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

[가뭄] 기상청, ‘2022년 기상가뭄 발생 특성’

by TheCCE 2023. 1. 28.
728x90
반응형
SMALL

 

 

 

 

 

 

2022년 남부지방 기상가뭄 발생일수 227.3일 ; 역대 가장 오랜 기간 지속

 

 

 

기상청이 지난해 지속되었던 남부지방 기상가뭄 특성을 포함한 ‘2022년 연 기상가뭄 발생 특성’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2022년 연, 계절별, 월별 기상가뭄의 발생 특성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167개 시·군의 기상가뭄 현황과 전국·지역 평균 기상가뭄 발생일수 및 가뭄일수 분포도 등을 포함하고 있다.

 

 

 


 

 

2022년 강수량 현황과 기상가뭄 발생일수

 

 

 

□ 2022년 전국 연 강수량·평년비·기상가뭄일수 분포도

 

 

 

□ 2022년 지역별 강수량 현황

 

구 분 서울·인천
·경기
강원 충북 대전·세종
·충남
전체 영서 영동
강수량(㎜) 1750.4 1514.8 1573.6 1397.2 1168.2 1220.9
평년비(%) 132.6 111.0 116.3 100.3 94.6 94.9
평년값(㎜) 1318.6 1377.1 1372.3 1386.6 1261.3 1271.8

 

구 분 전북  광주·전남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제주 전국
강수량(㎜) 963.8 854.5 856.8 1019.5 1362.4 1150.4
평년비(%) 72.2 60.9 73.9 66.2 83.3 86.7
평년값(㎜) 1326.9 1390.1 1147.9 1516 1676.2 1331.7

 

 

□ 2022년 지역별 기상가뭄 발생일수(167개 시·군)

 

구분 서울
·인천
·경기
강원 충북 대전
·세종
·충남
중부 전북 광주
·전남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남부 제주 전국
일수(일) 64.6 77.9 93.5 91.0 81.7 162.8 281.3 215.6 249.5 227.3 101.5 156.8
 
 

※ 기상가뭄 분석

- 기상가뭄 발생일수는 6개월 누적강수량을 반영한 표준강수지수 이용

- 지역별 가뭄 발생일수는 각 지역에 포함된 시·군에 대한 기상가뭄 발생일수를 평균하였으며 전국 평균은 165개 시·군(제주시, 서귀포시 제외)의 평균값 사용

 

구분 기상가뭄 단계 기준
약한 가뭄 최근 6개월 누적강수량을 이용한 표준강수지수 -1.0이하(평년대비 약 65% 이하)로
기상가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로 하되, 지역별 강수특성 반영할 수 있음.
보통 가뭄 최근 6개월 누적강수량을 이용한 표준강수지수 -1.5이하(평년대비 약 55% 이하)로
기상가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로 하되, 지역별 강수특성 반영할 수 있음.
심한 가뭄 최근 6개월 누적강수량을 이용한 표준강수지수 -2.0이하(평년대비 약 45% 이하)로
기상가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로 하되, 지역별 강수특성 반영할 수 있음.
극심한 가뭄 최근 6개월 누적강수량이 이용한 표준강수지수 -2.0이하가 20일 이상 기상가뭄이 지속되어
전국적인 가뭄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로 하되, 지역별 강수특성 반영할 수 있음.

 

 


 

 

728x90

 

 

남부지방 기상가뭄은 발생일수 227.3일로 1974년 이후 역대 가장 오래 지속되었으며, 특히 광주·전남 지역이 281.3일을 기록하였다. 전국 기상가뭄 발생일수는 156.8일로 2015년(168.2일)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 역대 기상가뭄 발생일수 순위

[전국] 1위 2015년(168.2일)/22022(156.8)/3위 2017년(134.9일)

[남부] 12022(227.3)/2위 2017년(162.3일)/3위 2008년(152.0일)

[중부] 1위 2015년(217.1일)/2위 2014년(185.4일)/3위 2019년(183.0일)/112022(81.7)

 

 

○ 2월 하순부터 시작된 남부지방 기상가뭄

 

2월 하순부터 전남,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남부지방 기상가뭄은 4월 중순에는 경북까지 확대·심화되어 4월 말에도 지속되었다. 한편, 3월 초순과 4월 하순에 일시적으로 충북과 강원 지역에 기상가뭄이 발생하였다.

 

 

○ 5월 초 전국으로 확대된 기상가뭄

 

지난 겨울철(평년비 14.7%)과 봄철(평년비 62.1%) 전국적으로 적었던 강수량으로 인해 5월 초순에는 전국으로 기상가뭄이 확대되었고, 기상가뭄 단계도 심화되었다.

 

 

○ 중부지방에 집중된 강수

 

2021년 겨울부터 이어진 적은 강수량과 여름철 중부지방에 집중된 강수로, 남부지방은 2022년 기상가뭄이 연중 지속되었다.

 

6월과 8월, 10월에 중부지방으로 강수량이 집중되어 6월 하순부터 서울·경기, 강원 지역의 기상가뭄이 해소되었고, 8월 중순에는 충북, 충남 지역의 기상가뭄이 해소되었다. 하지만 남부지방의 기상가뭄은 여전히 지속되었으며, 특히 광주·전라남도는 연 강수량 854.5mm를 기록하며 평년비가 60.9%에 그쳐 강수량 부족이 심하였다.

 

 

○ 남부지방 가뭄 원인

 

2022년 봄철 우리나라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으로 맑은 날이 많아 전국적으로 강수량이 적었다.

 

여름철에는 주로 북태평양고기압이 동서로 발달을 유지함에 따라 중부지방에서 저기압 및 정체전선이 발달하여 강수가 중부지방에 집중된 반면, 남부지방에는 충분한 양의 비가 내리지 못해 가뭄이 지속되었다.

 

 

 

반응형

 

 

 

연도별(1974~2022년) 지역별(167개 시·군) 기상가뭄 발생일수

 

 

 

 
구 분 서울
·인천
·경기
강원 충북 대전
·세종
·충남
중부 전북 광주
·전남
대구
·경북
부산
·울산
경남
남부 제주 전국
전체 영서 영동
1974 17 27 31 21 31 13 22 0 1 9 5 4 7 12
1975 12 29 27 31 37 31 27 7 6 13 14 10 15 17
1976 9 5 8 0 21 42 19 42 33 35 60 42 0 29
1977 52 76 97 42 99 72 75 145 112 86 105 112 17 88
1978 38 7 11 0 10 36 22 38 94 9 55 49 121 38
1979 15 17 6 35 6 4 10 7 9 3 1 5 6 8
1980 38 57 38 87 4 1 25 5 4 10 4 6 0 18
1981 14 26 5 59 11 17 17 3 5 47 45 25 3 22
1982 139 126 120 136 158 135 140 110 130 149 115 126 6 133
1983 11 9 1 22 11 0 8 2 12 2 2 5 0 6
1984 66 16 10 25 48 24 39 32 49 35 74 48 102 46
1985 3 8 2 17 2 0 3 0 0 1 1 0 17 2
1986 14 21 11 37 2 0 9 0 3 8 12 6 0 8
1987 0 3 0 8 0 0 1 0 0 1 5 1 0 1
1988 99 43 56 23 71 121 83 169 157 45 99 117 110 99
1989 42 16 26 0 32 29 30 21 21 9 17 17 20 24
1990 0 0 0 0 0 0 0 0 0 0 3 1 0 0
1991 3 35 26 47 5 3 12 4 0 1 6 2 0 6
1992 18 15 16 12 27 58 29 76 147 30 55 77 11 52
1993 0 4 6 1 0 0 1 0 2 0 1 1 0 1
1994 36 79 74 86 87 46 62 127 178 108 140 138 43 98
1995 23 17 26 2 75 48 41 132 130 76 100 109 16 71
1996 29 7 4 11 21 53 27 41 53 33 84 53 29 41
1997 38 24 8 50 7 22 23 8 13 48 49 30 155 30
1998 31 9 6 14 5 18 16 12 8 5 2 7 2 13
1999 14 9 12 3 2 1 7 1 2 0 0 1 2 5
2000 135 114 109 121 82 114 111 108 111 111 126 114 190 116
2001 95 148 148 147 178 173 148 111 73 113 91 97 20 115
2002 57 34 44 18 66 82 60 37 27 21 9 23 13 40
2003 29 2 3 0 0 0 8 0 0 0 0 0 0 7
2004 4 7 5 11 23 39 18 75 57 23 22 44 21 28
2005 24 25 27 20 36 27 28 47 38 17 7 27 188 26
2006 15 39 22 66 34 52 35 53 49 52 63 54 51 43
2007 47 22 34 2 40 58 42 46 47 32 108 58 54 51
2008 58 61 84 23 189 128 109 166 127 137 177 152 29 121
2009 22 62 50 79 134 98 79 143 121 153 129 136 28 100
2010 4 46 28 74 31 22 26 43 35 46 44 42 0 32
2011 40 33 39 24 49 56 45 58 60 32 46 49 112 46
2012 64 33 51 5 33 97 57 80 37 23 16 39 0 47
2013 1 46 0 118 20 12 20 0 16 43 75 34 173 26
2014 249 181 266 48 184 128 185 58 47 42 59 51 31 124
2015 238 220 231 204 215 195 217 182 68 167 66 121 0 168
2016 134 48 57 33 68 95 86 42 3 19 6 18 0 56
2017 110 79 82 74 89 123 100 121 191 135 201 162 200 135
2018 34 42 48 33 26 24 32 7 7 24 19 14 28 24
2019 190 149 209 55 196 197 183 100 39 78 46 66 73 122
2020 11 11 18 1 4 2 7 0 10 0 0 3 0 5
2021 105 69 84 45 25 37 59 22 19 25 13 20 2 45
2022 65 78 79 77 93 91 82 163 281 216 250 227 102 157

 

 

 

* 출처 : 기상청

 

 

 


 

 

 

 

2021.05.14 - [기후] - [기후] 2019-20 호주 산불, 기후변화의 대재난

 

[기후] 2019-20 호주 산불, 기후변화의 대재난

-기후변화가 불러온 대재난, 역대 최악의 호주 산불이 야기한 기후 불균형의 증거를 찾아내다 - 서울대학교 정수종 교수팀, 2019-2020 호주 산불로 발생한 에어로졸의 복사강제력이 화산 폭발과 버

thecce.kr

 

 

 

 

 

 

 

728x90
반응형
BI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