|||||
전 지구 | 안면도 | |||||
CO2 [ppm] |
CH4 [ppb] |
N2O [ppb] |
CO2 [ppm] |
CH4 [ppb] |
N2O [ppb] |
|
2021년 평균 | 415.7 | 1908 | 334.5 | 423.1 | 2005 | 336.1 |
2021년 증가값 [단위] |
2.5 | 18 | 1.3 | 2.7 | 22 | 1.1 |
지난 10년 평균 증가율[단위/year] | 2.5 | 9.2 | 1.0 | 2.7 | 10 | 1.2 |
< 온실가스 농도 변화 비교 >
전지구 vs. 고산 vs. 안면도
① 이산화탄소 농도
(1980년 ~ 2021년)
② 메탄 농도
(1983년 ~ 2021년)
* 출처 : 기상청
2022.07.12 - [기후] - [CO₂] 2021년 한반도 이산화탄소 농도 최대치 경신
2021.10.13 - [정책] - [Pledge] ‘Global Methane Pledge’ (국제메탄서약)
2022.07.26 - [정책] - [UN] Secretary-General ,「Collective Suicide」
'기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럼] ‘아-태지역 탄소중립 달성 협력’ 포럼 (0) | 2022.10.31 |
---|---|
[지진] 충북 괴산군 규모 4.1 지진 발생 현황 (0) | 2022.10.30 |
[GHG] 202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확정) (0) | 2022.10.26 |
[생물] UN 생물다양성협약(CBD) 개요 (0) | 2022.10.24 |
[생물] ‘제주 난대림 멸종위기 식물’ 전시회 (0) | 2022.10.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