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지구온난화 2.0℃5

[기후] 부문별 광범한 시스템 변화 필요 광범위한 시스템 전환 필요 온난화를 1.5℃로 억제하는 배출 경로에 도달하려면 에너지, 토지이용, 도시, 수송과 건물을 포함한 기반시설과 산업 체계의 빠르고 광범위한 시스템 전환이 필요하다(높은 신뢰도). 이러한 시스템의 전환은 전례가 없었던 수준으로 모든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대대적으로 감축해야 하고, 감축을 위한 광범위한 포트폴리오와 투자의 증대가 필요하다(중간 신뢰도). 온난화를 1.5℃로 억제하는 배출 경로에서는 2.0℃ 경로 대비 향후 20년 동안 더 빠르고, 대대적인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다(높은 신뢰도). [에너지] 에너지 부문에서 온난화를 1.5℃로 억제하는 모델 경로는 일반적으로 2.0℃ 경로보다 에너지의 효율성을 더 개선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가 사용하는 형태의 에너지를 전력으로 .. 2021. 4. 16.
[기후] 다양한 부문의 잠재적 영향과 위험 건강, 생계, 식량 안보, 물 공급 기후 관련 위험 건강, 생계, 식량 안보와 물 공급, 안정성과 경제성장에 대한 기후 관련 위험은 1.5℃ 온난화에서 증가하며, 2.0℃ 온난화에서는 더 증가할 것이다 (아래 그림) 사회적 소외계층과 취약계층, 일부 토착민, 그리고 농업이나 어업에 생계를 의존하는 지역 공동체는 1.5℃ 이상의 온난화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그룹에 속한다(높은 신뢰도). 또한, 위험이 가장 높은 지역에는 북극 생태계, 건조지역과 군소 도서 개발도상국, 저개발국가가 포함된다(높은 신뢰도). 결국, 온난화가 심화될수록 빈곤층과 사회적 소외계층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1.5℃로 억제할 경우, 기후관련 위험에 노출되고, 빈곤에 취약해지는 인구수를 2050년까.. 2021. 4. 3.
[기후] 동아시아와 우리나라 기후의 미래 전망 국립기상과학원의 분석 결과(2019)에 따르면 1.5/2.0℃ 온난화에 따른 동아시아 기후의 미래 전망 결과는 현재(2006~2015년 모델과거) 대비 전지구 기온 상승 수준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1.5℃ 보다 2.0℃ 온난화에서 동아시아 지역의 기온은 약 0.6℃ 더 상승했으며, 한반도, 몽골, 중국 화북과 동북에서 뚜렷하게 증가했다. 연강수량은 전지구에 비해 동아시아와 우리나라 지역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크게 나타났다. 1.5℃ 보다 2.0℃ 온난화에서 동아시아는 20.7±4.1mm, 한반도에서는 25.1±6.6mm 더 증가했으며, 특히 한반도, 중국 화동, 화북과 일본에서 뚜렷하게 증가했다. * 출처 : 기상청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 2021. 3. 31.
[기후] 기온과 강수 극한의 미래 전망 현재의 기후와 기후모델에서 산출한 1.5℃와 2.0℃ 온난화의 미래 전망을 비교하였다. 기후모델의 결과는 온난화가 1.5℃까지 진행될 때와 2.0℃까지 진행될 때 지역별 기후변화 차이가 클 것으로 전망한다. 대부분의 육지와 해양에서 평균 온도는 상승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호우 또는 가뭄이 증가한다. 1.5℃보다 2.0℃ 온난화에서 해수면은 더 많이 상승하고, 육지와 해양 생태계에 대한 위험과 다양한 부문(건강, 생계, 식량 안보, 물 공급, 경제성장 등)의 기후 관련 잠재적 위험 또한 커질 것이다. 그러므로 적응 필요성은 대부분 1.5℃ 온난화보다 2.0℃ 온난화에서 더 높다(높은 신뢰도). 기온과 강수 극한의 미래 전망 대부분의 육지와 해양의 평균 온도가 상승하고(높은 신뢰도), 많은 지역에서 극한 고.. 2021. 3. 25.
[기후] 지구온난화 1.5℃와 2.0℃ 차이 인간활동으로 인해 산업화 이전 대비 2017년 현재 약 1.0℃(0.8~1.2℃ 범위)의 기온이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산업화 이전 대비 1.5℃ 온난화일 때 자연계와 인간계에 대한 기후 관련 위험이 현재보다 높아지고, 2.0℃ 온난화일 때 더 높아질 것이다(높은 신뢰도). 대부분의 육지와 해양의 평균 온도가 상승하고(높은 신뢰도), 많은 지역에서 극한 고온 현상이 증가할 것이다(높은 신뢰도). 또한 일부 지역에서 호우가 증가하고(중간 신뢰도) 일부 지역에서는 가뭄과 강수 부족 가능성이 증가(중간 신뢰도) 할 것이다. 해수면 상승 2100년까지 전지구 평균 해수면 상승 폭은 1.5℃보다 2.0℃ 온난화에서 약 0.1m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중간 신뢰도). 해.. 2021. 3. 2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