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안침식
해수면 상승, 파도작용, 연안류 등에 의해 해안의 육지가 침식해 소멸되는 현상, 즉 해안선이 육지 쪽으로 후퇴하는 현상이다.
과거 자연회복력을 유지하던 우리나라의 연안은 1980년대부터 기후변화와 무분별한 연안구조물의 설치 등으로 연안침식에 관한 문제가 사회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1. 자연적 연안침식
➊ 기후변화로 인한 침식
기후변화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면 해안선이 육지방향으로 후퇴하는 침식이 발생한다. 특히 지구온난화는 해수면의 상승뿐만 아니라 수온도 함께 상승시켜 태풍의 세력을 강화시키며, 이로 인한 파력(파도의 상하 운동 에너지) 및 파고(파의 골에서 마루까지의 높이)의 증가로 연안침식이 급격히 진행될 수 있다.
➋ 지형적 요인에 따른 침식
파랑(수면과 접하는 대기의 혼란에 의해 발생하는 바다 또는 호수에서 일어나는 수면파)은 연안으로 진입하면서 일반적으로 곶(바다로 돌출한 육지)을 향해 굴절되는데 곶 전면에 파랑에너지가 집중하여 이로 인해 곶 전면은 침식되고 곶 주변에는 퇴적이 발생한다. 또한 지형적 특성에 따라 백사장 침식, 사구 포락, 토사 포락, 호안 붕괴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2. 인위적 연안침식
➊ 연안돌출구조물에 의한 침식
모래의 이동이 많은 연안에 설치된 방파제와 같은 돌출구조물은 모래의 이동을 차단하여 구조물 인접 상류에는 퇴적이 발생하고 하류에는 침식이 발생하게 된다.
➋ 이안제에 의한 침식
이안제는 해변에 작용하는 파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해안선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구조물로써 주로 해수면 아래에 수중방파제의 형태이며 파력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이로 인하여 이안제 인접 후면에 위치한 연안은 침식과 퇴적의 작용이 활성화되게 된다.
➌ 호안에 의한 침식
호안(연안침식이나 경사면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구조물) 설치는 침식에 의한 해안선 후퇴를 방지하기 위한 가장 오래된 공법 이나, 무분별한 호안의 설치는 반사파에 의한 파고증가 등으로 인해 호안의 하부구조가 세굴되어 궁극적으로 붕괴되는 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다.
➍ 퇴적물의 공급감소로 인한 침식
하천으로 공급되는 모래가 하천 상류에 건설되는 댐, 하구둑, 수중보 등의 설치로 인해 연안으로 공급되지 못하여, 모래의 부족으로 인해 침식이 발생한다.
➎ 준설로 인한 침식
골재확보 등을 위해 해양에서 시행되는 준설은 궁극적으로 연안에 공급되는 모래의 공급을 감소시켜 연안의 침식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작용 한다.
➏ 방풍림 조성으로 인한 침식
육지로부터 연안으로 공급되는 비사의 공급체계를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방풍림 조성은 궁극적으로 모래의 공급을 감소시켜 침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해양수산부 2021년도 연안침식 실태조사 결과
□ 연도별 침식등급 현황
구 분 | A등급 | B등급 | C등급 | D등급 | 총개소 | 침식우심률(%) |
2003년 | - | 26 | 28 | 8 | 62 | 58.1 |
2004년 | - | 25 | 29 | 8 | 62 | 59.7 |
2005년 | 2 | 33 | 21 | 6 | 62 | 43.5 |
2006년 | 2 | 30 | 16 | 14 | 62 | 48.4 |
2007년 | 9 | 57 | 34 | 20 | 120 | 45.0 |
2008년 | 9 | 60 | 35 | 16 | 120 | 42.5 |
2009년 | 13 | 52 | 39 | 16 | 120 | 45.8 |
2010년 | 10 | 55 | 65 | 27 | 157 | 58.6 |
2011년 | 3 | 53 | 78 | 26 | 160 | 65.0 |
2012년 | 2 | 44 | 102 | 24 | 172 | 73.3 |
2013년 | 2 | 81 | 129 | 13 | 225 | 63.1 |
2014년 | 10 | 131 | 94 | 15 | 250 | 43.6 |
2015년 | 6 | 95 | 136 | 13 | 250 | 59.6 |
2016년 | 1 | 104 | 115 | 30 | 250 | 58.0 |
2017년 | 3 | 109 | 116 | 22 | 250 | 55.2 |
2018년 | 6 | 95 | 137 | 12 | 250 | 59.6 |
2019년 | 10 | 87 | 136 | 17 | 250 | 61.2 |
2020년 | 4 | 90 | 113 | 43 | 250 | 62.4 |
2021년 | 9 | 196 | 130 | 25 | 360 | 43.1 |
* 침식우심률 : 침식등급에서 C등급(우려)과 D등급(심각)이 차지하는 비율
□ 지자체별 침식등급 현황
지자체 | 총개소 | 침 식 등 급 | 침식우심률(%) (C,D등급/총개소) |
|||
A(양호) | B(보통) | C(우려) | D(심각) | |||
계 | 360 | 9 | 196 | 130 | 25 | 43.1 |
부산광역시 | 9 | 0 | 6 | 3 | 0 | 33.3 |
울산광역시 | 5 | 0 | 4 | 0 | 1 | 20.0 |
인천광역시 | 14 | 0 | 12 | 2 | 0 | 14.3 |
경기도 | 5 | 1 | 2 | 2 | 0 | 40.0 |
충청남도 | 31 | 1 | 21 | 9 | 0 | 29.0 |
전라북도 | 11 | 0 | 7 | 4 | 0 | 36.4 |
전라남도 | 90 | 1 | 64 | 20 | 5 | 27.8 |
경상남도 | 39 | 1 | 30 | 8 | 0 | 20.5 |
강원도 | 100 | 4 | 24 | 59 | 13 | 72.0 |
경상북도 | 42 | 1 | 17 | 19 | 5 | 57.1 |
제주특별자치도 | 14 | 0 | 9 | 4 | 1 | 35.7 |
* 자료 : 해양수산부
2022.11.11 - [기후] - [해수면 상승]「 물이 밀려온다 」
'기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P27]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폐막 (0) | 2022.11.21 |
---|---|
[UN] 정부, COP27 기후·환경협력 강화 (0) | 2022.11.20 |
[COP27] 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0) | 2022.11.07 |
[포럼] ‘아-태지역 탄소중립 달성 협력’ 포럼 (0) | 2022.10.31 |
[지진] 충북 괴산군 규모 4.1 지진 발생 현황 (0) | 2022.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