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후

[GHGs] 2021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잠정)

by TheCCE 2022. 6. 28.
728x90
반응형
SMALL

 

 

 

 

확정 통계보다 1년 앞서 공개하는 것으로 전년 대비 2,300만톤 증가
코로나19 이후 산업활동 회복과 이동수요 증가 등이 주요 원인
세계 평균 대비 증가율 낮고 국내총생산(GDP) 당 배출량 개선

 

 

 

 

□ 2021년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6억 7,960만톤으로, 전년보다는 3.5% 증가했으며, 배출정점을 기록한 2018년보다 6.5% 낮게 나타났다.

 

○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서흥원)는 유관기관의 자료*, 배출권거래제 정보 등을 활용하여 2021년 국가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을 6월 28일 추계, 공개했다.

 

* 2021년 에너지통계월보, 수출입통계, 가축동향조사 등

 

 

< 2010년 이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

 

 

○ 이번 배출량은 확정 통계보다 1년 앞서 잠정 산정한 결과로 정책수립·운영, 온실가스 관련 분석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는 전 세계적인 추세로,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 산업계의 생산 활동이 회복되고 이동수요가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 산업생산지수 및 고속도로 교통량 전년 대비 각각 7.6%, 7.0% 증가 (자료 : 광업제조업동향조사, 고속도로 공공데이터)

 

 

○ 다만, 우리나라의 배출량 증가율(3.5%)은 전세계 평균(5.7%) 및 주요국 증가율(미국 6.2%, 유럽연합 7%, 중국 4.8%)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 출처 : 글로벌 에너지 리뷰, 2021년 CO2 배출량(국제에너지기구, 2022)

 

 

□ 아울러, 온실가스 배출효율성 지표인 ‘국내총생산(GDP) 당 배출량’은 356톤/10억원으로 2011년 이후 계속 개선되는 추세이며, 이는 2021년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대비 4% 증가한 반면, 온실가스 배출량은 이보다 낮은 3.5% 증가한 것이다.

 

 

□ 분야별 배출량 비중을 살펴보면, 에너지 분야가 5억 9,060만톤으로 86.9%를 차지했으며, 산업공정 7.5%(5,100만톤), 농업 3.1%(2,120만톤), 폐기물 분야가 2.5%(1,680만톤) 순으로 분석됐다.

 

 

< ’21년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비중 >

 

 

□ 에너지 분야는 제조업·발전·수송부문을 중심으로 생산량 및 연료 소비 증가로 배출량이 2020년에 비해 3.6% 증가했다.

 

 

<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추이 >

 

 

 

○ 제조업 부문에서는 화학 580만톤(12.4%↑), 철강 440만톤(4.7%↑) 등 전체 배출량이 1,270만톤(7.0%)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 발전 부문은 산업활동 회복에 따른 전력수요 증가로 전년에 비해 400만톤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발전량은 4.5% 증가*했으나, 기존 석탄발전 감축과 고효율 신규 석탄설비 운용, 원단위가 비교적 낮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증가(13%) 및 재생에너지 발전 증대** 등의 정책적 노력에 힘입어 온실가스 배출량은 1.8% 증가에 그친 것으로 추정되었다.

 

* ’20년 552 테라와트시(TWh) → ’21년 577 테라와트시(TWh) (자료 : 전력통계속보)

** 석탄 발전비중(‘20 35.6% → ’21 34.3%) 감소 및 고성하이 1·2호기 및 신서천 1호기 신설, LNG 비중 증가(26.4% → 29.2%), 신재생 발전 증가(6.6% → 7.5%)

 

 

○ 수송 부문은 이동수요 증가*로 배출량이 전년보다 160만톤 증가(1.7%↑)한 것으로 나타났다.

 

* 휘발유, 경유 소비량이 각각 5%, 1% 증가,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 7% 증가

 

 

○ 상업‧공공‧가정 부문은 연초 한파 등의 영향으로 도시가스 사용이 늘어(2%↑) 배출량이 전년보다 60만톤 증가(1.4%↑)한 것으로 추정됐다.

 

 

□ 산업공정 분야 배출량은 시멘트, 반도체 등 생산량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5.2% 증가한 5,100만톤으로 추정됐다.

 

□ 한편, 농업 분야는 가축 사육두수 증가와 경작면적 감소의 상쇄로 전년대비 0.9% 증가한 2,120만톤 수준으로 나타났다.

 

○ 폐기물 분야는 폐기물 발생량 증가에도 재활용 증가 및 누적 매립량 감소 경향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1.6% 감소한 1,680만톤을 배출한 것으로 예상됐다.

 

반응형

 


 

 

2021년 잠정배출량 분야별 증감

 

 

□ 배출 추이

 

 

ㅇ ’10년 656백만톤 배출 이후 지속 증가하여 ’18년 727백만톤으로 정점 도달

 

ㅇ 석탄화력 감소, 경기위축 등으로 ’19·’20년 연속으로 배출량이 감소하였으나, ’21년은 경기회복으로 전년보다 3.5% 증가한 679.6백만톤 배출 예상

 

- 전세계 평균(5.7%) 및 주요국(美 6.2%, EU 7.0%, 中 4.8% 등) 증가율보다 낮은 수준(출처 : 국제에너지기구)

 

 

 

< ’16 ∼ ’21년 온실가스 총배출량 추이 >

 

(단위 : 백만톤 CO2eq.)

구 분 ’16년 ’17년 ’18년 ’19년 ’20년
(잠정*)
’21년
(잠정**)
총배출량
(전년 대비 증감률)
693.6 710.7 727.0 701.4 656.6 679.6
(0.1%) (2.5%) (2.3%) (-3.5%) (-6.4%) (3.5%)
에너지

602.2 615.6 632.6 611.5 570.0 590.6
(0.3%) (2.2%) (2.8%) (-3.3%) (-6.8%) (3.6%)
산업공정

53.5 56.5 55.8 52.0 48.5 51.0
(-1.9%) (5.6%) (-1.2%) (-6.8%) (-6.7%) (5.2%)
농업

20.8 21.0 21.1 21.0 21.0 21.2
(-0.8%) (0.7%) (0.8%) (-0.8%) (0.3%) (0.9%)
폐기물

17.1 17.7 17.5 16.9 17.1 16.8
(1.7%) (3.5%) (-1.0%) (-3.6%) (0.9%) (-1.6%)

* ‘21년 6월 잠정치(649백만톤) 발표이후, 에너지통계 및 산업공정 자료 갱신 등으로 변경

** ’21년 명세서초안, 대체자료(에너지월보, 수출입통계, 가축동향조사) 및 전년동(중전기기, 농경지토양 등) 등을 활용한 추정치

 

 

□ ’21년 산정결과

 

ㅇ (산정방식) 분야별 유관 통계를 활용하여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산정방법에 준용하여 잠정치 산정

 

- (활용자료) 에너지통계월보, 명세서, 수출입통계, 석유화학수급통계, 가축동향조사, 폐기물통계 등

 

ㅇ (증감원인) 세계 경기회복에 따른 수출 및 제조업·서비스업 생산활동 증가로 인해 에너지 소비·산업공정 등 배출량 증가

 

- 폐기물을 제외한 전 분야에서 전년보다 배출량 증가

 

* (에너지) 발전‧열 생산 4백만톤↑, 화학 6백만톤↑, 철강 4백만톤↑, 수송 2백만톤↑ (산업공정) 시멘트 0.8백만톤↑, F-gas 냉매 1.1백만톤↑, (농업) 장내발효 0.2백만톤↑, (폐기물) 0.3백만톤↓

 

 

 

□ 원단위 배출량

 

 

ㅇ 1인당 배출량

 

- (’19) 13.5톤/명 → (’20) 12.7톤/명 → (’21) 13.1톤/명

 

* ’21년 인구는 전년대비 0.2% 감소한 반면 배출량은 3.5% 증가하여 원단위 악화

 

 

ㅇ GDP당 배출량

 

- (’19) 378.6톤/십억원 → (’20) 357.5톤/십억원 → (’21) 355.7톤/십억원

 

* ’21년 국내총생산(GDP, 실질)은 코로나 19로 침체되었던 경기가 회복함에 따라 전년보다 4% 증가한 데 반해 배출량은 3.5% 증가 수준으로 그치면서 원단위 개선

 

 

 

 

728x90

 

 

분야별 증감요인 (’19년 확정, ’20년 초안, ’21년 잠정)

 

 

 

1. 에너지 분야

 

□ 발전·열생산 (’19) 248.7백만톤 → (’20) 218.1(12%↓) → (’21) 222.0(1.8%↑)

 

ㅇ (총발전량) 코로나19 영향 완화로 인한 산업·건물용 전력수요 상승*으로 총발전량은 ’20년에 비해 4.5% 증가

 

* (전력 판매량) 제조업 +5%, 서비스업 +3%, 가정용 +5%

 

ㅇ (원별 발전량) 석탄 0.8% 증가, 원전 1.4% 감소, LNG 15.4% 증가, 신재생 5.5% 증가

 

⇒ 발전량이 4.5% 증가하였으나, 원단위가 비교적 낮은 LNG 발전 증가(13%), 고효율 신규 석탄설비* 운용 등 영향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대비 1.8% 증가에 그침

 

* 고성하이 1·2호기, 신서천 1호기

※ 전력원단위(톤CO2eq/MWh) : (’19) 0.442 → (’20) 0.395 → (’21) 0.385

 

 

< 에너지원별 발전량 및 배출량 추이 >

 

구 분
(단위 : TWh, 백만톤)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발전량
(비중)
배출량
(증감률)
발전량
(비중)
배출량
(증감률)
발전량
(비중)
배출량
(증감률)
563.0 248.7 552.1 218.1 576.7 222.0
(100%) (-7.3%) (100%) (-12.3%) (100%) (1.8%)
원자력 145.9 - 160.2 - 158.0 -
(26%) - (29%) - (27%) -
석탄 227.4 188.2 196.3 157.0 198.0 153.0
(40%) (-8%) (36%) (-17%) (34%) (-3%)
LNG 144.4 57.0 145.9 58.5 168.3 65.9
(26%) (-5%) (26%) (3%) (29%) (13%)
신재생 등* 42.1 0.4 47.5 0.3 50.1 0.3
(7%) (0.2%) (9%) (-20%) (9%) (10%)
유류 3.3 3.2 2.3 2.3 2.4 2.9
(1%) (-30%) (0.4%) (-27%) (0.4%) (22%)

※ (출처) 발전량 : 전력통계속보 제 520호(한국전력공사)
* 양수, 기타발전원 포함한 수치. 신재생에너지 발전원 중 바이오연료는 CO2를 제외하고 CH4, N2O만 배출량 산정

 

 

□ 철강 (’19) 96.4백만톤 → (’20) 93.1(3.4%↓) → (’21) 97.5(4.7%↑)

 

ㅇ ’21년 자동차와 선박 등 수요 산업 회복과 중국 철강 생산 감소의 영향 등으로 철강 생산량이 회복하며 반등(출처 : 에너지수요전망)

 

⇒ ’21년 유연탄 공급량 증가(5%)에 따라 배출량 증가(4.4백만톤↑)

 

 

< 철강업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96.4 93.1 97.5
제철용 유연탄 공급량(천톤) 34,959 33,797 35,326
전로강 생산량(천톤) 48,715 46,261 48,028
철강업 생산지수(2015=100) 98 92 97

※ (출처) 유연탄 : 에너지통계월보(에너지경제연구원), 전로강 : 철강협회자료, 생산지수 : 광업제조업동향조사(산업연구원)

 

 

□ 석유화학 (’19) 46.4백만톤 → (’20) 46.9(1.1%↑) → (’21) 52.7(12.4%↑)

 

ㅇ ’21년 석유화학산업 경기회복 및 설비 증설* 영향 등으로 생산활동 증가(출처 : 에너지수요전망)

 

* NCC 설비용량 6% 증가(여천NCC 34만톤, LG화학 80만톤 등) (출처 : 한국석유화학협회)

 

⇒ ’21년 기초유분 생산량 증가(11%)에 따라 배출량 증가(5.8백만톤↑)

 

 

< 석유화학업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46.4 46.9 52.7
기초유분 6종 생산량(천톤) 31,940 30,543 33,943
석유화학업 생산지수(2015=100) 108 104 112

※ (출처) 기초유분(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벤젠, 톨루엔, 자일렌) : 석유화학수급편람, 통계(석유화학협회), 생산지수 : 광업제조업동향조사(산업연구원)

 

 

□ 수송 (’19) 101.0백만톤 → (’20) 96.3(4.7%↓) → (’21) 97.9(1.7%↑)

 

ㅇ ’20년 코로나19 방역정책으로 이동 수요*가 감소했으나, ’21년에는 단계적 일상회복 조치로 이동수요 증가(출처 : 에너지수요전망)

 

* ’19 ∼ ’20년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 3% 하락한 이후, ’21년 7% 증가

 

⇒ ’21년 도로 유류 소비 증가(휘발유 5%, 경유 1%)로 배출량 증가(1.6백만톤↑)

 

※ ’19∼’21년은 코로나 19관련 방역조치에 따른 이동수요 증감이 배출량 증감의 주요인으로, 기존 유류가격과의 상관성은 낮은 것으로 확인됨

 

 

< 수송부문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101.0 96.3 97.9
국제유가(US$/bbl, Dubai유) 64 42 69
휘발유 국내판매가(원/ℓ) 1,470 1,380 1,590
소비량(천kℓ) 12,868 12,622 13,220
경유 국내판매가(원/ℓ) 1,340 1,190 1,390
소비량(천kℓ) 23,001 22,205 22,473
전국 고속도로 교통량(백만 대) 1,660 1,614 1,727

※ (출처) 유류가격, 소비량 : 에너지통계월보(에너지경제연구원), 교통량 : 고속도로 공공데이터 포탈(한국도로공사)

 

 

□ 상업․공공․가정 (’19) 45.6백만톤 → (’20) 43.6(4.3%↓) → (’21) 44.2(1.4%↑)

 

ㅇ (상업․공공) ’20년에 코로나19*로 상업부문 에너지소비가 감소하였으나, ’21년 서비스업 경기회복 영향으로 도시가스 소비 증가(+2.0%)(출처 : 에너지수요전망)

 

* 휴업, 영업시간 축소, 집단·다중이용시설 이용제한 등 도소매업 GDP 6% 하락 및 도시가스 소비 감소 지속(1분기-11% → 2분기-16% → 3분기-11% → 4분기-8%)

 

ㅇ (가정) ’19~’21년 유사한 수준 유지 (’19) 31.6백만톤 → (’20) 31.7 → (’21) 31.9

 

⇒ ’21년 전년 감소에 대한 기저효과 등으로 배출량 증가(0.6백만톤↑)

 

 

< 상업·공공·가정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합계 45.6 43.6 44.2
상업·공공 13.9 11.9 12.3
가정 31.6 31.7 31.9
평균기온(℃) 13.5 13.2 13.7
난방도일(일) 2,526 2,499 2,457
도시가스 소비(천 toe) 14,187 14,189 14,467

※ (출처) 에너지통계월보(에너지경제연구원)

 

 

2. 산업공정 분야

 

□ 광물산업(시멘트 생산) (’19) 24.9백만톤 → (’20) 22.7(8.9%↓) → (’21) 23.5(3.6%↑)

 

ㅇ ’20년 건설경기 악화에 따라 시멘트 생산이 감소하였으나, ’21년 SOC 예산 증액, 공공주택 공급확대 등에 따른 건설경기 회복세 (출처 : 에너지수요전망)

 

⇒ ’21년 시멘트 생산량 증가(6.5%)에 따라 배출량 증가(0.8백만톤↑)

 

 

< 시멘트 생산업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24.9 22.7 23.5
시멘트 생산량(천톤) 54,018 50,040 53,278
시멘트 생산지수(2015=100) 94 87 92

※ (출처) 생산량 : 사업보고서(전자공시시스템), 생산지수 : 광업제조업동향조사(산업연구원)

 

 

□ 불소계가스 소비 (’19) 15.8백만톤 → (’20) 15.1(3.9%↓) → (’21) 16.4(8.4%↑)

 

ㅇ 냉매가스는 ’20년 감소 후 ’21년 반등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반도체 업종은 ’20, ’21년 연속으로 생산활동 증가

 

⇒ ’21년 냉매 수입 증가*(배출량 1.1백만톤↑), 반도체 생산 활동 증가 등으로 배출량 증가(1.3백만톤↑)

 

* 냉매가스 순수입량 추이: (’19∼’20)HFC-134a 6%↓; HFC-152a 3%↓, (’20∼’21) HFC-134a 18%↑; HFC-152a 39%↑

 

※ 기초자료 부재로 중전기기(’21)는 직전년도 배출량 적용

 

 

< 불소계 온실가스(F-gas) 소비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15.8 15.1 16.4
냉매가스 6.3 5.9 7.1
반도체·액정제조 6.2 5.9 6.01)
중전기기 3.2 3.3 3.32)
냉매가스 HFC-134a 순수입량(톤) 4,624 4,337 5,111
HFC-152a 순수입량(톤) 2,244 2,179 3,033
반도체 및 액정제조 반도체 생산지수(2015=100) 188 231 299
액정 생산지수(2015=100) 99 93 90

※ (출처) 냉매 : 수출입통계(관세청), 생산지수 : 광업제조업동향조사(산업연구원), 1)명세서 초안(’21), 2)전년동(‘20)

 

 

3. 농업 분야

 

□ 축산 (’19년) 9.5백만톤 → (’20년) 9.6(1.2%↑) → (’21년) 9.8(2.1%↑)

 

ㅇ 지속적인 육류 소비 증가에 따라 한육우 사육두수 증가

 

⇒ ’21년은 한육우 5.3%, 돼지 0.5% 등 가축 사육두수 증가의 영향으로 배출량 증가(0.2백만톤↑)

 

 

< 축산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9.5 9.6 9.8
한육우 사육두수(천두) 3,202 3,353 3,530
돼지 사육두수(천두) 11,377 11,185 11,245

※ (출처) 가축동향조사(통계청)

 

 

□ 경종(벼재배) (’19년) 5.9백만톤 → (’20년) 5.8(1.8%↓) → (’21년) 5.8(0.3%↓)

 

※ 경종부문 중 농경지토양, 작물잔사소각 배출량(‘21)은 자료 부재로 ’20년 전년동 적용

 

ㅇ 쌀소비 감소로 벼재배 면적이 지속 감소

 

⇒ 2년 연속 벼재배 면적이 전년 대비 1.1%, 0.5% 감소하며 배출량 감소

 

 

< 벼재배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5.9 5.8 5.8
논벼 재배면적(천ha/연) 729.6 726.2 722.5

※ (출처) 농업면적조사(통계청)

 

 

4. 폐기물 분야

 

□ 폐기물 (’19년) 16.9백만톤 → (’20년) 17.1(0.9%↑) → (’21년) 16.8(1.6%↓)

 

ㅇ 지속적으로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처리 형태는 매립이 감소*하고 소각 및 재활용이 증가하는 경향

 

* 최근 10년간 전체 매립량은 연평균 2.1% 감소하는 추세

 

⇒ ’21년에는 최근 수년간 누적된 매립량 감소 추세 및 바이오매스를 제외한 소각량 감소*의 영향으로 배출량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

 

* ’21년 소각량 증가분의 대부분이 CO2를 산정하지 않는 바이오매스(오니류 등)에서 기인

 

 

< 폐기물부문 관련지표 추이 >

 

구 분 ’19년(확정) ’20년(잠정) ’21년(잠정)*
온실가스 배출량
(백만톤 CO2eq.)
16.9 17.1 16.8e
발생량
(만톤/년)
18,149 19,546 20,087e
처리량
(만톤/년)
매립량 1,114 1,002 1,040e
소각량** 520 531 549e

※ (출처)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환경부)
* 예상 배출량 및 지표 추정치(e, expected)로, ’20∼‘21년 인구·제조업, 건설업 GDP 증감 및 ’20년 매립, 소각비율로 추정한 ‘21년 매립, 소각량을 활용하여 산정
** 하수처리 오니류 등을 제외시 (’19) 242.0 만톤/년→ (’20) 272.3 → (’21) 272.1

 

 

 

* 출처 : 환경부

 

 


 

 

 

 

2022.06.16 - [정책] - [GHG] 정부, ‘온실가스배출량 국제 검증체계’ 가동

 

[GHG] 정부, ‘온실가스배출량 국제 검증체계’ 가동

환경과학원, 온실가스 배출량 국제적 인정체계 본격 가동 국제 온실가스 규제 대응 위한 검증 체계 기반 구축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김동진)은 6월 16일부터 30일까지 국내 15개 온실

thecce.kr

 

 

 

 

728x90
반응형
BIG

댓글