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청장 박광석)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기후센터(원장 신도식)는 우리나라에서 재난 및 인명피해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인 하천 홍수발생과 관련된 유역별 극한 강수량의 미래변화 분석결과를 발표하였다.
○ 이번에 발표하는 미래 유역별 극한 강수량 전망은 우리나라 고해상도(1km) 시나리오에 기상청의 대권역별*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을 산정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 기상청 대권역: 기상청에서는 환경부 수자원 단위지도의 21개 대권역 중 가장 면적이 큰 한강유역과 낙동강유역을 세분화하여 26개 대권역으로 분류
**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는 기간으로, 재현빈도 50년은 50년에 한 번 나타날 극한 강수량을 의미
○ 미래 유역별 극한 강수량은 현재(2000~2019년) 대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의 변화량(백분율)으로 정량화하여 분석되었다.
* 저탄소 시나리오(SSP1-2.6): 화석연료 사용을 최소화하고 획기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감축
고탄소 시나리오(SSP5-8.5): 현재와 유사하거나 좀 더 높은 탄소 배출 지속
□ 고탄소 시나리오(SSP5-8.5)의 경우, 100년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 변화율은 현재 대비 21세기 전반기(2021~2040년)/중반기(2041~2060년)/후반기(2081~2100년)에 각각 약 29%/46%/53%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 우리나라 대권역 강수량(100년 빈도)은 현재(187.1~318.4mm) 대비 21세기 전반기 21.4~174.3mm, 중반기 56.0~334.8mm, 후반기에 70.8~311.8mm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저탄소 시나리오(SSP1-2.6)의 경우에는 현재 대비 21세기 전/중/후반기에 100년 빈도 극한 강수량이 각각 약 31%(14.4~162.6mm)/31%(29.5~168.0mm)/ 29%(18.9~136.0mm) 증가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 이는 향후에 탄소중립 정책의 효과로 지구온난화 진행속도가 줄어들 수 있어, 극한 강수의 감소로 인한 홍수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 현재 대비 100년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의 변화율 분포(좌: 저탄소, 우: 고탄소 시나리오) >
□ 권역별로 살펴보면,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100년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 변화율이 50% 이상인 권역의 수는 21세기 전/중/후반기 각각 1개/7개/16개로 전망된다.
< 현재 대비 미래 권역별 100년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 변화 전망 >
○ 21세기 후반기에 100년 빈도 극한 강수량이 한강동해 권역은 약 73%, 낙동강동해 권역은 약 6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도 권역은 다른 권역에 비해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나, 21세기 중반기에 약 78% 증가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 반면, 저탄소 시나리오의 경우에는 100년 빈도 극한 강수량 변화율이 50% 이상인 권역의 수가 21세기 전/중/후반기 각각 2개/3개/1개로, 21세기 후반기 대부분의 권역에서 50% 이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고탄소 시나리오에서 70% 이상 증가했던 한강동해 권역과 낙동강동해 권역은 21세기 후반기에 각각 약 39%와 19%로 증가폭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전망된다.
* 출처 : 기상청
2022.06.02 - [정책] - [UN] Stockholm+50, ‘모두의 번영을 위한 건강한 지구’
'기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극] 해수부, ‘한국 북극협력 네트워크’ 발족 (0) | 2022.06.22 |
---|---|
[생물] 미분화세포 배양 산천어 개체 증식 성공 (0) | 2022.06.22 |
[해양] (6/9)「The Coral Triangle Day (산호 삼각지대의 날)」 (0) | 2022.06.11 |
[기후위기] IPCC, 빨라지는 지구온난화 1.5℃ (0) | 2022.06.05 |
[1.5°C] WMO, 5년내 1.5°C 일시 초과 가능성 50:50 (0) | 2022.05.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